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
경주에서 새삼 확인된 '알쓸신잡' 수다의 가치와 재미옛글들/명랑TV 2017. 7. 2. 10:22
‘알쓸신잡’, 삼겹살 하나에도 이런 씁쓸한 역사가...아마도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가 얘기해주지 않았다면 무심코 집어먹고 있는 삼겹살에도 이런 씁쓸한 역사가 담겨 있다는 걸 우리는 잘 몰랐을 지도 모른다. 경주로 간 tvN . 아침에 일어나 베이컨을 굽고 모카커피를 내리면서부터 나온 수다에서 황교익은 베이컨이 우리나라에서 특히 비싼 건 삼겹살이 비싸서라고 밝혔고, 그 이야기는 일본에 수출하기 위해 대량 양돈사업을 했던 시절의 불행한 역사 이야기로 이어졌다. 당시의 양돈사업이 일본 수출을 위해 만들어지면서 돼지의 안심, 등심이 수출되고 나면 남은 부위들을 우리가 소비하면서 삼겹살, 족발, 머릿고기, 내장, 껍데기 같은 것들을 먹게 됐다는 것.김영하는 모카커피로 내린 에스프레소를 함께 나눠 마시며 얼마 전 봤..
-
유시민의 '먼부심', '알쓸신잡' 신비로운 수다옛글들/명랑TV 2017. 6. 25. 08:44
‘알쓸신잡’, 무엇이 이렇게 신비한 느낌을 줄까‘알아두면 쓸데없는’ 이야기 같다. 경주로 간 tvN 예능 프로그램 . 거대한 능들이 밀집되어 있는 대릉원에서 화려한 금관을 보며 그 많은 금들이 어디서 왔을까를 상상하다, 당시 실크로드의 종착지가 경주였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무역을 통해 들어온 금이라는 것. 그러더니 불쑥 박물관의 우물 관련 글을 쓰기 위해 자료를 찾다가 유물들 속에서 소의 흔적은 찾을 길 없고 말의 흔적만 있더라는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의 이야기가 나오고 박물관 유물들은 지배계급의 것밖에 없다는 이야기로 흐르더니 천마총의 천마장식은 지금으로 치면 페라리의 엠블렘 같은 것이 아니었겠냐는 의미심장한 농담이 덧붙여진다. 경주가 고향인 유시민은 예전에는 그 유적들에서 뛰어 놀았다는 이야기를 건네고..
-
'알쓸신잡' 유시민·김영하, 아재라고 다 같은 아재 아니다옛글들/명랑TV 2017. 6. 11. 11:15
‘알쓸신잡’, 치열한 삶의 궤적이 뒷받침된 수다의 진정성tvN 예능 프로그램 순천, 보성편은 첫 회 통영편과는 다른 구성 방식을 나타냈다. 통영편은 유시민, 황교익, 김영하, 유희열이 통영에 도착해 각자 취향에 맞게 음식을 찾아 먹고 여행을 하는 장면들을 먼저 보여준 후 저녁 식사자리에서 뒤늦게 참여한 정재승과 지식 수다의 시간을 가졌다. 하지만 순천, 보성편은 앞부분에 살짝 그 날 이들이 여행한 장면들을 보여준 후, 바로 저녁 식사자리로 들어가 수다를 시작했고 그 수다 중간 중간에 그들이 여행한 장면들을 구성했다. 이 구성 방식의 변화가 말해주는 건 이 여행이라는 포인트 그 자체보다 지식수다에 더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다. 물론 순천과 보성을 여행하는 내용은 그 지식수다의 재료들이 된다. 그래서 그 지..
-
'한끼줍쇼', 이경규·강호동이 한 걸음 물러나 있다는 건옛글들/명랑TV 2017. 6. 2. 09:15
‘한끼줍쇼’가 그 중심에 동네 사람들을 세우는 방식이경규와 연정훈에게 한 끼의 식구가 되어준 집에는 아빠와 두 아들이 저녁을 준비하고 있었다. 아빠가 능숙한 솜씨로 계란말이를 하고 소고기를 재료로 무얼 할까 고민하던 차에 연정훈이 소고기뭇국이 먹고 싶다고 하자 뚝딱 요리를 만들어낸다. 아들은 아빠를 도와 저녁 상차림을 준비한다. 아직 퇴근하지 못한 엄마와 익숙한 아빠와 아들들의 저녁 준비 속에 그들의 평상시 삶의 모습이 슬쩍 투영된다. JTBC 예능 프로그램 가 일원동의 어느 평범한 집을 찾아가 보여준 한 가족의 일상이지만, 그 속에는 달라진 우리네 가족의 풍경이 자연스럽게 담긴다. 저녁 준비는 당연히 엄마들의 몫처럼 여겨져 왔던 우리네 삶이 이제는 남녀 역할 구분 없이 가족이라는 틀 안에서 누구나 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