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왜 이 시대는 유재석 리더십에 주목하나 본문

옛글들/대중문화와 마케팅

왜 이 시대는 유재석 리더십에 주목하나

D.H.Jung 2011. 2. 15. 16:03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한도전'(사진출처:MBC)

유재석은 안티 없는 개그맨으로 유명하다. 이른바 독설의 시대에도 늘 배려의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그의 개그 스타일 덕분이다. 게다가 성실하다. 그가 출연하는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보면 그 성실성이 말 그대로 뚝뚝 떨어진다. 웬만하면 포기할 것 같은데도, 그는 죽을 힘을 다해 도전하고 노력한다. 최근 유재석의 이런 배려와 성실함의 자세를 그대로 보여준 사례가 '무한도전'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며 마련된 동계올림픽 특집이다.

물론 이 특집의 전반부는 몸 개그의 전시장이었다. 하지만 마지막에 주어진, 높이 90미터의 스키점프대를 전원이 오르는 미션은 우스꽝스럽던 분위기를 일시에 가라앉혔다. 반쯤 올라가면 자꾸 미끄러져 원래 서 있던 자리로 되돌아오는 그 '시지프스'의 미션은 차츰 반복되면서 어떤 도전에 대한 의미를 만들어냈다. 그 과정에서 단연 돋보인 건 유재석 리더십이었다. 그는 단련된 체력(예능인에게 체력은 성실성의 증거이기도 하다)으로 단번에 정상에 올라섰지만, 좀체 오르지 못하는 동료들을 위해 다시 줄을 잡고 밑으로 내려오는 배려심을 발휘했다. 체중 때문에 힘겨워 하는 정준하를 끌어올리고, 나이 탓에 급 저하된 체력의 박명수를 끌어올린 후, 계속 낙오하는 길을 독려하기 시작했다. 아이젠이 헐겁다고 하자 자신의 아이젠을 풀어 던져주었고, 이미 힘이 빠져 더 이상 오를 수 없을 상태에 이르자 급기야 자신이 뒤에서 밀어주겠다며 줄을 놓고 맨 밑으로 다시 내려갔다. 맨 처음 올랐던 유재석이 다시 맨 밑에서부터 올라 길을 밀어주고 끌어주는 장면은 깊은 감동을 연출했다. "이러다 둘 다 떨어져요"하고 미안해하는 길에게 유재석은 "포기한다고만 하지 마라"며 독려했고, 두려워하는 길에게 "나만 믿으라"며 용기를 북돋워 주었다. 결국 그들은 모두 줄을 잡게 되었고, 그러자 나머지 동료들이 그 줄을 잡아 끌어올렸다. 정상에 모두 함께 선 그들은 미션 완료에 환호성을 질렀다.

사실 이건 예능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이 미션은 가상의 놀이나 다름없다. 그런데 이건 보는 사람들의 입장이다. 그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이나 출연자들 입장에서는 놀이가 아니라 일이다. 이 입장 차는 시청자들과 출연자들 사이에 분명 어떤 괴리감을 만든다. 도대체 저런 놀이에 왜 저렇게 목숨을 걸까, 하고 의문을 품을 수 있지만, 일로서 접할 수밖에 없는 당사자들에게는 다른 의미로 다가간다는 얘기다. 그런데 그 놀이적인 미션에서조차 목숨 걸고 열심히 하는 유재석의 모습은 그 놀이 이상의 의미를 도출해낸다. 정상까지 올라가는 가상의 놀이가 마치 하나의 우화처럼 바뀌면서 거꾸로 현실을 반추하게 만드는 것이다. 지병과 배고픔에 ‘남은 밥’이라도 달라는 쪽지를 남긴 채 저 세상으로 떠난 고 최고은 작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뇌출혈로 작년 말 숨진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의 고 이진원씨 같은 우리 사회에서 함께 가지 못한 이들이 차차 이 우화와 겹쳐지면서 어떤 울림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더디 가도 함께 가자"는 메시지다.

유재석 리더십이 우리에게 상기시킨 건 바로 이것이다. 유재석이 출연하는 방송을 보면 유독 그의 이런 리더십이 돋보인다. 그는 스스로 독주하는 법이 없다. 늘 함께 출연한 출연진들을 부각시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 역력하다. 예능 출연이 어색한 이들이 출연했을 때 그는 일단 스스로가 먼저 무너져 긴장을 풀게 한 후 상대방의 입을 열게 만든다. 그리고 자신이 토크를 주도해가기보다는 상대방의 이야기에 더 몰두하면서 그 이야기 속에 숨겨진 재미를 콕콕 집어내 다시 곱씹어준다. 그냥 훌쩍 지나가버렸을 지도 모를 이야기를 그가 다시 끄집어내 웃음의 요소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흔히 그의 개그를 가리켜 '복기개그'라고도 부른다.

이 복기개그가 가진 힘은 대단하다. 그와 함께 출연한 이들은 대부분 쉽게 어떤 캐릭터를 갖게 되곤 하는데, 이것은 전적으로 유재석의 공이다. 방송출연이 뜸했던 박미선이 '해피투게더'에 출연한 후 줌마테이너로 제2의 인생을 펼칠 수 있었던 것도 유재석의 배려 덕분이다. 물론 이것은 유재석 당사자에게도 경쟁력을 만들어주었다. 자기가 가진 것을 끄집어내 보여주는 개그를 계속했다면 어쩌면 그는 일찍 고갈됐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늘 말하기보다는 듣는 것을 먼저 하는 그의 태도는 출연진에 따라 천변만화하는 다채로움을 그에게 안겨주었다.

최근 일어난 중장년 세대의 귀환을 알리는 '세시봉 신드롬'에도 잘 들여다보면 유재석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세시봉을 처음 소개한 곳이 바로 '놀러와'였는데, 이 프로그램 특유의 편안함과 세대 통합적인 분위기는 다름 아닌 유재석이 창출해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껏 나이든 세대의 연예인들이 토크쇼에 얼굴을 들이밀지 못했던 건, 그들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니었다. 그것보다는 토크쇼가 이들 원로들을 지나치게 추켜세움으로써 프로그램에 권위적인 느낌마저 들게 만드는 수직적인 풍경이 연출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재석은 원로들이 나와도 수평적인 토크를 유지시키려는 균형감각을 유지한다. 공적에 대해서 추켜세우면서도 예능의 맛을 살리기 위해 치고 들어갈 때는 들어가는 그 태도는 사실 출연한 원로들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들이다. 지나치게 추켜세워지는 순간, 소통이 단절되면서 어떤 권위적인 이미지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세시봉 특집은 나이든 세대와 젊은 세대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장이 되었다. 그들의 옛노래를 들으며 악동 이하늘이 눈물을 흘리는 풍경은 세대를 넘는 공감의 순간을 대중들에게 안겨주었다.

지금을 흔히 '공감의 시대'라고들 말한다. 생산성이나 효율성을 부르짖던 시대를 지나 이제 커뮤니케이션 혁명의 시대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내세우는 것도 이제는 기술력이 아니라 창의력이다. 기술과 기술, 기술과 문화, 문화와 산업 등이 서로 통섭하는 창의적인 과정에서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시대가 도래했다. 그런데 이 창의력은 바로 공감력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내가 가진 것과 타인이 가진 것을 서로 공감의 차원에서 바라보고 그 접점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세계가 열리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이 유재석 리더십의 핵심이다. 그가 가진 토크의 노하우다.

한 기업의 창의력이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는데 가장 손쉬운 방법이 있다. 그것은 그 기업의 회의를 참관하는 것이다. 사실 회의는 많이 하지만 저마다 각기 자기 주장만을 하는 회의가 부지기수고, 심지어 회의가 회의적(?)이라 여기는 사람들도 많다. 사실 회의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회의 바깥에서부터 이미 공감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격 토크에 들어가기 전 마치 몸을 풀듯 툭툭 얘기를 던지고 서로 맞춰보는 건,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말하기보다는 들어주는 걸 먼저 하고, 혼자 가기보다는 함께 가려는 유재석 리더십은 이 공감의 시대에 기업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공감하고 공존하려는 분위기를 가진 기업이, 분류하고 생존하려는 분위기를 가진 기업보다 더 경쟁력이 있다. 유재석이 그토록 롱런하는 것처럼.
(이 글은 'Chief Executive'에 연재되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