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의 귀환, 젊은 세대와 소통하는 트로트

 

이번엔 헬멧 대신 보자기, 체육복 대신 밭일이라도 나갈 것 같은 모시적삼이다. ‘빠빠빠라는 곡 하나로 단박에 스타덤에 오른 크레용팝이 새로 들고 나온 어이(Uh-ee)’라는 곡의 의상 콘셉트. 이런 의상을 입게 된 것은 아마도 이들이 들고 나온 장르가 트로트이기 때문일 게다. 일렉트로닉 사운드로 재해석된 트로트는 크레용팝의 발랄한 댄스와 기묘하게 어우러진다. 물론 크레용팝이 부르는 트로트풍의 노래 역시 마치 시골장터의 품바를 보는 듯 정겹고 구수하다.

 

'크레용팝(사진출처:크롬엔터테인먼트)'

트로트 하면 어딘지 올드하다고 여겼던 분들이라면 이 뮤직비디오를 보고 새로운 느낌을 가지게 될 것이다. 거기에는 올드하다기보다는 어딘지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마음 한 구석이 훈훈해지는 정감이 느껴진다. 그 정감은 일렉트로닉 사운드 같은 차가운 기계음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는다. 이것은 아마도 트로트가 가진 힘일 것이다. 제 아무리 세련된 팝에 우리의 귀가 유혹되면서도 트로트가 가진 그 의 힘에 순간 무력해지는 것은.

 

Mnet <트로트 엑스>라는 프로그램을 들여다보면 이 트로트가 가진 힘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아리가또 고자이마스라는 인터넷에서는 이미 유명한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인 힙합 듀오 디오지가 무조건을 일렉트로닉과 접목시켜 보여준 무대는 대표적인 사례다. 트로트는 랩과 힙합을 섞어도 잘 어울릴 수 있는 그런 장르였다. 여기에 좌중을 휘어잡는 무대매너와 코믹댄스까지. 트로트의 세계는 무한히 열린 가능성이라는 걸 디오지는 보여주었다.

 

단 한 번의 출연으로 화제가 된 목회자 구자억은 트로트를 통한 찬양사역이라는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 그가 부른 참말이여는 트로트가 찬양의 무대에서도 어색하지 않다는 걸 보여주었다. 특히 이 곡의 구성진 사투리가 섞인 가사는 듣는 이들을 흥겹게 만들었고, 무겁지 않게 지친 대중들에게 웃음과 즐거움으로 힘을 주기에 충분했다. 또 성악 전공자 유채훈이 부른 트로트는 또한 클래식과도 잘 어울렸다. 시원스런 성악 창법으로 부른 노래는 트로트 특유의 감성과 어우러져 마치 사연을 담은 뮤지컬 한 편을 보는 듯한 느낌을 선사했다.

 

한때 (feel)은 가요 히트의 중요한 요소로 제시되곤 했었다. 트로트가 아니라도 그 트로트적인 감성이 묻어나는 곡이라야 대중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 오랜 세월 조용필을 전설로 세웠던 것은 그 밑바탕에 깔린 국악적인 감성까지를 느끼게 해주는 필이라는 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조용필은 최근 트렌드에 맞게 그 색채를 지워내고 새로운 창법을 구사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그 감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신세대 걸 그룹인 오렌지 캬라멜의 노래 속에도 트로트적인 감성은 묻어난다. ‘까탈레나같은 곡은 그 트로트적 감성에 인도 전통음악이 어우러지면서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낸 곡이다. 이처럼 트로트는 젊은 세대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트로트를 올드하게 만드는 것은 결국 그런 선입견이다. 현재적인 재해석은 트로트가 가진 지극히 한국적인 감성의 가능성을 열리게 해준다.

 

올드하다는 표현은 아마도 세련되지 못했다는 얘기일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만듦새의 문제이지 장르 그 자체의 문제는 되지 못한다. 결국 트로트라도 어떻게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충분히 세련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젊은 세대와 유리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것만이 젊은 감성을 트로트에 수혈할 수 있는 방법일 테니 말이다. 그런 점에서 크레용팝의 트로트 도전이나 <트로트엑스> 같은 프로그램의 시도는 대단히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불후2', 남자 보컬리스트 특집 무엇을 남겼나

'불후의 명곡2'(사진출처:KBS)

트로트가 이토록 멋진 음악이었던가. '불후의 명곡2'의 여름방학 특집으로 마련된 '남자 보컬리스트'들의 경연은 이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간 '나는 가수다'의 그림자에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 그 가능성은 수십 년 전에 불려진 트로트 선율이 스윙과 R&B, 랩과 심지어 헤비메탈로 변신하는 그 짜릿한 지점에서 생겨났고, 아이돌에만 국한되지 않고 그 바깥으로 좀 더 다양한 가수를 무대 위에 세우는 발상의 전환에서 생겨났다. 물론 이것은 고정된 포맷이라기보다는 말 그대로 여름방학을 맞아 기획된 특집에 가깝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저 특집으로 묻어버리기에는 그 가능성이 너무나 아까운 것이 사실이다.

이석훈, 환희, 김태우, 케이윌, 임태경, 이정, 휘성, 이혁. 이들은 아이돌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완전 기성가수라고 말하기도 어려우며 아직도 아이돌들이 서는 음악 순위 프로그램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그래서 어찌 보면 '불후의 명곡2'가 가진 '신구세대의 소통'이라는 기획의도에 이들은 가장 잘 어울리는 가수들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만큼 중간자적인 위치가 돋보인다는 얘기다.

게다가 이들은 어느 정도 가요계에서 함께 활동을 해왔기 때문에 그만큼 친밀하고, 서로에 대해서도 잘 안다. 실제로 김태우, 케이윌, 환희, 휘성 같은 가수들은 잘 알려진 절친들이다. 그러니 서로 경쟁하는 경연의 무대에서도 그 친구로서의 친밀감이 느껴진다. 무대 뒤에서 새롭게 느끼는 긴장감을 서로 토로하고 주거니 받거니 나누는 이야기들이 웃음과 여유를 주는 건 그 친밀감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불후의 명곡2', 남자 보컬리스트 특집이 특별한 가능성을 보인 것은 이 가수들의 기량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 이상이었기 때문이다. 즉 이 특집은 음악 순위 프로그램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들만의 가창력을 마음껏 뽐낼 수 있는 무대가 됐다는 얘기다. SG워너비의 이석훈은 그 특유의 절절함을 담아 '봄날은 간다'를 불렀고, 환희는 '갈대의 순정'을 통해 남성적인 강한 그의 보컬을 끄집어냈다. 김태우의 경쾌한 스윙으로 구성된 '빨간 구두 아가씨'는 가창력과 쇼맨십의 조화를 보여주었고, 케이윌의 '목포의 눈물'은 절정의 테크니션이 감정을 담아냈을 때의 폭발력을 전해주었다. 팝페라 가수 임태경의 뮤지컬 아리아 같은 '동백아가씨', 담담하게 언플러그드의 맛을 보여준 이정의 '청포도 사랑', 휘성의 랩이 섞여져 완벽 재해석된 '노란샤쓰의 사나이', 그리고 이혁의 메탈로 재해석한 '신라의 달밤' 까지. 무엇 하나 매력이 묻어나지 않는 무대는 없었다.

무엇보다 이 날의 무대가 가진 가능성과 의미를 증폭시킨 인물로 심사위원으로 초대된 강헌과 이상벽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이들의 도발적(?)이면서 때로는 지극히 전문적인 곡 해설은 이들의 무대를 더욱 빛나게 만들었다. 특히 강헌은 각 노래가 가진 우리 가요사에서의 위치를 설명해주고 또 그것이 어떻게 현대적으로 바뀌었는가를 적절한 비유를 통해 해석해줌으로써 의미를 더했다. 이것은 기존 '불후의 명곡2'에서 이른바 전설의 가수들이 아이돌들이 자신의 노래를 부르는 것을 그저 상찬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깊이를 더해주었다.

여러모로 '불후의 명곡2'가 여름방학을 맞아 마련한 남자 보컬리스트 특집은 이 프로그램이 가진 의외의 가능성을 발견해준 셈이다. 과연 '불후의 명곡2'는 이 가능성을 앞으로도 잘 살려나갈 수 있을까. 모쪼록 그런 진화의 과정을 겪기를 바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