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이준기의 '히어로', 왜 서민이 영웅일까

728x90

이준기, 서민으로 돌아와 영웅이 된다

이준기는 한때 꽃미남 이미지로 소비됐다. ‘왕의 남자’에서 공길이라는 역할을 하면서 갖게 된 중성적인 이미지 때문이었다. 실제로 그것 때문에 이준기의 중성적 매력은 광고를 통해 확장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이준기가 바랐던 것도 아니고 본래 갖고 있던 색깔은 더더욱 아니었다. 그것은 상품 광고가 공길이라는 인물을 그저 여장을 한 남자로만 바라보면서 생긴 이미지의 오해였다. 공길은 여장 남자라는 표피를 떼어내고 보면 거기 서 있는 것은 정확히 우리네 민초의 자화상이다.

‘개와 늑대의 시간’은 그러니까 이준기에게 덧씌워진 불편하기 짝이 없는 중성적인 꽃미남의 이미지를 떼어내는 시간이었다. 눈에 핏발이 잡힐 정도로 내면 속에 숨겨진 야수성을 끄집어내는 과정은, 이준기가 스타라는 겉 이미지를 찢어내고 연기자라는 본래의 스펙트럼 속으로 들어오는 시간이 되어주었다. 그리고 그가 다시 돌아간 곳은 바로 그 민초들의 세계였다.

‘일지매’에서 본래 양반의 서자에서 서민의 아들로 내쳐진 뒤, 거기서 다시 일지매라는 서민들의 영웅으로 탄생하는 과정은, 재미있게도 바로 이준기의 변화과정을 미리 예고한 듯 보인다. 화려하지만 허황된 스타의 세계에서 소박하지만 진실된 연기자의 세계로 넘어온 그는 잰 체 하지 않으면서 늘 서민들의 옆자리에서 너스레를 떠는 서민 영웅의 자화상을 그려낸다. 그리고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는 제목 자체가 ‘히어로’다.

현대판 일지매를 떠올리게 하는 제목 때문일까. ‘히어로’는 시작 전부터 ‘서민적인 영웅’의 모습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과연 칼 대신 펜을 들고, 대도의 근성 대신 올곧은 기자정신을 갖고 있는 도혁(이준기)은 진짜 일지매와 판박이일까.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점이 있다. 그것은 일지매는 평범을 가장하지만 그 면모는 실제 영웅인 반면, 도혁은 우리와 다를 바 없는 그저 평범한 인물일 뿐이라는 점이다.

그는 실제로 삼류 잡지사의 기자이고, 그가 쓰는 기사는 실제로도 자극적인 그저 그런 기사들이다. 결국 그 잡지사는 문을 닫게 되고 그래서 다시 세우게 된다는 신문사 역시 뭔가 대단한 사회 정의의 뜻을 갖고 세우는 그런 회사가 아니다. 그저 먹고 살기 위해 하는 일들이다. 그런데 왜 ‘히어로’일까. 도대체 어떤 면이 도혁을 영웅이라 칭하게 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이 지극한 평범함조차 비범하게 만들어버리는 썩어버린 사회다. 도혁은 그저 정상적으로 평범하게 살아가려 하지만, 세상이 그를 가만 놔두질 않는다. 대세일보라는 거대 언론사의 기자라는 강해성(엄기준)은 대세그룹이라는 기업의 뒤를 봐주는 역할을 할 뿐, 그로인해 피해를 보게 되는 서민들에게는 관심조차 없다. 진실? 돈과 권력 앞에 거짓과 자리바꿈하기 일쑤다. 그러니 그 속에서 피해를 겪게 되는 도혁은 그저 정상적으로 진실을 진실이라고 말하는 일을 할뿐이다.

이 평범한, 아니 심지어는 지질해보이기까지 하는 한 인물이 영웅이 되는 이야기는 거꾸로 평범함이 통하지 않는 세상을 통렬하게 그려낸다. 따라서 '히어로'는 이제 '일지매'를 통해 서민들의 영웅으로 자리한 이준기가 온전히 특별한(?) 서민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작품이 될 것이다. 그러니 이 서민적인 영웅을 통해 이준기에게서 기대하게 되는 것은 따뜻한 면모다. 어딘지 가볍게도 느껴지고, 때로는 초라하게도 보이지만 그래도 모든 낮은 사람들에게 던지는 따뜻한 관심. 이것이 영웅을 잃어버린 시대, '히어로'가 말하는 영웅이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서민적 이미지로 돌아와 오히려 영웅 그 이상의 매력을 보이게 된 이준기의 이야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