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울집', 집방의 집 구경에 더해진 '한끼줍쇼'의 사람냄새 '서울집', 집방은 과연 우리의 집에 대한 관념을 바꿔줄까 이른바 집방 전성시대다. MBC 가 의뢰인의 요구에 맞는 집을 연예인들이 대신 찾아주는 콘셉트로 시작했지만, 도심에 직접 집을 짓는 협소주택이나 도심을 벗어나 전원주택을 찾는 이들을 조명하며 주목을 받은 건 현 대중들의 집에 대한 로망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를 잘 보여준 대목이다. 그건 어떻게든 직장 가깝고 학군 좋은 서울에서 작고 비싸더라도 아파트 살이를 할 수밖에 없는 부동산 현실 속에서 정반대로 서울을 좀 벗어나더라도 진짜 집 같은 집을 꿈꾸는 대중들의 욕망을 자극했다. 그 후 SBS가 파일럿으로 방영한 같은 프로그램 역시 꿈꾸던 집을 찾아 연예인들이 그 공간을 체험해보는 시간을 보여줬다. 그 과정에서 집주인이 그런 집을 짓게 된 이유가 등.. 더보기 "뭘 하지 말라고 좀..", '알쓸3' 너무 속 시원한 유시민 일침 ‘알쓸신잡3’, 시에나 캄포광장에서 떠올려진 우리의 포용성 수준이것이 진정한 의 묘미가 아닐까. 이탈리아 시에나의 캄포광장 이야기가 우리네 공동체 문화 이야기로 옮겨가고, 그 이야기는 포용성 문화가 얼마나 그 지역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코드가 되는가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그 이야기들은 이탈리아의 시에나 캄포광장에서 시작해 우리네 아파트 이야기, 산업혁명 시기의 영국이야기, 인구가 서울에만 집중되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심지어 음악하던 친구들이 모이던 홍대와 최근 새로운 음악인들의 공간으로 자리하고 있는 온라인으로까지 옮아간다. 대화를 통한 인식의 확장. 지식들이 겹쳐지면서 생겨나는 깨달음. 가 시에나 캄포광장을 통해 우리의 포용성 수준을 질문하는 대목이 흥미로웠던 이유다. 이야기는 김진애 교수가 중.. 더보기 '알쓸신잡2'가 본 서울, 어째서 안타까움이 더 많을까 종묘보다 넘치는 사직, '알쓸신잡2' 서울에 채워야할 것들 tvN 가 본 서울의 모습은 어땠을까. 이야기는 조선에 한양을 수도로 세운 정도전의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갔다. 북방 외세의 침략을 대비하기 위해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천혜의 요새(?) 같은 한양에 수도를 세운 정도전. 당시만 해도 텅 비어있던 한양은 이제 몇 백년 만에 인구 천 만이 모여 사는 곳이 되었다. 유시민 작가는 숙정문과 남산에 올라 아마도 당시 정도전이 내려 봤을 서울의 풍경을 바라보며 만일 이 달라진 모습을 정도전이 봤다면 “인생 최대의 희열을 느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인구 천 만이 모여 살게 된 그 변화된 서울의 모습에서 느껴지는 건 뿌듯함보다는 안타까움이 더 컸다. 황교익이 지적한 대로 서울은 과거 정도전이 꿈꿨던 모습과는 .. 더보기 '뉴스룸', 훌쩍 커진 이효리에게 손석희도 한 수 배웠다 ‘뉴스룸’ 손석희도 머쓱, 숙연해진 이효리의 생각·노래“유명하지만 조용히 살고 싶고 조용히 살지만 잊혀지기는 싫다. 어떤 뜻인지는 알겠는데 이거 가능하지 않은 얘기가 아닌가요, 혹시?” “가능한 것만 꿈꿀 수 있는 건 아니잖아요.” JTBC 에 출연한 이효리는 손석희 앵커의 질문에 그렇게 답했다. 순간 손석희는 기분 좋은 당혹감을 느꼈을 법하다. 그래서 농담을 섞어 질책하듯 이효리에게 말했다. “질문한 사람을 굉장히 머쓱하게 만드시네요...” 라고.의 손석희와 이효리. 어찌 보면 쉽게 보지 못하는 조합이다. 과거 주로 예능 프로그램에서 소비되곤 하던 이효리의 모습을 떠올리면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4년 만에 돌아온 이효리는 그 때와는 확연히 달라져 있었다. 훨씬 자연스러워졌고 말하는 것에 있어서도 편안해.. 더보기 '말하는대로' 안희정의 헬조선 진단 가슴에 와 닿은 이유 안희정의 ‘말하는대로’, 공약보다 소신과 철학 왜 중요할까“우리는 국토로 치면 10%. 그 좁은 문을 향해 모두 스펙을 쌓기 위해 등허리가 휘고 있는 것 아닙니까? 이 인 서울(in Seoul)이라는 천정부지의 높은 임대료와 그 아파트의 성냥갑 속에서 우리는 치열한 스펙경쟁에 하루하루를 우리 인생을 소모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헬조선이지요. 지난 20세기까지 중앙집권화된 그 국가권력을 모아서 그 권력을 향해서 모든 사람이 충성을 하라고 그랬고 모든 개성을 잠재우라고 했습니다. ‘닥치고 따라와.’ 그러나 21세기 우리의 행복은 이 집중화된 중앙집권화된 체제에서는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답게 새로운 인생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 새로운 인생 한 번 안 살아볼랍니까?”JTBC 에서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