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블로거의 시선

'의형제', 송강호의 쓸쓸함에 대하여

728x90
낮 시간에 영화관에 가는 마음은 조금은 쓸쓸합니다. 사실 영화를 본다는 행위 자체가 누군가와의 소통과 공감을 간절히 원한다는 의미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영화관에 들어가 두 시간 정도라도 누군가와 함께 웃고 울고 한다는 그 일체된 행위의 즐거움. 앞으로 어쩌면 영화관은 그런 곳이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두서없이 이런 얘길 하는 건, '의형제'라는 영화를 보면서 문득 송강호가 참 쓸쓸해보인다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물론 그 영화 속에서의 송강호가 그런 것이지만, 사실 배우 송강호도 그런 면이 있죠. 뭐 송강호가 그렇게 멋지게 폼을 잡는 걸 저는 영화 속에서 본 일이 별로 없습니다. '넘버3'의 그 정서가 다른 영화 속에서도 그대로 이어져 왔죠. 그는 조금은 빈 듯 툭툭 대사를 던지고, 엉뚱하게도 진지한 순간에 아주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웃음을 짓게 만듭니다.

그가 좋은 놈도 나쁜 놈도 아닌 이상한 놈으로 캐릭터지어져 온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우아한 세계'의 조폭의 상스러움과 가장의 성스러움을 동시에 품는 그런 캐릭터가 어찌 이상하지 않을까요. '괴물'이나 '박쥐' 같은 어찌 보면 기괴할 수 있는 영화 속에서도 그는 절대 폼을 잡는 일이 없습니다. 오히려 아주 서민적인, 혹은 속물적인 속내를 슬쩍 드러냄으로써 관객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죠.

'의형제'에서의 송강호도 마찬가지입니다. 국정원 요원이지만 어찌보면 강력계 형사 같은 인상을 주는 이한규(송강호)는 이 팽팽한 긴장감을 갖게 만드는 북한 공작원과의 대결 구도 속에서도 바로 옆집 아저씨 같은 인상을 유지합니다. 그래서일까요. 그가 나오는 영화에는 그의 일상적인 모습들이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찌 어찌 해 서로의 신분을 속인 채 같이 살게된 북한 공작원 송지원(강동원)이 닭을 잡아 요리를 해줄 때, "이거 누가 해주는 밥 정말 오랜만이구만"하고 송강호가 툭 던지는 대사는 이 영화의 제목이 왜 '아이리스' 같이 폼나는 것이 아니라 '의형제'라는 조금은 구닥다리 냄새를 풍기는 지 단박에 알려주죠.

이 영화는 국가라는 거대한 시스템 속에서, 또 그 시스템들의 대결 속에서 희생되고 피흘려야 하는 개인들의 아픔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스템은 개인들의 소통을 단절시키고 싸울 이유가 없는 이들을 싸우게 합니다. 결국 '의형제'가 보여주는 것도 이 소통의 문제라고 여기게 되는 것은 혼자 대낮에 영화관에 간 탓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 개인들이 시스템과 상관없이 상대방을 '형'이라고 부를 때, 슬쩍 뜨거워지는 가슴에 화들짝 놀라 괜스레 주변을 흘끔흘끔 돌아본 것은 아마도 거기에 나와 똑같이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는가를 확인하고픈 마음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송강호는 늘 그렇게 서민적인 얼굴로 자신을 한껏 낮추며 때론 속물적으로 느껴질 만큼 폼잡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보통 연기자들이 자신의 주변에 어떤 타인과의 선을 그어놓고 적당한 거리에서 폼을 잡는 것과는 사뭇 다르죠. 그래서 사람들은 송강호에게서 어떤 정 같은 것을 느끼나 봅니다. 이것은 어쩌면 송강호가 갖고 있는 다른 연기자들에게서는 발견하기 힘든 장점일 것입니다. 한없이 긴장을 뺀 상태. 타석에 들어가기 전 어깨에 힘이 하나도 들어가지 않은 상태. 그래서 편안한 상태.

그렇게 편안해서인지 그 무장해제에서 웬지 우리네 아저씨들의 쓸쓸함 같은 것이 느껴지는 것은 저만의 느낌일까요. 뭔가 산전수전 다 겪고 그래서 "인생 뭐 있냐"는 식의 편안함 속에 느껴지는 쓸쓸함. 이건 아마도 낮에 영화관에 간 영향이 클 것입니다. 하지만 그래도 적어도 '의형제'라는 영화 속에서 송강호의 쓸쓸함을 느낀 것은 분명 저만은 아닐 것입니다. 이 영화에는 정말 지금껏 우리가 봐왔던 송강호의 영화 속 모습들이 편린처럼 다 들어가 있어, 마치 그의 필모그라피를 읽는 듯한 기분을 들게 해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