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로
-
'내부자들', 그 폭발력은 더러움의 폭로에 있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12. 16. 14:41
, 더러워 보기 싫다면서도 기꺼이 보는 까닭 영화 이 6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로서 600만 관객 돌파란 기록은 놀라운 일이다. 이 흐름이라면 , 의 기록도 갈아치울 기세다. 이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가 된 것은 이 영화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상상 이상이기 때문이다. 그저 조폭들이 치고 박는 수준의 폭력성이 아니라 신체 일부를 절단하는 장면도 버젓이 나오고, 그저 베드신이 아니라 난잡하다 못해 더럽게까지 느껴지는 섹스 파티가 등장한다. 그러니 청소년 관람불가 딱지를 달 수밖에 없다. 영화를 보고 나온 사람들은 그래서 두 가지 반응을 보낸다. 너무 더러워 생각하기도 싫다는 반응이 그 첫 번째다. 폭력성이야 차치하고라도 나이 지긋한 재벌 총수와 언론인, 정치인, 법조인이 홀딱 벗고 나와 나..
-
길건 CCTV, 예원 반말 영상 막 공개돼도 괜찮을까옛글들/명랑TV 2015. 4. 2. 11:21
연예인 진실공방, 사생활이라는 판도라의 상자 길건이 소속사 소울샵 엔터테인먼트와의 법적 분쟁에 대해 기자회견을 가졌다. 소울샵측이 보도자료를 통해 발표한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그녀는 조목조목 반박했다. 소울샵의 보도자료 내용에 의하면 길건은 불성실하게 활동도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소속사에서 죽겠다는 식으로 협박하기도 했다고 했다. 하지만 그녀는 소울샵 측이 활동할 기회조차 주지 않았고 그래서 생활고에 시달렸다고 말했다. 어느 쪽의 말이 사실인지는 알 수 없다. 큰 틀에서 보면 이건 늘 있어왔던 소속사와 소속 연예인 사이에 벌어지곤 하던 분쟁의 하나로 보인다. 길건의 주장에 의하면 김태우와 계약해서 활동할 때만 해도 회사 분위기가 좋았지만 기존 경영진이 바뀌고 새로운 경영진으로 김태우의 아내..
-
'풍문', 이거 왜 사극 보는 느낌이 들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3. 5. 08:50
, 상류사회의 전근대성, 그 시대착오의 쓴 웃음 이건 왜 사극을 보는 느낌일까. SBS 는 알다시피 지금 현재가 시대적 배경이다. 그런데 그 이야기는 어딘지 사극을 닮았다. 한인상(이준)이 사는 집은 마치 조선시대의 거대한 권문세가를 연상시킨다. 한정호(유준상)와 최연희(유호정)는 이 권문세가의 주인들이고 그들의 비서들인 양재화(길해연)나 이선숙(서정연)은 사극으로 말하면 하인들 중에서도 집안의 대소사를 꾸리는 수노(首奴)에 가깝다. 물론 이 집에는 운전기사부터 유모까지 하인들(?)이 수두룩하다. 신분제가 사라진 지 백년이 넘게 흘렀지만 어찌된 일인지 의 풍경은 여전히 전근대적인 신분제의 틀에 멈춰져 있다. 물론 그 신분제는 태생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지만 태생으로 이미 빈부가 결정되는 자본주의의..
-
김부선은 왜 주민들과 몸싸움까지 벌였을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4. 9. 17. 09:35
김부선, 폭행보다 중요한 건 그 이유 김부선은 아파트 주민을 폭행했다는 혐의로 구설에 올랐다. 인터넷에는 ‘김부선 폭행’이라는 실시간 검색어가 떠올랐고, 뉴스 보도에 의해 보여진 해당 CCTV 동영상이 삽시간에 유포되었다. 동영상에는 아파트 주민들에 둘러싸여 있는 김부선이 그 중 한 주민과 몸싸움을 벌이다 주먹을 날리는 장면이 포착되어 있었다. 그 장면만을 뜯어보면 ‘폭행’이 명백해 보인다. ‘연예인이 일반인을 폭행했다’는 사실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격적이다. 따라서 거두절미하고 그 ‘연예인 폭행’이라는 사실 자체에만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일단 연예인에게 비난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연예인의 ‘행실’에 초점이 맞춰지면 해당 연예인은 그래서 그 자체로 이미지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