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2’보다 ‘하얀거탑’에 끌리는 이유

‘종합병원2’의 정하윤(김정은)이란 캐릭터에 대해 말들이 많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캐릭터인데다가, 어떠한 끌리는 면모도 발견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자 당연히 그 역할을 연기하는 김정은에게도 화살이 날아간다. 실제로 ‘종합병원2’의 김정은이 연기하는 정하윤이라는 옷은 잘 어울리지 않는 면이 있다.

드라마 초반의 정하윤이란 캐릭터는 좀 과장된 성격으로 김정은이 지금껏 빛을 발해왔던 코믹 연기와 잘 어울리는 듯 보였다. 하지만 이 캐릭터가 초반부의 발랄함에서 어느 순간 진지해지는 시점에서부터(바로 이 시점부터 캐릭터에 대한 매력도 떨어졌다) 연기자와 캐릭터 사이에 균열이 생겼다. 도대체 왜 주인공이 매력이 떨어지는 이런 상황이 생긴 걸까.

정하윤은 의사이면서 변호사의 마음을 갖고 있는 복합적인 성격의 캐릭터다. 변호사로 일해왔으나 아버지의 안타까운 죽음으로 의사가 되는 이 인물은, 병을 고치는 의사이면서도 그 의사의 의료행위를 감시하게 되는 변호사의 입장을 동시에 갖게 되면서 동료 의사들과 대립하게 된다. 이 드라마가 제시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이 캐릭터를 통해 명확해진다. 의사들의 의료사고 문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의사의 입장까지도 포착하려는 시도다.

하지만 의학드라마의 계보 속에서, 또 우리네 고질화된 집단적 사회 풍토 속에서 이 낯선 정하윤이라는 인물은 그다지 환영받을 만한 캐릭터는 아니다. 집단주의에 경도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내부고발자를 보는 시선은 여전히 차갑다. 분명 이런 주제의식을 드라마로 풀어내겠다는 시도 자체는 대단히 신선한 것이다. 하지만 이 대중들에게 환영받지 못할 캐릭터를 어떻게 매력적인 캐릭터로 만들 것인가 하는 고민은 이것과는 다른 문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지금껏 ‘종합병원2’가 그려낸 정하윤이란 인물은 그다지 매력적이지가 않다는 점이다.

이미 의료사고에 대한 메시지를 건드렸던 드라마가 있다. 그것은 ‘하얀거탑’이다. 여기서는 장준혁(김명민)과 최도영(이선균)이 부딪친다. 사실 최도영은 의료정의를 구현하려는 인물이었지만 대중들은 오히려 장준혁에 더 열광했다. 그것은 이 드라마가 정의를 구현하는 내부고발자인 최도영보다는 집단주의의 희생양으로 그려지는 장준혁에 더 집중한 이유다. 장준혁에 포커스를 맞췄지만 결과적으로 이 드라마는 의료사고에 대한 메시지를 충분히 얘기했다. ‘종합병원2’가 가진 대중들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캐릭터의 문제를 거꾸로 뒤집어 접근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하윤을 연기하는 김정은이라는 배우가 가진 아우라가 여전히 코믹쪽에 더 기울어 있다는 것도 이 드라마로서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 복잡한 심리상태를 이해시키는데 적어도 배우가 어떤 틀에 갇힌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은 그만큼 어렵다는 이야기다. 물론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에서 무언가 다른 내면연기를 보여주었던 김정은이지만, TV 속에서 우리에게는 여전히 ‘파리의 연인’의 태영으로 더 남아 있는 게 사실이다. 어딘지 상큼 발랄한 이미지를 기대했던 시청자라면 정하윤이라는 매력이 떨어지는 캐릭터의 옷을 입은 김정은에게 실망감을 느꼈을 수 있다.

‘종합병원2’는 ‘하얀거탑’과 비교하면 착한 드라마다. 거기에는 의료사고에 대해 고민하고 후회하는 의사들이 자기반성의 과정을 거치는 장면들을 보여준다. 이것은 ‘하얀거탑’과는 정반대의 행보다. ‘하얀거탑’은 대신 강력한 욕망을 가진 한 인간의 질주에 더 집중하고, 그 추락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거꾸로 의료사고에 대한 문제의식을 끌어낸다. 차이는 그 과정을 보여주는 캐릭터에 대한 대중들의 매력도다. 우리는 아직은 ‘종합병원2’의 정하윤보다는 ‘하얀거탑’의 장준혁에 더 끌린다. 어쩌면 그것이 대중들에게는 더 리얼하게 의사집단을 그려낸 것이라 여겨졌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실제 현실은 다를 수도 있겠지만.

의드로 장르화 된 소재, 캐릭터 신선미 떨어뜨려

국내 의학드라마의 효시인 ‘종합병원’의 적통을 잇는다는 기대를 한데 모으고 방영된 ‘종합병원2’의 첫인상은 그다지 신선하지 않다. 14년의 공백 사이에 무수히 많은 의학드라마들이 계보를 이루어왔고, 그렇기에 이미 하나의 장르가 되어버린 의드에 ‘종합병원2’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그 제목이 주는 화려한 외투에 비해 첫 단추를 풀어 보인 ‘종합병원2’의 속살은 우리가 익숙하게 봐왔던 것들이었다.

의드에 이런 캐릭터 꼭 있다
‘종합병원2’의 캐릭터들은 여러모로 ‘그레이 아나토미’의 캐릭터들을 벤치마킹한 혐의가 짙다. 주인공인 좌충우돌의 정하윤(김정은)은 메리디스 그레이를, 어딘지 어수룩하지만 인간적인 최진상(차태현)은 조지 오말리를, 상사이면서도 따뜻한 심장을 가진 김도훈(이재룡)은 데릭 셰퍼드를 떠올리게 한다.

그리고 사실 이것은 거의 대개의 국내 의학드라마들이 가졌던 캐릭터 구조다.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카리스마 넘치는 외과의 과장이 있고, 이제 막 병원생활을 시작하는 신출내기 레지던트들이 있으며 그 레지던트들 사이에는 우정인지 사랑인지 애매한 관계의 남녀가 있다. 대체로 주인공은 그 레지던트들 중 여성이며, 그 여성은 외과의 과장 혹은 동료와 사랑에 빠진다. 이것이 그 대략의 구조다. 이 틀은 이미 ‘뉴하트’에서도 똑같은 구조로 제시된 바 있다. ‘외과의사 봉달희’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여지없이 빠지지 않는 캐릭터는 레지던트들을 깨는 호랑이 선배 레지던트다. ‘종합병원’에서 오욱철이 했던 그것을 ‘종합병원2’에서는 류승수가 맡아 하고 있다. 이것은 ‘뉴하트’에서는 뒤질랜드로 유명한 배대로(박철민)라는 캐릭터로 보여진 바 있다. 이들 캐릭터들은 아마도 ‘종합병원’이 최초로 방영되었던 1994년이라면 획기적이고 신선한 캐릭터였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미 이 캐릭터들이 전형화되어 버린 지금은 그렇지가 못하다.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이야기들
총상을 맞고 응급실에 실려온 유괴범과 그가 어디에 숨겨두었는지 밝히지 않아 위험에 처하게된 유괴된 아이를 두고 벌어지는, 이른바 ‘범법자와 환자’코드의 에피소드 역시 새로운 것이 아니다. 유괴범을 범법자로 봐야하는가 아니면 환자로 봐야 하는가 하는 의사들의 원초적인 질문을 하는 이 에피소드는 이미 ‘외과의사 봉달희’에서 소개된 것들이다. 살인범을 살려주었더니 그 자가 오히려 봉달희를 칼로 찌르는 이 이야기는 의사라는 직업과 인간이라는 본질 사이에서 고뇌할 수밖에 없는 의사들의 상황을 잘 말해주는 에피소드다.

‘종합병원2’에서는 마지막 장면에 정하윤과 최진상이 서로 환자를 살리기 위해 땀과 눈물을 흘리는 장면을 교차시키면서 이 메시지를 잘 영상화해냈다. 즉 정하윤이 살리려는 유괴범이나 최진상이 살리려는 유괴된 아이 모두 의사에게는 살려야만 할 등가의 환자라는 걸 영상이 분할화면으로 보여준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에게는 그 유괴범도 하나의 환자에 불과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이 에피소드는 이미 여러 번 의학드라마에서 반복되어 이제 그 신선미가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이제 단 2회가 지난 것으로 아직까지 이 드라마의 전체 그림을 예단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여준 ‘종합병원2’의 모습은 어떤 새로운 의드의 도전을 보여준다기보다는 익숙한 의드의 코드들을 활용하는 장르에 기대는 느낌이다. 어쩌면 그것이 좀더 대중적으로 성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다른 것도 아니고 국내 의학드라마의 첫 단추를 열었던 ‘종합병원’의 연장선이라면 무언가 달라야 하지 않을까.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지 않는 ‘종합병원2’가 자칫 ‘종합병원’의 향수에 기대는 드라마로만 남지 않기를 바란다.

‘종합병원2’, 의학드라마의 또 다른 진화가 되려면

새롭게 시작하는 ‘종합병원2’는 의학드라마의 계보를 잇는 드라마다. 본격적인 의학드라마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종합병원(1994)’의 적통이기 때문이다. ‘종합병원’은 최완규 작가가 현장에서 거의 살다시피 하면서 병원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의 디테일을 살리는 노력을 기울였다. 실로 이 드라마는 전문성이 부족했던 당대 드라마환경에서 획기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시청률은 물론 작품성에서도 호평을 기록한 ‘종합병원’의 성공은 다른 의학드라마의 탄생을 예고하기에 충분했다. ‘의가형제(1997)’, ‘해바라기(1998)’, ‘메디컬센터(2000)’의 등장이 그것이다. 이 중 ‘의가형제’와 ‘해바라기’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종합병원’만큼의 전문성을 갖지는 못했다.

트렌디 드라마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면서 드라마는 전문성보다는 멜로에 집착했고, 그러자 ‘무늬만 전문직 드라마’라는 말이 등장했다. 전문성과 디테일이 살아있는 이른바 전문직 드라마에 대한 요구가 커지자 본격적인 의학드라마는 부활을 예고했다. ‘하얀거탑’과 ‘외과의사 봉달희’가 본격 의학드라마의 계보를 이으며 등장해 호평을 받았다.

이 두 드라마는 모두 의학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었지만 그 결이 달랐다. ‘하얀거탑’이 멜로 라인 없이 한 인간의 욕망에의 질주를 그려냈다면, ‘외과의사 봉달희’는 전문직으로서의 의사이면서 동시에 한 인간으로서의 의사를 그리며 호평을 받았다. 이어서 의학드라마의 계보를 이은 것은 ‘뉴하트’로 이 드라마는 ‘외과의사 봉달희’와 ‘하얀거탑’의 요소들을 모두 아우르고, 의학드라마를 하나의 장르로 정착시켰다.

이제 그 계보 위에 세워질 ‘종합병원2’는 어떨까. 2008년에 만들어지는 ‘종합병원2’는 단순히 1994년작 ‘종합병원’의 연장선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그간 이어진 계보의 연장선에서 봐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커진 것은 기대감과 함께 부담감이다. 의학드라마의 효시를 등에 업고 있고, 또한 일련의 진화된 계보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무언가 다르거나 혹은 진화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오히려 기대감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종합병원2’의 차별점으로 일단 제시된 것들은 인물들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는 점과 이전보다 더 디테일한 장면 묘사에 공을 들였다는 것 정도다. 이건 사실 정확히 말하면 차별점이 아니다. 세대교체야 당연한 것이며, 디테일한 장면 묘사는 ‘하얀거탑’ 이후 일련의 의학드라마들이 추구해온 방향이다. 또 휴머니즘을 바탕에 깔 것이고, 또 멜로 라인도 필수적으로 들어갈 것이라는 점은 이미 ‘외과의사 봉달희’나 ‘뉴하트’를 통해 반복되었던 것들이다. 이것은 이제 의학드라마라고 하면 하나의 장르의 요소로서 굳어진 것들이다.

흔히들 의학드라마를 보며 “이런 장면 꼭 있다”는 말이 나오는 것은 의학드라마가 이제 장르가 가진 먹히는 요소들의 유혹을 받는다는 반증이다. 같은 내용에 인물이 조금 바뀌고 장면들이 좀더 세련되게 구사한다고 해서 이제는 더 이상 차별화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진짜 차별화가 이루어지려면 지금까지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스토리의 발굴이 필수적이다. 완전히 장르를 벗어날 수는 없겠지만, 큰 틀에서 몇 가지는 ‘종합병원2’가 장르의 유혹을 벗어나 그것만의 차별점을 찾기를 바란다. 그것만이 의학드라마의 계보 위에서 ‘종합병원2’가 새로운 가치를 만들 수 있는 일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