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인', 그 무서운 뒷심은 어디서 오는걸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싸인'(사진출처:SBS)

'싸인'의 상승세가 무섭다. 첫 번째 에피소드였던 한 유명가수의 죽음은 고 김성재의 의문사를 떠올렸지만 그다지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아마도 CSI 같은 세련됨을 기대했던 시청자들의 기대치에는 맞지 않는 우리식의 법의학 드라마라는 점도 작용했을 듯 싶다. 하지만 회를 거듭하면서 오히려 우리 식의 정서가 묻어나는 '싸인'은 힘을 발하고 있다. 두 번째 에피소드로 연쇄살인범의 등장과 함께, 긴박한 사건들을 다차원적으로 엮어내는 연출의 힘이 예사롭지 않다.

하지만 우리네 드라마에서 스릴러 같은 장르적 성격이 성공한 적은 극히 드물다. 고현정이 출연했던 '히트'가 그랬고, 손예진이 맹렬 기자로 등장했던 '스포트라이트(물론 이 작품은 스릴러는 아니지만 그런 요소가 강했다)'도 그랬다. 이유는 당연했다. 우리 드라마에는 멜로 같은 말랑말랑함에 시청자들의 마음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싸인'은 이례적이다. 물론 멜로가 예고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 스릴러적인 사건들만으로 시청률이 급상승했다. 도대체 무엇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잡아 끈 걸까.

사실 작년 내내 우리 문화계에 불어 닥친 '정의' 신드롬은 이례적이다.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셀러에 오른 건 출판전문가들의 분석에 의하면 '정의'라는 키워드가 대중들에게 자극하는 부분이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이 책은 미국 내에서는 그다지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고 한다. '정의' 신드롬은 EBS에서 방영하는 샌델 교수의 강의로 이어지고 있다. 한번쯤 본 사람들은 그 강의가 대단히 매력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유머가 넘치는데다가 어려운 철학적 문제도 명쾌하게 구체적 사례를 통해 풀어내주는 샌델 교수의 힘이다.

작년 영화계를 강타한 건 스릴러 장르였다. '아저씨', '이끼', '악마를 보았다', '부당거래' 등등 그 어느 때보다 스릴러가 강세를 보였다. 그 안을 들여다보면 역시 '정의'라는 키워드가 보인다. 특히 '아저씨'의 대성공은 물론 원빈이라는 배우의 힘이 작용했지만, 현실적으로 구현되지 않고 있는 사회정의라는 차원과 거기에 어떤 부채감 같은 걸 느끼는 고개 숙인 아저씨 감성이 맞물리면서 흥행에 불씨를 던졌다. 그만큼 현실이 채워주지 않는 '정의'에 대한 갈망을 영화라는 판타지 속에서나마 충족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래도 '싸인'은 영화가 아니라 드라마다. 스릴러에도 어느 정도의 수위조절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쇄살인범이 여주인공을 잡아 두고 마치 장난치듯 죽음으로 몰아넣는 장면은 그래서 영화보다는 약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싸인'이 힘을 발휘하는 건 이 '정의'에 대한 갈망이 안방극장으로도 침투하는 것만 같다.

여기에는 장항준 감독의 촘촘한 연출력과 그저 연기로 부딪치는 박신양과 전광렬의 팽팽한 대결, 그리고 푼수 같은 털털한 이미지로 변신에 성공한 김아중의 몫이 크다.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와 긴장을 풀어주는 코믹한 설정들, 그리고 적절히 이어지는 멜로의 균형 감각도 좋은 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목을 끄는 건, 역시 올바른 선택을 하며 살아가는 이들이 성공하기를 바라는 그 '정의'에 대한 갈망이다. '싸인'의 다음 에피소드는 과연 그 갈망을 더 키워놓을 수 있을까.

이 땅에서 법의학 드라마를 한다는 것은

"CSI 같은 드라마 보고 멋있겠다 싶어 깝치는 부류를 보면 구역질난다." '싸인'에서 법의학자인 윤지훈(박신양)은 고다경(김아중)에게 이렇게 소리친다. 이 대사에는 '싸인'이라는 드라마가 지향하는 바가 함축되어 있다. '싸인'은 'CSI'처럼 쿨하지도 않고, 또 쿨할 수도 없으며 그래서도 안된다. 왜? 그것이 다루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네 삶과 직결된 인권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싸인'은 'CSI'가 보여주는 놀라운 과학의 힘보다 더 중요한 것이 '죽은 자의 인권'이라 생각하는 드라마다.

물론 'CSI'가 인권을 다루지 않는다는 얘기가 아니다. 그만큼 우리네 법의학의 역사에서 인권의 문제만큼 화두가 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민주화 시대에 빈번하게 불거져 나왔던 의문사들, 그리고 권력과 연계되어 묻혀버린 죽음들이 여전히 우리네 공기에 흩어져 있는 상황에, 화려하게 꾸며진 연구실과 고가의 장비들이 다 무슨 소용일까. 물론 그런 과학적인 지원은 중요한 것이지만, 적어도 우리에게 있어 법의학은 법의학자들의 도덕적인 판단이 그 무엇보다 더 중요하다.

윤지훈과 이명한(전광렬)의 대결구도는 바로 그 점을 부각시킨다. 학교 분교를 재건축한 듯 보이는 초라한 남부지원의 윤지훈과, 'CSI'를 방불케 하는 화려한 장비와 시설로 무장한 이명한의 부검실은 확실한 대비를 만든다. 몇 백 억을 들여 만든 장비로 사체를 부검하고 사인을 분석하는 이명한은 그러나 차관의 방문에 더 신경을 쓰는 반면, UV조명장치가 없어 노래방 조명을 떼다가 사인을 분석하는 윤지훈은 온통 사체에만 집중한다.

인권의 사각지대처럼 여겨져 온 강압수사가 횡행하던 시절, '과학수사'는 모든 걸 투명하게 해줄 것처럼 여겨져 왔지만, 과연 과학은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었을까. 문제는 과학이 아니라 법의학의 기본정신인 인권을 다루는 법의학자들의 도덕성이다. 그래서 '싸인'은 'CSI'처럼 쿨하지 못하다. 보험금을 받기 위해 한 가장이 저지른 자살을 '과학적으로' 규명해내는 것보다, 그 가장이 왜 그런 자살까지 시도하면서 가족들을 챙기려 했는지에 더 주목한다. 윤지훈이 그 가족을 찾아가 안타까운 사정을 설명하는 장면은 'CSI'와는 다른 '싸인'이란 드라마의 정체성을 잘 말해준다.

혹자는 미드와 비교하며 왜 '싸인'이란 드라마가 쿨하지 못하고, 인간적인 관계에 집착하는지 의아해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바로 그것이 우리네 사회 속에서 법의학이라는 소재를 다룰 때 가져야 되는 태도다. 과학보다 중요한 건 인간관계이고, 정의에 대한 신념이다. 그래서 윤지훈이 있는 남주지원의 인물들은 전문가들의 집단이라기보다는 가족 같다. 윤지훈의 부검결과를 번복하면서 옷을 벗고 떠난 전 국과수 원장 정병도(송재호)가 윤지훈의 아버지 같은 인상을 주는 건 그 때문이다.

또 윤지훈이라는 캐릭터가 어떤 천재적인 능력을 보유한 인물로서 그려지지 않는 점도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 드라마의 메시지 속에서 윤지훈이라는 캐릭터는 능력보다 신념이 중요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는 화려한 기술보다, 냉철한 판단력과 따뜻한 가슴을 지닌 인물이어야 한다. 그것이 설령 드라마라고 하더라도, 이 땅에서 법의학에 접근하는 최소한의 예의이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