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
-
'옥중화', 어째서 첫 방의 기대감이 점점 사라질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5. 16. 09:31
, 괜찮은 소재의 발목을 잡는 불안요소들 MBC 주말드라마 는 첫 방에 꽤 높은 기대감을 갖게 만들었다. 2회 만에 20% 시청률을 넘긴 건, 이병훈 감독의 사극에 거는 기대가 그만큼 컸다는 걸 말해준다. 그리고 실제로 전옥서라는 조선시대의 감옥을 배경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토정 이지함(주진모)이나 전우치(이세창) 같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그들을 통해 배우며 성장하는 옥녀(진세연)라는 캐릭터가 주는 기대감 역시 컸다. 무엇보다 는 현재의 드라마 트렌드와도 잘 맞아 떨어지는 작품이었다. ‘감옥에서 피어난 꽃’이라는 의미에는 현실 상황과 판타지가 잘 엮어져 있다. 즉 사극이 과거를 다루지만 현재에 어떤 의미를 던져주는 장르라는 점을 두고 보면, 현재의 어려운 삶을 살아가는 서민들의 현실이 에서는 ‘옥’..
-
'딴따라'는 한국판 '비긴 어게인'이 될 수 있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22. 08:36
, 우리네 가요계 현실과 판타지의 조화 SBS 새 수목드라마 는 그 인물들의 관계 구조만 보면 영화 이 떠오른다. 물론 미국의 상황과 우리가 같을 수는 없다. 그래서 그 정서적인 느낌이나 드라마가 가져올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이야기들도 완전히 다른 건 사실이다. 하지만 최고로 잘 나가던 매니저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그 밑바닥에서 가능성 있는 가수의 목소리를 듣고는 마치 구원을 받은 듯한 표정을 짓는 장면은 에서 프로듀서 댄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그레타의 노래로 구원받는 장면과 그리 다르지 않다. 사실 이건 음악이라는 소재가 동일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유사성일 수 있다. 즉 음악이란 실로 기적 같은 것이어서 진정 절망의 벼랑 끝에 선 이들을 다시 구원할 수도 있는 마력을 발휘한다. 그것이 미국이든 우리나라든 상..
-
'태양의 후예', 이토록 어려운 판타지를 어떻게 해낸 걸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16. 09:01
의 비현실적 판타지, 그 어려운 걸 해낸 원동력은 “그 어려운 걸 자꾸 해내지 말입니다.” 사지에서 돌아온 유시진(송중기)의 대사처럼 KBS 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많은 드라마적 난점들을 신기하게도 봉합시켜나가는 일들을 해냈다. 죽을 위기를 그토록 겪으면서도 죽지 않는 인물들이나, 우르크라는 가상의 분쟁지구에서 벌어졌던 전투상황과 재난, 사고, 전염병까지 꼬리를 물고 이어지던 과한 설정들. 종영한 후 찬찬히 생각해보면 이 드라마가 가진 현실성이나 개연성이 상당히 부족했다는 걸 실감하게 된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그런 부족함들이 드러날 때마다 마치 마법처럼 그걸 덮어버리는 보이지 않는 힘들이 등장했다. 사지에서 1년 만에 포로로 있다 탈출해 나온 유시진(송중기)을 본 강모연(송혜교)은 “말도 안돼”라고 말..
-
'욱씨남정기'는 왜 '미생'처럼 슬프지 않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2. 08:25
현실보다 판타지, 드라마 속에서라도 JTBC 금토드라마 는 대놓고 을의 판타지를 다룬다. 이 드라마에서 남정기(윤상현)란 인물은 을의 대명사격인 캐릭터. 러블리 코스메틱이라는 하청업체의 과장인 그는 일상이 갑질인 황금화학의 핍박을 받으며 살아간다. 주문을 해놓고는 일방적으로 철회하고 심지어 거래를 한 순간에 끊어버린다. 이유는 ‘관행’. 하청업체 길들이기다. 사실 현실적으로 보면 결코 웃을 수 없는 이야기다. 하지만 의 장르적 기조는 코미디다. 갑질에 한없이 망가지는 남정기 과장의 모습은 웃음을 터트리게 만든다. 물론 그 밑바닥에는 깊은 슬픔이 깔려 있지만 드라마는 이를 우스운 캐릭터로 그려낸다. 따지고 보면 ‘미생’도 이런 미생이 없지만 는 이 그렸던 처절하기까지 한 직장 생존기를 눈물보다는 웃음의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