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
지소연까지 출격한 ‘골때녀’, 승패만이 아닌 스포츠의 진가동그란 세상 2021. 8. 20. 10:31
‘골때녀’, 그녀들의 피, 땀, 눈물에 담긴 스포츠의 진가 스포츠는 어쩔 수 없이 경쟁을 할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승패만이 중요할까. 지금껏 그 많은 스포츠중계들이 보여준 건 경기와 결과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스포츠는 그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들이 적지 않다. 함께 공통의 목표를 향해 달리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동료의식이나, 이기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이 만들어내는 초인적인 성실함, 결과를 이뤘을 때의 희열과 더불어 좌절했을 때 서로를 토닥이며 또 나갈 수 있게 해주는 끈끈한 연대의 힘 등등 그 진가는 적지 않다. SBS 이 리그전을 통해 4강을 확정짓고 본격 대결을 하기 전 팀들의 훈련과정을 담았다. 최종 4강에 올라간 팀은 FC불나방, FC월드클라쓰, FC국대패밀리, FC구척장신이다. FC개벤져스는 F..
-
'뭉쏜' 넋 나간 허재, 입장 바뀐 안정환.. 이런 꿀잼 스위치라니옛글들/명랑TV 2021. 2. 18. 12:15
'뭉쳐야 쏜다', 예능과 리얼 스포츠의 기막힌 콜라보 영혼이 서로 다른 육체에 들어가 만들어지는 이른바 '스위치' 콘셉트 콘텐츠의 예능 버전을 보는 것만 같다. JTBC 새 예능 가 시작됐다. '전설들의 조기축구'로 1년 반을 달려왔던 가 종목을 농구로 바꿨다. 그러면서 역할과 입장이 뒤바뀐 꿀잼 스위치 상황이 생겼다. 감독과 선수들이 처음 모이는 자리, 일찌감치 모임장소에 간 김용만과 김성주는 과거 때를 고스란히 떠올렸다. 달라진 게 하나도 없어 보이지만, 곧바로 도착한 허재가 시절의 초라했던 을왕리 때의 모습과는 너무나 달라진 수트 차림으로 등장하면서 의 색다른 묘미를 예감케 만들었다. 그 때는 선수로서 감독을 맡은 안정환에게 이리저리 굴림을 당하던(?) 그였지만, 지금은 감독으로 자리하게 된 것. ..
-
안정환, 이젠 해설자보다 예능인이 어울린다옛글들/명랑TV 2016. 3. 2. 07:35
안정환의 거친 말투, 해설보다 예능이 낫다 지난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당시 경기만큼 뜨거웠던 것이 바로 중계 전쟁이었다. 처음 그 승기는 MBC가 확실히 잡은 것처럼 보였다. 이미 를 통해 친숙한 이미지를 갖게 된 김성주와 안정환이 나란히 축구 중계석에 앉아 있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결과는 KBS 중계를 했던 이영표의 승리로 돌아갔다. 심지어 문어영표, 표스트라다무스라는 애칭이 생겨날 만큼 이영표는 확실한 논거와 자료를 들어 해설하면서 축구 해설만의 재미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김성주의 안정된 진행에도 불구하고 안정환의 해설은 ‘만담’처럼 들렸다. ‘때땡큐’나 다소 거친 표현들이 등장해 자극적인 재미를 준 건 사실이지만 그것이 축구 해설의 묘미는 아니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그 후 도 폐지되고 안정환은 ..
-
강호동과 유재석, 이러다 운동선수 될라옛글들/명랑TV 2013. 7. 22. 08:46
예능에 부는 스포츠 바람, 왜? 스포츠는 연예인 예능의 극점인가. 최근 예능에 부는 스포츠 바람이 심상찮다. 강호동은 자신의 장기인 스포츠로 특화되는 양상이다. 이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탁구로 시작했던 종목은 볼링을 거쳐 배드민턴으로 접어들었다. 또 이 ‘단점 극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다이빙을 아이템으로 잡는 바람에 강호동은 다이빙도 하게 되었다. 그것도 그저 흉내 내는 정도가 아니라 김천시에서 벌어지는 국제 마스터스 대회에 출전까지 했다. 아마도 최근 강호동의 일주일은 스포츠의 연속이었을 것이다. 은 작년에 이어 박지성과 함께 하는 자선축구대회인 ‘아시안 드림컵’에 출전했다. 이 대회에는 박지성은 물론이고 그의 절친인 세계적인 축구선수 에브라도 참여했다. 유재석은 페널티 킥을 차는 기회를 얻었지만 골..
-
'맨발의 꿈', 영화보다가 박수치는 영화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10. 7. 1. 16:52
영화 보다가 박수치기? 어린 시절에는 그런 경험이 많았습니다. 아마도 영화가 여전히 마술적인 어떤 것으로 여겨졌던 탓이겠지요. 영화 속 장면이 마치 실제라도 되는 듯 박수를 쳤던 기억은 생생합니다. 나이들어서 그런 경험은 별로 없습니다. 그만큼 영화는 객관적인 가상놀이가 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스포츠는 '각본없는 리얼 드라마'라는 점에서 놀이를 바라보면서도 박수를 치는 몇 안되는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였을까요? 아니면 월드컵 시즌이라는 특수한 시기였기 때문이었을까요. '맨발의 꿈'을 보고 있는데, 이제는 잊혀져 가는 그 박수소리가 다시 들려왔습니다. 와- 하는 함성소리와 함께 말입니다. 후반부 클라이맥스에서 서로 반목하던 두 친구가 합심해 골을 넣는 장면에서입니다. 우리는 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