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아카이브K', 이영훈의 가사를 다시 음미하게 된 것만으로도 본문

옛글들/명랑TV

'아카이브K', 이영훈의 가사를 다시 음미하게 된 것만으로도

D.H.Jung 2021. 1. 11. 11:05
728x90

'아카이브K', 대중음악사를 재정립하는 게 왜 필요한가 하면

 

SBS <전설의 무대-아카이브K(이하 아카이브K)>는 그 제목에서부터 야심이 느껴진다. 기록을 보관한다는 의미의 '아카이브'는 이 프로그램이 소재로 다루는 대중음악의 지워져 가는 기록과 역사들을 찾아내 보관해내겠다는 뜻이 담겨 있고, 거기에 붙여진 'K'는 한국대중음악사에 있어서 이 아카이브가 어떤 대표성을 띨 수 있을 만큼을 지향하겠다는 의지가 묻어난다. 

 

실제로 이 프로그램은 제작진이 2년여에 걸쳐 만난 대중음악인 총 207명을 통한 증언과 인터뷰가 그 밑바탕이 되어 있다. 인터뷰 분량만 총 1만 5000분을 넘는다고 한다. 아마도 <아카이브K>라는 제목이 가진 무게감만으로도 이런 사전 준비는 당연했을 거라 여겨진다. MC를 맡은 성시경이 말하듯, 역사를 위한 박물관, 미술을 위한 미술관, 문학을 위한 도서관이 있지만 대중음악을 위해 갈 수 있는 곳이 딱히 없다는 사실은 이 프로그램의 존재 근거가 되어준다. 한국 대중음악사를 다시 끄집어내 기록하고 보관하겠다는 것이니 말이다. 

 

무수히 많은 아카이브 박스들이 가득 채워진 스튜디오에서 첫 번째 끄집어내진 주제인 '발라드'는 그래서 1980년대 중반 팝 중심이던 우리네 시장을 가요로 바꾼 이문세를 기점으로 변진섭, 신승훈, 조성모 등으로 이어지는 발라드 계보를 다뤘다. 다음 주에는 그 계보를 잇는 백지영, 이수영, 임창정, 김종국, 성시경 등의 이야기가 펼쳐질 예정이다.

 

첫 회에서 특히 깊은 인상을 남긴 건 이문세와 고 이영훈의 음악에 담긴 가치들을 다시금 들여다보던 대목이었다. 이문세가 작곡가이자 작사가인 이영훈을 만나 작업한 <이문세 3집>에 들어 있던 '난 아직 모르잖아요', '소녀', '그대와 영원히' 같은 주옥같은 곡들이 가진 아름다운 멜로디는 아마도 대부분의 대중들이 모두 공감하고 알고 있는 부분일 테지만, 이 날 주목한 건 이영훈이 쓴 시에 가까운 가사였다. 

 

이문세가 이영훈을 '시인'이라고 표현한 것처럼, 다시금 들여다보니 그가 쓴 가사들은 시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의 깊이를 담고 있었다. 이영훈의 아들 이정환은 아버지가 특히 "가사에 가장 공을 많이 들이셨고 가사를 가장 어려워하셨다고 술회했다. 그 말은 이날 게스트로 나온 임창정의 말처럼 놀라운 이야기였다. "가사에 공을 들였다는 얘기에 더 소름끼쳐. 멜로디가 나는 더 좋거든."

 

'사랑이란 게 지겨울 때가 있지. 내 맘에 고독이 너무 흘러넘쳐.' 같은 '옛사랑'의 가사는 시의 한 구절 같은 울림이 있는 가사였다. 그 가사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는 김이나 작사가는 '하얀 눈 하늘 높이 자꾸 올라가네' 같은 표현이 1인칭 시점으로 혼자만의 고독을 잘 표현해냈다는 걸 짚어냈다. 

 

사실 <아카이브K>는 그 기획의도가 너무 커서 이것을 방송 프로그램으로 압축할 때 조사한 분량만큼 많은 걸 보여주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발라드'라는 주제로 시작한 프로그램에서도 우리는 거의 한 회분을 채워도 부족할 수밖에 없는 이문세와 이영훈의 이야기를 단 몇 곡과 이야기로 풀어낸 부분이 그렇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한국의 대중음악사를 전체적으로 관망하고(모든 걸 담아내는 건 불가능하겠지만) 다시 음악을 듣는 일이 중요한 건, 이 일이 현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아카이브K> 첫 방에서 특히 이영훈의 가사가 남다른 울림으로 남은 건 바로 이런 점 때문이다. 이영훈의 가사를 다시 들여다보는 건, 가사의 깊이와 울림이 점점 자극적인 비트와 박자 속에서 흐려져 가는 현 우리네 가요계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일이기도 하니까. 

 

<아카이브K>는 물론 그 어마어마한 제목의 크기만큼을 모두 담아내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렇게 우리네 대중음악에도 역사라 부를 수 있는 흐름들이 존재했고, 그 흐름 위에 현재의 우리네 가요가 서 있다는 걸 관통해보는 건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일이다. 그건 또한 무심코 듣던 음악들을 다시금 새롭게 들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고.(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