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반의 반' 정해인·채수빈이 그리는 반쪽짜리 사랑의 아련함

728x90

‘반의 반’, 정해인의 AI와 채수빈의 화분이 의미하는 것

 

tvN 월화드라마 <반의 반>은 그 서사의 단점이 적지 않은 드라마다. 그것은 의도적인 불친절이라기보다는 하려는 이야기의 야심이 좀 더 치밀한 개연성 아래 채워지지 않아서 생긴 문제로 보인다. 감정적 서사들이 많이 들어가 있어 꽤 복잡한 느낌을 주지만 사실 이야기는 그리 복잡하진 않다.

 

노르웨이에서 성장 과정을 함께 지내며 지수(박주현)와 영혼의 단짝이 되었던 하원(정해인)은 어머니가 사망하자 문정남(김보연)의 후원을 받아 미국으로 가게 되고 그렇게 떨어져 그리움만 키워가던 중 지수가 피아니스트 인욱(김성규)과 결혼한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그렇게 엇나간 사이가 되지만 하원은 지수에 대한 외사랑을 홀로 이어가고, 지수는 어떤 사실(그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하원의 어머니의 죽음과 관계된 듯한)을 알게 된 후 인욱과 관계가 틀어지고 괴로워한다.

 

AI프로그래머로 의료용으로 활용될 대화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하원은 녹음실에서 일하는 서우(채수빈)를 통해 지수의 목소리를 담아내려 한다. 그 과정에서 서우는 하원과 자꾸만 얽히게 되고 그가 지수를 애타게 홀로 짝사랑하는 모습을 보면서 그에게 빠져든다. 하지만 홀로 노르웨이로 떠났다 지수가 조난당해 사망하고, 실의에 빠진 하원은 지수의 목소리와 정보를 담은 AI프로그램을 만들고, 서우는 대화를 통해 그 프로그램을 깨워낸다.

 

사실 이러한 AI 기반의 대화프로그램이 낯설기 때문에 <반의 반>이 왜 굳이 이런 설정을 넣었는가가 궁금해지는 면이 있다. 하지만 죽은 지수를 기억해내기 위해 그가 생전에 찍은 사진들을 찾아내고 그 사진이 찍힌 장소를 찾아가는 하원의 모습은 이 설정에 대한 단서를 준다. 그것은 어쩌면 현재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기억하는 하나의 방식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의 정보를 축적한 데이터에 목소리를 더하면 그 사람이 죽었어도 마치 진짜 그 사람이 살아있는 듯한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설정은, 디지털 시대에 우리가 하게 된 색다른 사랑 방식에서 나온 상상력일 게다. 우리는 누군가 사망해 다시는 만날 수 없는 상황에 이른다고 해도 꽤 오래도록 그의 사진과 목소리와 영상을 통해 그를 만날 수 있는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또 굳이 사별하지 않더라도 저 멀리 떨어진 세계 속에서도 전화 통화 하나로 연결되는 사랑을 할 수 있지 않은가. 그건 편리함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반쪽짜리 사랑’의 아련함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하원은 서우에게 마치 AI를 통해서라도 듣고 싶어 했던 그 질문을 던진다. 만약에 서우를 통해 지수를 만났다면 그가 어떤 말을 했을까를 물어본다. 서우는 ‘힘든 얘기 다 털어놓고 공항에 안 갔을 지도 모른다’는 자신의 생각이 아니라 엉뚱하게도 지수가 만들어 하원에게 준 그릇 이야기를 꺼낸다. 괜스레 하원을 힘들게 하고 싶지 않아서다. 서우의 그 답변은 그래서 그가 만들어내고 있는 AI에 담겨지는 목소리의 실체를 슬쩍 보여준다. 그건 지수 자신이 아니라, 지수를 생각하고 그리는 사람들의 마음이 담겨진 목소리다.

 

“이게 뭔지 나도 잘 모르겠는데 지수씨한테만 말하는 건데요, 나 이 사람 보고 있는 게 참 좋아요. 지수씨가 있던 곳에 있고 지수씨가 듣던 것을 듣고 느꼈던 것을 느끼고 싶어하는 이 사람을 이렇게 보고 있는 게 참 좋아요. 지수씨를 궁금해하는 모습에 빠졌어요. 이게 뭔지.” 별 생각 없이 AI를 지수라 생각하고 혼잣말을 하던 서우는 갑자기 “짝사랑이네”라는 AI의 답변에 놀란다. 그리고 AI는 이렇게 말한다. “반할 게 없어서 나를 그리워하는 것에 반하니?”

 

하원이 AI라도 붙들고 지수에 대한 반쪽짜리 사랑을 하고 있는 것처럼, 서우도 AI를 통해 하원에 대한 반쪽짜리 사랑을 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반의 반>은 이처럼 완전하게 만나지 못하는 반쪽짜리 사랑을 하는 우리네 시대의 아련함을 담아낸다. 여기서 흥미로운 건 AI 같은 차가운 디바이스가 마치 물을 주면 자라나는 식물처럼 은유된다는 사실이다. 지수는 떠나기 전 서우에게 화분 하나를 건넸다. 깜박 잊고 있다 시들어가는 화분을 뒤늦게 발견해 서우는 물을 준다. 화분이 자라고 꽃을 피워내는 건 그래서 짝사랑을 닮았다. 그건 어쩌면 화분이 꽃을 피워 돌려주는 사랑이 아니라 자신이 부여한 사랑을 돌려받는 것일 수 있으니 말이다.

 

결국 <반의 반>이 다소 복잡해 보이는 서사를 통해 하려는 이야기는 하원과 서우 같은 반쪽짜리 사랑을 하게 된 이들의 아련함이 아닐까 싶다. 이미 사라져버려 다시는 만날 수 없는 이를 애써 목소리로, 사진으로라도 계속 기억해내며 사랑하려는 사람들. 하지만 그런 사랑은 때론 그 반쪽을 채워주는 또 다른 사람을 통해 하나의 사랑이 되기도 할 것이다. 지수의 목소리와 기억 위에 얹어지는 서우의 배려가 하원의 비어있는 반쪽을 조금씩 채워가듯이. 지수가 준 화분에 서우가 물을 주어 다시 꽃을 피워내듯이.(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