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금금밤', 유튜브 세대 입맛 당기는 나영석의 흥미로운 실험

728x90

‘금금밤’ 나영석 PD의 숏폼 실험, 무엇이 달랐을까

 

나영석 PD의 새로운 예능 실험은 무엇이 달랐을까. tvN <금요일 금요일 밤에>는 기존 예능 프로그램들처럼 1시간에서 길게는 1시간 반이 넘는 그런 분량을 이어 보여주지 않는다. 대신 숏폼 형태로 6개의 코너를 16분에서 20분 정도 분량으로 나누어 보여준다. 각각의 코너는 ‘내 친구네 레시피’, ‘신기한 과학나라’, ‘당신을 응원합니당’, ‘신기한 미술나라’. ‘체험 삶의 공장’으로 연계성이 전혀 없는 그저 각각의 프로그램처럼 보인다.

 

분량이 짧아지면서 스토리텔링도 좀더 짧으면서도 효과적인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를테면 ‘내 친구네 레시피’에서 홍진경이 김영철을 만나 그 모친의 집을 방문해 음식을 먹고 레시피를 전하는 그 과정은 코너가 짧다는 사실이 하나의 스토리텔링이 되었다. 말 많기로 유명한 김영철에게 말을 더 많이 하면 어머님의 분량이 없어진다며 바로 집으로 향하고, 그 집에서는 서로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각자의 이야기만 계속 늘어놔 목소리가 얽히는 과정들이 코믹하게 전개됐다.

 

‘이서진의 뉴욕뉴욕’이나 이승기가 출연한 ‘체험 삶의 공장’도 마찬가지다. 분량이 짧아서 많은 구구절절한 도입부는 툭 잘라버리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스토리텔링을 보여줬다. 뉴욕에 대뜸 나영석 PD와 도착해 어딜 갈 거냐고 묻고 뜬금없이 “뉴욕은 차이나타운”이라고 말하는 이서진을 따라 중국 음식을 먹으러 가는 엉뚱한 전개가 웃음을 줬다. 짧지만 최근 KBS에서 방영되었던 정해인이 뉴욕을 걷는 <걸어보고서>와 비교해 보면 확실히 재밌고 임팩트가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캐릭터가 확실하고 목적성이 분명한데다 엉뚱함까지 있어서인데 이렇게 되는 데는 짧아야 하는 분량이 한 몫을 하고 있다고 보인다.

 

‘체험 삶의 공장’도 사실 긴 분량으로 하면 다소 부수적인 내용들이나 토크가 채워져야 하겠지만 분량이 17분 내외 정도라 이승기가 꼬막을 채취하고 공장으로 옮겨 삶아 가공한 꼬막들을 선별해 포장하는 그 일련의 과정이 빠르게 진행됐다. 이승기도 반갑지만 그 현장에서 만난 사장님과 사모님의 남다른 친화력이 구수한 재미를 만든다. 자기 분량보다 그들의 분량이 더 많을 거라는 이승기가 마지막에 참회의 시간을 갖는 부분 역시 분량 이야기로 웃음을 주었다.

 

분량이 짧아지면서 6개의 코너가 들어갈 수 있게 되자 성격이 다른 코너들도 병치되었다. ‘신기한 과학나라’와 ‘신기한 미술나라’가 야외가 아닌 실내에서 김상욱 교수와 양정무 교수가 각각 전하는 전문적인 정보가 주는 재미에 은지원, 송민호, 장도연이 던지는 엉뚱한 질문이 절묘한 교양과 예능의 균형을 만들어낸다.

 

한편 ‘당신을 응원합니당’은 박지윤 아나운서와 한준희 축구 해설가가 진행하는 코너로 꿈의 무대에 오른 선수들이 아니라 꿈을 향해 노력하는 선수들을 찾아가 그들을 조명하는 이야기로 연예인이 아닌 보통 사람들의 면면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공감을 만들었다. 이 날 출연한 초등부 유도선수인 최민지 선수와 강민구 선수는 경기가 두려워서 또 경기에서 져서 우는 일이 더 많은 귀여운 모습으로 시청자들을 그 매력에 빠뜨렸다. 결국 둘 다 경기에서 졌지만 ‘잘했다’ 응원해주는 선배들과 코치의 모습이 따뜻하게 그려졌다.

 

이처럼 <금요일 금요일 밤에>는 짧은 분량을 가진 6개의 코너로 나영석 PD는 그 형식적 실험을 통해 지금까지 해왔던 예능 방식을 넘어서려는 도전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러한 숏폼 형식이 나오게 된 건 최근 유튜브가 대중적인 영상 소비 방식으로 자리하게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유튜브에서 짧지만 선별적인 영상들을 찾아보는 것처럼, 이를 tvN이라는 플랫폼에 맞게 시도하고 있는 것.

 

<금요일 금요일 밤에>는 여러 모로 MBC가 주말시간을 채워왔던 <일요일 일요일 밤에>를 패러디한 것처럼 보인다. 즉 <일요일 일요일 밤에>가 열었던 버라이어티쇼를 지금 현재의 트렌드에 맞게 변형했다고나 할까. 버라이어티한 재미를 선사하지만 스튜디오에서 벌어지는 쇼가 아니라 현장으로 나가고 그 분량을 유튜브 시대에 맞는 숏폼 형식으로 채워 넣은 것. 첫 시작이라 아직 낯설긴 하지만 분명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실험인 것만은 분명하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