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영
-
'1박2일', 정준영 없어도 남은 저력 충분하다옛글들/명랑TV 2016. 10. 11. 08:42
, 정준영 빈자리 보단 남은 자산 돌아보길 KBS 에서 정준영은 결국 하차했다.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고 그 빈 자리가 아무렇지도 않을 리는 없다. 한글날 570주년을 맞아 특집으로 마련된 은 그래서 그 오프닝 자리에 정준영의 빈자리를 에둘러 표현했다. 마치 사죄를 하고 있는 듯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출연자들의 모습을 의식했고, 어쩌다 삭발을 하고 온 김준호에게 마치 이 새 출발을 하기 위해 의지를 다진 것 같은 뉘앙스를 덧씌웠다. 판교역에서 출발해 여주까지 가는 경강선에서 게임을 시작하려 할 때 출연자들은 ‘그 동생’의 빈자리를 언급했고 목적지인 세종대왕릉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며 간식을 먹을 때도 ‘그 동생’을 이야기하며 아쉬움과 그리움을 표했다.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 꽤 오랫동안 함..
-
'집밥 백선생2', 우리가 이 프로그램을 기다려온 이유옛글들/명랑TV 2016. 3. 24. 08:47
쿡방은 끝물? 은 다르다 쿡방은 끝물인가? 사실 너무 많은 쿡방, 먹방이 쏟아져 나오다 보니 이제 식상하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상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하지만 시청자들이 tvN 을 보는 시선은 약간 다르다. 그저 방송으로서의 재미만이 아니라 이 프로그램은 실제로 요리를 한 번도 해보지 못한 요리무식자들이 주방 문턱을 넘는 것을 수월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은 물론 있다. 때로는 과해 보이는 양념이나 편법처럼 보이는 간단한 레시피. 그것이 ‘집밥’이라는 의미와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시선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집밥’은 당연히 ‘엄마의 밥상’이라는 그 고정관념에서 비롯되는 일일 수 있다. 집밥을 그저 집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해먹을 수 있는 밥 정도로 내려놓고 보면 요리에 대해 느..
-
서울대라는 스펙 가면 벗긴 '1박2일'의 놀이옛글들/명랑TV 2015. 5. 19. 08:23
과 서울대, 그 부조화의 재미 우리에게 서울대란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혹 막연한 스펙의 가면으로만 존재하는 이름이 아니었을까. 그래서 그 가면 뒤에 실제로 웃고 우는 학생들의 진면목을 보지 못했던 건 아닐까. 서울대를 찾아간 이 흥미로웠던 건 그 막연한 느낌으로만 다가왔던 그 곳에서 공부하고 땀 흘리고 있는 학생들과 직접 어우러지는 시간을 가졌다는 점이다. 물론 대학은 본래 예능의 텃밭이었다. 대학 특유의 자유로움은 예능과 만나 특별한 재미를 선사하곤 했으니 말이다. 과거 1998년에 방영됐던 는 대표적이다. 강호동이 MC를 맡은 이 프로그램은 끼 많고 재주 많은 대학생들을 발굴해냈는데, 이 프로그램이 인연이 되어 연예계에 입성한 이들도 적지 않다. 이혁재는 대표적이고 전현무, 류수영, 샘 해밍턴도 이..
-
진짜보다 더 재밌는 '1박'표 낚시 복불복옛글들/명랑TV 2014. 12. 23. 09:48
책 한 권으로도 제대로 놀 줄 아는 이젠 계획이 틀어져도, 책 한 권만 있어도 충분히 재밌을 수 있다? 제주도편이 보여준 건 오히려 계획에서 틀어질 때 이 여행 버라이어티는 훨씬 더 재밌어진다는 것이었다. 은 본래 우리나라 최남단인 마라도가 최종 목적지였지만 풍랑 때문에 배를 탈 수 없게 되자 마라도가 멀리 보이는 하모 해수욕장에서 복불복을 했다. 작년 갑작스런 기상악화로 섬에 들어가지 못했을 때 출연자들로부터 플랜 B가 없다고 비난받았던 제작진들은 나름 준비한 해녀복을 챙겨 입고 이른바 ‘해녀 올림픽 3종 경기’를 했다. 바람이 쌩쌩 부는 해수욕장에서 해녀복을 입은 출연자들은 코끼리코를 하고 달리기, 멀리 뛰기 그리고 바닷물에 살짝 앉아 손뼉으로 상대방 넘어뜨리기를 했다. 지극히 단순한 복불복이지만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