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함
-
'꽃청춘'과 '응팔' 콜라보, 그 득과 실옛글들/명랑TV 2016. 3. 16. 09:26
, 높이 난 만큼 추락의 상처도 깊지만 tvN 나미비아편은 나영석표 예능이 늘 그래왔듯이 그 기획부터 이미 대박이었다. 로 한창 최고의 주가를 올리고 있는 4인방, 류준열, 고경표, 안재홍, 박보검이 출연했기 때문이다. 드라마의 종영으로 아쉬움이 남았던 시청자들이라면 그 연장선으로서 으로 그 빈자리를 채우고픈 마음이었다. 이미 의 포상휴가를 떠났던 그들이 푸켓에서 나영석 PD에게 납치(?)됐다는 소식이 나오자마자 대중들은 반색했다. 대중들이 정확히 원하는 그 포인트를 나영석 PD 특유의 오글거리지 않는 스타일로 짚어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갑자기 아프리카로 떠난 그들. 이런 상황 자체를 뒤늦게 통보받고 후발대로 박보검이 합류하는 과정도 흥미로웠고, 다 모인 그들이 마치 형제처럼 서로를 토닥이며 여행을 하..
-
송영길, 이상훈, 왜 '니글니글'하니 뜰까옛글들/명랑TV 2015. 6. 30. 09:04
멋짐과 섹시함의 정반대, 의 반전 Jason Derulo의 ‘Wiggle’이란 곡은 이제는 ‘니글니글’의 대명사처럼 되었다. 의 ‘니글니글’ 때문이다. 그 특유의 멜로디에 맞춰 ‘니글니글’한 송영길과 이상훈의 살들이 춤을 춘다. 어찌 보면 보기에 불편한 모습들이지만 바로 그 ‘불편함’이 이 ‘니글니글’이란 코너가 가진 반전의 웃음 포인트다. 그들은 그 불편함을 오히려 뽐내겠다는 듯 더 노골적으로 불편함을 드러내려 한다. 사실 몸이란 언젠가부터 상품처럼 전시되는 어떤 것이 되어버렸다. 그 많은 몸짱들이 저마다의 각선미와 복근을 드러내고 매끈한 몸이 가진 섹시미를 보여주면서 그것이 마치 마땅히 그래야할 미의 기준이 된 것처럼 강조되는 세상이다. 몸은 관리되어야 하고, 관리되지 않는 몸은 그 사람의 상품 가치..
-
'1박2일', '개그콘서트'가 돼서는 곤란하다옛글들/명랑TV 2014. 7. 29. 09:59
, 지나친 콩트는 야생을 스튜디오로 만든다 KBS 에 출연한 박태호 예능국장은 “은 진정성”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고도 했다. 그가 말하는 진정성과 초심은 무엇일까. 그것은 야생이고 여행이며 리얼리티일 것이다. 어디든 무작정 떠난 길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들과의 교감이나 의외로 터진 사건이 점점 커지는 국면들이 말 그대로 자연스럽게 보여지는 것이 의 진정성이자 초심이다. 하지만 이번 강릉, 동해로 떠난 은 그 진정성과 초심을 발견하기가 어려운 여행이 됐다. 지나친 콩트 설정이 눈에 띌 정도로 많이 등장했고, 그러면서 여행은 부자연스러워졌기 때문이다. 기차를 타고 ‘좌석 복불복’을 할 때까지만 해도 은 본연의 색깔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박태호 예능국장이 그 빈 자리에 앉아 멤버..
-
흥행돌풍 '군도'에 대한 반응 왜 양극단으로 나뉠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7. 25. 09:52
, 민란을 웨스턴처럼 보는 즐거움 혹은 불편함 역대 최고 오프닝 기록을 갈아치우며 흥행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영화 는 제목이 주는 선입견이 있다. ‘군도’와 ‘민란’이라는 단어는 분명 우리가 처한 현실과 무관할 수 없다. 그것이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이라고 해도 그것이 상영되는 건 지금 현재 우리가 사는 이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나 지금의 막막한 현실이 투영된 것으로 ‘군도’와 ‘민란’이라는 단어를 읽게 된다. 실제로 영화가 갖고 있는 이야기 설정 또한 지금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는 탐관오리가 등장하고 ‘정경유착’이 나온다. 그리고 지리산 추설이라는 의적들이 내뿜는 ‘세상을 바꾸자’는 목소리에도 현실의 울림이 들어가 있다. ‘뭉치면 백성 흩어지면 도적’이라는 반복되는 대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