무신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신'과 대선, 정말 아무 관계없을까 왜 지금 이어야 했을까 이제 종영이 임박한 MBC 주말사극 은 애초 ‘대장경 천년 특별기획’이라는 기치로 제작되었다. 실제로 이 사극의 초반부에는 대장경을 염두에 둔 에피소드들이 매회 등장했다. 조금은 뜬금없어 보였지만, 대장경의 의미를 하나 하나 설명하는 장면들이 사족처럼 들어 있었다. 물론 이 사극의 주인공인 김준(김주혁)이 자라난 곳이 다름 아닌 절이고, 그 역시 최씨 가문의 노예로 끌려오기 전에는 스님이었다. 하지만 은 김준이 노예 신분을 벗고 점점 고려 무신정권의 중심으로 들어오면서 대장경 에피소드하고는 멀어졌다. 드라마의 전체 흐름으로 보면 대장경 에피소드는 마치 명분을 위해 들어간 장면처럼 보인다. 실제 이 다루려고 하는 것은 고려말 무인들이 정권을 휘둘렀던 이른바 ‘무신정권’ 약 100년 .. 더보기 '무신'과 '닥터 진', 사극의 극과 극 역사를 바라보는 두 시선, vs 사극의 시간은 어디로 흐르는 걸까. MBC 주말극으로 나란히 방영되고 있는 과 은 같은 사극이라도 역사를 바라보는 완전히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 은 고려 무신 정권 속에서 노예로 전락했다가 후에는 최고의 위치에까지 오르는 김준이라는 역사 속 실존인물을 다루고 있다. 초반의 격구 에피소드에서는 '글래디에이터'류의 스토리가 들어가면서 퓨전사극적인 요소를 보이지만 이 사극은 지극히 정통 사극의 궤를 따라가고 있다. 실제 역사의 인물인데다 중간 중간에는 역사적 상황을 설명하는 내레이션까지. 그래서 정통사극의 대가 이환경 작가는 "퓨전사극과는 전혀 다른 감동"을 약속하기도 했다. 그만큼 역사적 고증에 철저하고 또한 역사적 사실에 기대는 바가 크다는 얘기다. 은 이미 퓨전화 되어버.. 더보기 '무신', 왜 여성 캐릭터가 살지 않을까 김규리에겐 너무 가혹한 '무신'의 대본 과거 사극은 다분히 연극적이었다. 스펙터클로 보여주기 힘들었던 전투 장면들은 대부분 장수들이 카메라 앞에 일렬로 죽 서서 "적들이 몰려옵니다!" 식의 대사를 한 마디씩 하는 걸로 채워지곤 했다. 이 과거의 사극이 지나치게 연극적인 느낌을 주는 단적인 장면은 현대적인 드라마에서는 좀체 어색해서 사용하지 않는 독백이 너무 잦다는 것이다. 내레이션으로 처리하면 좀 더 자연스러워질 수 있지만, 굳이 인물이 "어떻게 내가 김준의 이름을 얘기한 거지?" 하는 식의 독백을 하게 하는 건 그것이 하나의 관습이라 여기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요즘처럼 시청자들의 눈높이가 한껏 높아진 상황에 이런 연극적인 톤은 드라마 몰입을 방해하는 단적인 요소들이다. '무신'은 그런 점에서 장면.. 더보기 '무신'은 왜 굳이 정통사극이라 했을까 '무신'이 정통사극을 고집하는 이유 '무신'은 기묘한 조합의 사극이다. 이환경 작가는 '용의 눈물', '태조 왕건' 같은 정통사극의 정점을 찍은 작가로 KBS 사극의 대명사 같은 인물이다. 그런데 그가 MBC에서 사극을 한다. 알다시피 MBC 사극 브랜드는 정통사극에서 벗어난 지 오래다. 이병훈 감독을 중심으로 하는 '대장금', '허준' 같은 일련의 퓨전사극이 새로운 브랜드가 되었다. 이런 퓨전화되고 허구화된 MBC 사극의 경향은 지금도 여전하다. '해를 품은 달'이 대표적이다. 그렇다면 '무신'은 MBC가 회귀한 정통사극일까. 아니면 정통사극을 쓰던 이환경 작가의 퓨전화일까. 정통사극을 차별점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전개로 보면 후자에 가깝다. 물론 '무신'은 고려시대 역사 속 실존인물인 김준(.. 더보기 MBC주말극 男 '무신', 女 '신들의 만찬' 뻔한 전개, 근데 왜 자꾸 보게 될까 MBC 주말극이 칼을 빼들었다. 고전적인 영웅 서사, '무신'이 남성 시청자를 정조준한 것이라면, 전형적인 가족 서사, '신들의 만찬'은 여성 시청자를 겨냥했다. 그것도 전통적인 드라마 남녀 시청층인 중장년층을 타깃으로 한데다, 주말 밤에 연달아 편성함으로써 하나의 패키지로서의 시너지 효과도 노렸다. 이 정도면 주말의 이 두 작품에 깃든 MBC의 야심을 엿볼 수 있다. 작품은 새롭기보다는 익숙한 것을 가져왔고 대신 자극은 더 강해졌다. '무신'은 잔인한 고문 장면이 꽤 길게(이것은 의도적인 연출이다) 이어졌고, 노예가 된 여자들의 옷을 벗기고 하나의 성노리개처럼 그 몸에 대해 적나라하게 이야기하는 장면이 연출되었다. 사실 이미 미드로 유명한 '스파르타쿠스' 같은 작품..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