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
-
'상류사회', 이 드라마 도대체 정체가 뭐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7. 1. 12:04
사랑과 우정 그리고 욕망, 의 세 바퀴 정체를 알 수가 없는 드라마다. 처음 구도만을 보면 그저 그런 재벌가 이야기처럼 보인다. 그런데 그 안을 살짝 들여다보면 흔한 신데렐라도 없고 흔한 재벌도 없다. 재벌가 딸이지만 천덕꾸러기 신세로 어린 시절부터 엄마에게 학대당해온 윤하(유이). 그녀는 살기 위해서 재벌가 딸임을 숨긴 채 마트 아르바이트를 한다. 부유하지 못해도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서민들과 함께 호흡하는 것이 그녀의 숨통을 겨우 틔워주기 때문이다. 윤하의 절친인 지이(임지연)는 마트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살지만 누구보다 자기 주관이 뚜렷한 여성. 그녀 앞에 나타난 재벌가 자제 창수(박형식) 앞에서도 그 조건 때문에 흔들리지 않는 인물이다. 그녀가 전형적인 신데렐라로 그려지지 않는 건 오히려 창수가 ..
-
'가면', 그저 그런 막장의 유혹 빠지지 않으려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6. 26. 09:02
, 가면 놀이가 돼서는 곤란하다 SBS 이 다루려는 건 정체성에 대한 문제다. 살아있지만 죽은 사람의 삶을 살아야하는 자(변지숙)와 죽었지만 타인의 욕망에 의해 유령처럼 떠도는 자(서은하)의 이야기. 도플갱어인 그들은 가면이란 장치를 통해 삶을 바꾼다.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변신 욕구는 시대를 불문하고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소재지만, 이러한 범죄에까지 와 닿는 변신에 대한 욕망은 그 사회의 건강하지 못함을 드러낸다. 즉 이 드라마는 가면이란 설정 자체가 이미 진지해질 수밖에 없는 특징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막상 가면을 씌우고 나니 거기 보이는 많은 놀이(?)들이 있다는 점이다. 드라마적으로 이런 놀이들은 극성을 높여주고 때론 달달하게 때론 자극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게 해..
-
'상류사회', 가면을 벗기니 비로소 보이는 것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6. 17. 10:34
, 그건 사랑일까 욕망일까 상류사회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각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뉜다. 그 하나는 선망이자 판타지다. 서민들이라면 도무지 가질 수 없는 화려하고 부유한 삶에 대한 막연한 동경. 이걸 드라마로 다루면 주로 신데렐라가 나오는 멜로가 나온다. 다른 하나는 계급적인 시각이다. 죽어라 열심히 살고 있는데 누구는 점점 더 잘 살고 누구는 점점 못 살게 되는 사회 시스템의 부조리를 들여다보는 것이다. 이걸 드라마로 다루면 사회극이 나온다. 그렇다면 아예 제목부터 인 이 드라마는 어떤 시각을 보여주고 있을까. 는 이 두 가지 패턴화된 시각을 여지없이 깨버린다. 회장 아들이 등장하긴 하지만 그 흔한 신데렐라 이야기는 잘 보이지 않는다. 서민 중의 서민으로 보이는 알바생 이지이(임지연)는 그를 쫓아다니는..
-
'상류사회', 왜 뻔한 설정일수록 기대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6. 10. 09:24
상투성을 깨는 묘미, 이게 바로 하명희 작가의 힘 어찌 보면 너무 뻔한 제목이다. . 드라마들이 지금껏 가장 많이 다뤄왔던 그 소재. 그래서 상투성으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소재다. 서민들의 선망과 호기심, 궁금증을 자극하려면 서민적인 이야기보다는 상류층의 이야기를 다루라는 건 드라마계에 오랫동안 내려왔던 불문율 같은 것이기도 하다. 는 그 캐릭터들의 구도 또한 익숙하다. 전형적인 재벌가 남자인 창수(박형식) 같은 인물도 있고 남다른 실력으로 그 상류사회에 편입하고픈 욕망을 가진 준기(성준), 그저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티고 살아가면서 신데렐라를 꿈꾸기도 하는 지이(임지연)나 재벌가 안에서도 차별을 받는 윤하(유이) 같은 인물도 있다. 어디선가 많이 봤던 캐릭터들이다. 보통 이 정도 되면 기대할 게 별로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