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스타K
-
슈스케 탭송, '슈퍼스타K'는 끝나지 않았다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11. 1. 6. 20:57
'슈퍼스타K2'는 아마도 작년 대중문화의 가장 중요한 핵심 키워드가 될 것입니다. 이제 슈퍼스타는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져 대중들에게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 대중들에 의해 뽑혀지고 대중들과 함께 호흡하며 성장해나간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죠. 그렇게 해서 뽑힌 허각, 존박, 장재인, 강승윤. 지금도 그 감동적이었던 오디션 장면들이 여전히 기억에 생생한데요, 이들 슈퍼스타K 4인방이 '슈스케 탭송'을 들고 돌아왔습니다. '슈스케 탭송'은 물론 삼성전자의 갤럭시 탭 브랜드 캠페인송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렇지만 이 노래를 주목할 수밖에 없는 것은 그간 애니모션이나 햅틱미션, 아몰레드송 등의 노래들이 캠페인송에 머물지 않고 대중적인 사랑까지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효리나 손담비, 애프터스쿨 같은 톱 스타들이 그간의..
-
금요일, 케이블은 승승장구, 지상파는 지지부진 왜?옛글들/네모난 세상 2010. 12. 25. 14:15
'슈퍼스타K2'에서 '영애씨', '야차'까지 무시못할 케이블 저력 지상파에서 금요일은 피해가야 할 편성 시간대로 인식된다. 주5일 근무제로 금요일부터 주말을 즐기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시청률은 평소의 반으로 뚝 떨어진다. SBS는 그 빈 땅(?)을 차지하려고 과거 금요일에 두 시간 연속으로 유일하게 드라마를 편성하는 파격을 보였지만 그다지 좋은 성과를 얻지 못했다. 결국 드라마 편성은 폐지되고 좀 더 캐주얼한 교양 프로그램이나 예능 프로그램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현재까지 지상파의 금요일 시청률 성적표는 고만고만하다. 일일드라마나 뉴스를 빼놓고 지상파 금요일 시청률은 10%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케이블은 다르다. 엠넷에서 방영된 '슈퍼스타K2'는 금요일 밤의 풍경을 바꿔놓았다. 시청자들은 이 손에 땀을..
-
'슈퍼스타K2', 허각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였나옛글들/명랑TV 2010. 10. 26. 08:30
'슈퍼스타K2', 허각의 사회학 '슈퍼스타K2'가 제작진이 만들고 시청자가 보는 일방향적 프로그램이었다면 이 프로그램을 갖고 사회를 읽어낸다는 것은 자칫 아전인수 격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이른바 문자 투표 방식을 오디션에 도입했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최종 선택에서 허각과 존박이 후보자로 나서고 각자 자신의 매력과 앞으로의 가능성을 유세(?)하며, 그걸 보고 시청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투표함으로써 그 당선자(?)가 가려진다는 점에서 '슈퍼스타K2'는 하나의 투표시스템을 그대로 닮아있다. 그리고 투표란 누가 당선되느냐도 중요하지만, 그 당선자를 통해 민심을 엿볼 수 있다는 점 또한 중요하다. 최종우승자 허각은 어떤 민심을 말해주는 것일까. 모두들 허각이 '슈퍼스타K2'의 최종..
-
'슈퍼스타K', 진정한 슈퍼스타 배출하려면옛글들/네모난 세상 2010. 9. 30. 10:00
'슈퍼스타K'가 배출해야할 슈퍼스타는 어떤 가수일까 장재인이 기타 하나 달랑 들고 나와서 "바닥이 더 편해요"하며 털썩 주저앉아 또박또박 가사를 음미하듯 노래할 때, 아주 오랜만에 가슴 한 켠을 가득 채우는 어떤 설렘을 느낀 것은 거기에서 '음악'을 보았기 때문이다. 일렉트릭 사운드와 현란한 댄스, 그리고 음악 자체는 물론이고 비주얼조차 점점 찍어낸 듯 비슷비슷해진 작금의 가요계에서 그 노래를 들으며 어떤 정서적 감흥을 느끼기란 실로 어려운 일이 되었다. 아마도 음악이라기보다는 프로듀서에 의해 잘 포장된 하나의 음악상품을 보는 것 같은 느낌 때문일 것이다. 심사위원으로 경쟁자들을 심사하던 윤종신이 한 후보자에게 "당신은 좋은 프로듀서를 만나야 될 것"이라는 지적은 작금의 현실을 잘 말해주는 것이다. 목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