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에서 온 그대
-
'별그대', 99%의 웃음과 1%의 눈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2. 28. 09:49
를 깨운 전지현의 개그본능 가 이제 종영을 앞두고 있다. 최근 들어 이토록 뜨거웠던 드라마도 드물다. 그 힘은 국경을 넘어 중국까지도 들썩이게 했다. 심지어 전지현을 통해 치맥 문화가 전파될 정도라니 말 다했다. 벌써부터 결말에 대한 궁금증과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건 이 드라마가 가진 특별한 희비극의 공존 때문이다. 는 400년을 넘는 외계인과 인간의 운명적인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신체접촉을 하는 것조차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관계는 그 자체에 근본적으로 비극을 깔고 있다. 천송이(전지현)와 도민준(김수현)이 서로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마치 헤어짐을 앞둔 연인처럼 비극의 강도도 높아지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는 이 비극적 상황을 비극으로 그려내기보다는 유쾌한 희극으로 채워 넣으려 노력..
-
'별그대', 당신은 어떤 엔딩을 기대하나요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2. 22. 13:49
새드엔딩 가능성 희박한 이유 의 엔딩은 과연 어떻게 될까. 물론 그 결과는 작가만이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이 흘러온 흐름을 통해 들여다보면 조심스럽게 그 결과의 가능성들을 유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질적인 존재들의 사랑. 가 그린 것은 궁극적으로 그것이었다. 물론 자신의 친형을 죽이고 모든 것을 빼앗은 소시오패스 이재경(신성록) 같은 인물이 들어있어 스릴러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었고, 또 그의 위협을 받는 천송이(전지현)를 초능력으로 보호해주는 도민준(김수현)이 있어 슈퍼히어로물의 판타지가 섞여 있었지만 그래도 어디까지나 이 드라마의 궁극적인 장르는 멜로, 그것도 로맨틱 코미디다. 천송이와 도민준의 밀고 당기는 감정 놀이가 그 중심에 있고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판타지적인 즐거움을 목표로 보여주..
-
뻔하고 식상해도 보는 '왕가네' 시청률의 비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2. 2. 14:58
를 통해 보는 가족주의의 해체 저렇게 될 줄 알았지. 시작부터 “나 미스코리아 나갔던 여자야”를 외치며 온갖 민폐를 끼치던 왕수박(오현경)이 집을 나와 식당에 취직했다가 쫓겨나고 노숙자처럼 길거리를 전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아마도 많은 시청자들은 같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이 이제 종반으로 치달으면서 왕가네 가족들에게 패악질 하던 캐릭터들이 이제 권선징악, 개과천선의 결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그것 또한 시청자들이 예상 못했던 일은 아닐 것이다. 수박이 동생 호박(이태란)을 만나 “오늘이 아부지 생신”이라며 돈 봉투를 전하는 장면이나 “호박아, 너하고 광박이한테 정말 고맙다. 집도 얻어주고. 난 맏이 노릇도 못하고 못난 짓만 하는데”라는 대사를 던지는 것도 그래서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것은 사실 의..
-
CF퀸 전지현, '별그대'가 깨운 배우 근성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1. 24. 11:09
, 전지현에게는 무언가 특별한 게 있다 “요즘 전지현에게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CF를 포함해 전지현은 늘 비슷한 이미지를 고수한다. 대중들이 피로감을 느낄 시점이 왔다. 차기작에서도 생머리를 휘날리며 남자 주인공만 바꾸면 어렵지 않을까 싶다.” 지난 JTBC 에서 김구라가 한 이 말은 아마도 3,4년 전만 해도 그다지 틀리지 않은 얘기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에서만큼은 합당한 평가가 아니다. 흔히들 연기는 연기자의 고유영역처럼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연기란 대본과 캐릭터와 연출이 함께 만들어내는 복합물이다. 즉 제 아무리 좋은 연기자도 그저 그런 대본과 캐릭터, 연출을 만나면 좋은 연기를 보여줄 수가 없다. 때로는 좋은 연기력이 나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여배우들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