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욕하면서 보게 만드는 중독성, '펜트하우스'의 위험한 선택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욕하면서 보게 만드는 중독성, '펜트하우스'의 위험한 선택

D.H.Jung 2020. 11. 29. 11:41
728x90

'펜트하우스'가 개연성 없는 막장에 시청자를 중독시키는 방식

 

SBS 월화드라마 <펜트하우스>는 사실 뻔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 틀은 전형적인 권선징악의 복수극이다. 김순옥 작가가 늘 해왔던 방식의 반복. 사회적 공분을 일으킬 만큼 추악한 악당들의 갖가지 행태들이 먼저 공개되고, 그렇게 당하던 이들이 저들에게 처절한 응징을 해주는 방식이 그것이다.

 

<펜트하우스>라는 제목은 이 드라마가 지목하고 있는 공분의 대상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미 JTBC 드라마 <SKY 캐슬>이 끄집어냈던 것이기도 하지만 거기에는 이른바 대한민국 0.1%의 부를 차지한 이들이 갖고 있는 천박한 선민의식과 갑질 그리고 그것을 핏줄로 이어받는 자식 교육의 문제다. 물론 <SKY 캐슬>은 그 문제의식을 가져와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만들어냈지만, <펜트하우스>는 완성도보다는 그 소재의 자극성만을 끌어왔다. 완성도? 자극과 당장의 사이다를 위해서라면 그런 건 별 중요하지도 않다 여겨지는 대본과 연출이 <펜트하우스>에서는 곳곳에서 발견된다.

 

게다가 천민자본주의의 갑질과 대물림되는 불공정한 교육의 문제에 <펜트하우스>는 '부동산'이라는 뇌관까지 더했다. 현재 한정 없이 치솟는 부동산 시장으로 인해 가뜩이나 신경이 곤두서있는 대중들은 <펜트하우스>가 꺼내놓은 부동산을 통한 일확천금의 소재에 양가적인 감정을 갖는다. 그것을 하나의 로망처럼 여기면서도, 그것이 저들 가진 자들만이 가능한 일이라는 점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갖는다.

 

드라마는 이 양가감정을 끌어와 헤라팰리스라는 국내 최고가의 부동산에 입주한 이들에 대한 분노를 끌어내고, 이들과 대적해 나가는 오윤희(유진) 같은 서민이 복수를 꿈꾸는 심수련(이지아)과 공조해 부동산 사업에 뛰어들고 그래서 부동산 재개발을 통해 서민들의 피눈물을 자신들의 주머니 속 돈으로 만들어내던 악당들 주단태(엄기준), 이규진(봉태규), 하윤철(윤종훈)을 곤경에 처하게 만드는 이야기를 통해 사이다를 던진다. 오윤희는 결국 이 부동산을 통한 복수(?)로 헤라팰리스에 입주한다.

 

드라마는 매회 공분의 대상들이 하는 악행들을 마치 불길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던져 넣는 장작처럼 제공한다. 주단태는 불륜에 불법적인 일들을 자행하고, 이규진은 이를 위해 폭력까지도 스스럼없이 쓰는 악마의 모습을 드러낸다. 헤라팰리스에 사는 아이들 역시 악마들처럼 그려진다. 오윤희의 딸 배로나(김현수)를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주석훈(김영대), 주석경(한지현), 하은별(최예빈), 유제니(진지희) 같은 아이들은 학생이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운 악마의 모습을 드러낸다.

 

드라마를 보는 내내 시청자들은 그래서 이들의 악다구니에 거슬리지만 자극을 받고, 공분을 일으키는 악역들에 뒷목을 잡으면서 동시에 이들과 대적해가며 조금씩 돈을 벌어 부유해지고 하나씩 복수를 해나가는 심수련과 오윤희의 공조에 빠져든다. 그래서 마치 드라마는 누구나 이야기만 들어도 속이 퍽퍽해지는 고구마 현실(부동산, 교육문제)을 끌어와 죽 나열해 보여주고 거기에 사이다 한 잔씩을 주는 방식으로 시청자들을 조금씩 그 세계에 중독시킨다.

 

이런 전형적인 권선징악의 방식이 잘못된 건 없다. 게다가 대중들이 공분을 일으키는 특권층들의 불공평한 부동산이나 교육문제를 밑그림으로 끌어온 건, 드라마가 현실의 결핍을 가져와 판타지로 채워주는 그 기능에 부합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드라마를 막장이라고 부르며 마치 발암물질 보듯 하게 되는 건 이런 이야기의 소재나 틀거리 때문만이 아니다.

 

이 뻔한 막장의 중독이 위험한 건, 이런 고구마와 사이다가 존재한다면 드라마의 개연성이나 완성도 따위는 상관없다는 식의 접근방식에서 나온다. 도대체 저런 일이 가능할까 싶은 엉터리 개연성으로 당장의 사이다를 던져주는 건 전혀 현실성과는 거리가 있다는 점에서 시청자들에게는 오히려 더 큰 허탈감을 줄뿐이다. 그건 마치 당장 목이 말라 바닷물을 들이키는 것이나 마찬가지니 말이다.

 

드라마가 현실에 어떤 의미를 제시하는 건 중요한 목적 중 하나지만, 반드시 꼭 의미만을 지향할 필요는 없을 게다. 하지만 적어도 개연성 자체를 무시하고 내놓는 사이다란 오히려 현실에서 돈을 가진 자들이 마음껏 갑질 하는 삶이 당연하다는 식의 의식을 드러낼 뿐이다. 권선징악의 막장드라마들이 맨 마지막에 가서야 비로소 악당들이 무너지는 결말로 끝을 내지만, 그 과정의 대부분을 악당들의 세상으로 채워 넣음으로써 오히려 그들의 행태를 정당화하거나 당연하게 내세우는 듯한 불편함을 안기는 건 그런 이유 때문이다.

 

이건 일종의 공해하고, 문제의식을 드러내기보다는 세상은 본래 그렇다는 걸 정당화하는 또 다른 방식이 아닐까. 이건 드라마일뿐이야 라고 말하지만, 거기 담겨진 부동산이나 교육문제는 결코 드라마로만 치부될 일이 아니다. 그래서 그런 개연성 없는 이야기들은 마치 현실에 있는 부동산이나 교육문제가 가진 심각함을 너무나 단순화하는 방식으로 가려버린다. 간간히 던지는 바닷물을 사이다인양 던져주고, 그걸 마셔봐야 갈증만 더할 뿐이라는 걸 마치 알고 있다는 듯 드라마는 영악한 미소를 짓고 있는데.(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