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
-
'SNL 코리아'의 패러디가 불편한가옛글들/명랑TV 2012. 11. 9. 09:16
왜 패러디를 패러디로 못볼까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념, 특정 작가의 문체를 모방하여 익살스럽게 변형하거나 개작하는 수법.’ 다소 문학적인 틀에 갇혀 있던 이러한 패러디의 고전적 의미는 현대에 들어서는 다양한 영상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표현기법 중의 하나가 되었다. 표절과 헷갈리는 부분이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원본이 전면에 드러나느냐 아니냐다. 알다시피 패러디는 원본이 있다는 것을 수용자가 인지해야 가능한 기법이다. 을 같은 서체로 이라고 쓰고 그 형식을 가져오면 누구나 그것에서 이라는 원본을 떠올릴 수 있다. 따라서 패러디에서 원본은 늘 전면에 내세워진다. 반면 표절은 늘 원본을 숨긴다. 그저 가져다 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본이 드러나지 않기 위해 교묘하게 위장술을 펴는 것. 그것이 바로 표절이다..
-
'짝', 진정성에 목숨 거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12. 9. 28. 07:53
패러디 소송 논란, 핵심은 진정성 이 에 민사소송을 걸었다. 이유는 의 짝 재소자 특집이 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는 것. SBS는 짝 재소자 특집이 이 갖고 있는 형식인 ‘-호’, ‘도시락 선택’, ‘데이트권’ 등을 그대로 따라했다고 주장했다. 따라한 것은 맞다. 다만 그것이 모방인지 아니면 패러디인지는 구분해야 할 것이다. SBS의 행보에 많은 네티즌들의 반응이 싸늘한 것은 바로 이 점 때문이다. 만일 이것이 하나의 사례로 남는다면 무수한 패러디들은 모두 소송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 했던 짝 패러디도 여기서 예외일 수 없다. 또 그렇게 생각하면 이 시도했던 미션들 중 하나에서 가지가 나와 생겨난 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오리지널리티를 따지고 들어가면 문제는 굉장히 복잡해진다. 작금의 방송 프로그램들은 엄밀..
-
'더 로맨틱', '짝'보다 기대되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12. 2. 10. 10:54
'짝'과는 다른 '더 로맨틱'의 매력 '짝'은 교양다큐의 포장을 하면서 기존 '짝짓기 프로그램'과 차별점을 만들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처럼 깊숙이 일반인들의 심리 변화를 파고드는 지점은 좀 더 강하고 리얼한 스토리를 가능하게 했다. 출연자들의 스펙, 외모, 성격 등이 매회 대중들의 화제가 되는 것은 이 프로그램이 '결혼'이라는 현실적인 지점을 세워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현실적인 지점은 애정촌의 행동강령 첫 구절에 들어있다. '애정촌의 존재목적은 결혼을 하고 싶은 짝을 찾는 데에 있다'. 실제로 이 '결혼'이라는 현실은 '짝'이 화제가 되는데 가장 큰 요소로 작용했다. 대부분 겉으로는 드러내지 않던 스펙이나 외모에 대한 경도를 슬쩍 드러냈을 때, 마치 우리들 속에 있는 치부를 본 듯한 '불편함'은 생겨날..
-
'짝'의 무엇이 예능을 술렁이게 하나옛글들/명랑TV 2011. 10. 27. 12:24
'무한도전'은 왜 '짝'을 패러디했을까 '짝'이 언제부터 이렇게 예능에 가장 '핫(hot)'한 프로그램이 됐을까. 시청률은 아직 10% 내외지만 이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은 뜨겁다. 남자○호, 여자○호라는 지칭은 유행어가 되고 있을 정도다. 뜨거운 관심은 끝없는 논란으로도 이어졌다. 방송 중간 애정촌을 뛰쳐나가는 해프닝을 일으켰던 출연자의 게시판 폭로는 뜨거운 조작 논란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아무래도 출연자들이 일반인인데다, 이런 본격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지상파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분명한 건 이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 관심은 대중들은 물론이고 방송가에도 그만큼 뜨겁다는 것이다. 이른바 잘 나간다는 예능 PD들 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