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탄3>의 감동을 해친 추가탈락 시스템

 

실력 있는 참가자가 너무 많은 것도 고민이다. <위대한 탄생>의 지난 시즌에 비해서 시즌3는 확실히 자기 색깔이 확실한 참가자들이 넘쳐났다. 그러니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격상 누구를 합격시키고 누구를 탈락시키는 일은 고역이 아닐 수 없다. 심사위원들이 참가자들의 무대를 그저 즐길 수만은 없는 건 그 때문일 게다.

 

'위대한 탄생3'(사진출처:MBC)

하지만 이건 시청자도 마찬가지다. 예선에서부터 주목해서 봐온 참가자라면 더욱 그렇다. 어떤 그룹은 달랑 한 명만 합격되고 어떤 그룹은 그래도 몇 명이 합격되는 과정을 보면서 그 날의 컨디션 때문에 자신이 주목해온 참가자가 떨어진다면 시청자로서도 안타까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어쩌랴. 어차피 최종 무대까지 올라갈 수 있는 인원은 한정되어 있으니 말이다. 아무리 다양성의 관점으로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해도 어느 정도의 희생은 어쩔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미 합격시킨 참가자를 아무런 추가 테스트도 거치지 않은 채 연령별 6명(팀)씩을 뽑기 위해 추가탈락을 시키는 건 너무 잔인해 보인다. 이미 뽑혀서 합격의 기쁨을 누리고 있는 참가자들 중 탈락통보를 받은 이들은 어찌 보면 더 아픈 경험을 하게 된 셈이다. 이 룰로 인해서 10대 합격자 7명 중 김지원이 탈락했고, 20대 초반 남자 그룹에서 이재민, 김대연, 서영무가 탈락했다. 물론 어떤 연령그룹에는 인원이 부족해서 생긴 추가합격자도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도 추가로 탈락자를 낸다는 결정은 너무 심한 것 같다.

 

도대체 왜 이렇게 굳이 연령별 그룹으로 나눠야 했고 그 인원이 꼭 6명이어야 하는 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 건 당연하다. 애초부터 그런 룰을 제시했다면 참가자들이나 이 과정을 바라보는 시청자들도 용납했을 것이다. 하지만 사전에 이러한 룰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었다. 시청자로서는 추가 탈락이라는 룰이 프로그램에 맞추기 위해 자의적으로 내려진 결정으로밖에 바라볼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김대연 같은 참가자는 이전 미션에서 전원합격이라는 통보를 받은 후에 추가 탈락 발표로 자신만 탈락하게 되는 비운을 맞게 되었다. 아예 애초부터 탈락을 시켰다면 그 상실감은 덜 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이런 과정이 방송으로서는 더 자극적이고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전원합격’이 주는 강도가 강한 데다, 거기서 또 추가 탈락하는 인물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건 방송의 측면일 뿐이다. 이 과정에서 그 대상이 되는 참가자는 결과적으로 방송에 그저 활용되고 폐기되는 인물이 되고 만다.

 

물론 이것을 의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다 보니 인원이 더 뽑히게 됐을 것이고, 그래서 본래 계획에 맞추려다 보니 무리하게 추가 탈락자가 발생하게 됐을 것이다. 즉 이것은 애초에 고안했던 시스템의 결함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일 게다. 그래서 그 탈락자를 뽑아야 하고 또 통보해야 하는 심사위원들이 그들 한 명 한 명에게 진심어린 위로의 말을 건넨 것은 그것이 진짜로 미안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최소한 시청자들에게 제작진은 왜 그런 연령별 팀 구성이 필요했는지 설명해줄 필요가 있다. 그것이 혼신의 힘을 다해 누구보다 절실하게 오디션에 임해온 참가자들에 대한 예의이고 그들을 응원해온 시청자들에 대한 예의일 것이다. 프로그램의 목표에 맞추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한계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 목표에 희생된 이들과 시청자들에게 그 과정을 설득하고 납득시켜야할 필요는 있지 않을까.

 

그 어느 때보다도 기량이 뛰어난 참가자들이 많은 <위대한 탄생3>다. 그래서 시청자들도 그 한 명 한 명의 당락에 대해 더 민감해질 수 있다. 이전 시즌들보다 훨씬 큰 재미와 감동을 전하고 있는 <위대한 탄생3>이기 때문에 이번 추가 탈락자를 갑작스럽게 만들어버린 융통성 없는 룰은 더욱 안타깝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KBS 연예대상 누가 될까

 

올해 KBS 연예대상은 누구에게 돌아갈까. 과거처럼 <1박2일>이나 <남자의 자격>이 펄펄 날았던 시절이라면 그 후보가 거의 명쾌하게 보였을 게다. 하지만 시즌2로 들어온 올해 <해피선데이>는 어느 정도 정착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생각만큼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래도 이 두 프로그램에서 상을 준다면 <1박2일>은 이수근이, <남자의 자격>은 이경규가 제격이다. 하지만 올 한 해의 KBS 연예대상으로서 이 두 후보의 존재감은 과거에 비해 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해피투게더'(사진출처:KBS)

강호동은 아예 활동 자체가 없었고, 유재석 역시 <해피투게더3>가 그다지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니 어찌 보면 늘 연예대상을 받아가던 후보들이 올해는 전체적으로 약세를 보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새롭게 떠오른 예능 프로그램과 거기서 주목할 연예대상 후보는 누가 있을까.

 

올해 KBS 예능에서 단연 으뜸은 <개그콘서트>다. <개그콘서트>는 전체 예능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면서 KBS 전체 예능의 든든한 지원군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사실 위기 상황에 있던 <해피투게더3>를 그나마 버티게 해준 것도 새롭게 투입된 <개그콘서트>의 김준호, 최효종, 김원효, 정범균, 허경환이 만들어낸 활력 덕분이다. 또 <남자의 자격>에서 김준호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것도 마찬가지 영향이다. 게다가 파일럿 프로그램으로서 방영된 <인간의 조건>은 김준호, 김준현, 박성호, 허경환, 양상국, 정태호가 출연해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다.

 

작년처럼 프로그램에 대상을 주지 않는다면(작년에는 <1박2일>팀이 대상을 받았다) <개그콘서트>에서 수훈 갑은 당연히 김준호가 될 것이다. 김준호는 <개그콘서트>에서 ‘비상대책위원회’, ‘감수성’, ‘꺾기도’, ‘갑을컴퍼니’ 등 여러 히트 코너들에 계속 출연하고 있고, 그 와중에서 <남자의 자격2>에 투입된 데다 올해는 <인간의 조건>까지 소화해냈다. 무엇보다 개그맨들의 매니지먼트회사인 코코엔터테인먼트를 차려 후배들을 적극 지원해주고 있는 점은(결국 이들이 <개그콘서트>를 만든다) 그가 연예대상의 유력한 후보가 될 만한 자격을 부여한다.

 

하지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또 한 명 존재한다. 바로 신동엽이다. 그는 올해 KBS 예능에서 성공작이라고 말할 수 있는 두 프로그램, 즉 <불후의 명곡2>와 <안녕하세요>의 MC를 맡고 있다. 게다가 올해는 그 어느 해보다 신동엽의 가치가 주목되었던 해이기도 했다. 그만이 갖고 있는 19금 토크의 진가가 하나의 블루오션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물론 두 프로그램에서는 분위기만 살짝 풍기는 정도였지만 그것이 가진 힘은 분명했다고 보인다.

 

하지만 신동엽과 김준호를 나란히 놓고 보면 KBS 입장에서는 김준호쪽에 더 기울어지는 게 사실이다. 왜냐하면 김준호는 역시 예능인 사관학교라고도 부를 수 있는 <개그콘서트>의 수훈 갑인데다, 여타의 KBS 예능의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신동엽처럼 타 방송사 프로그램을 많이 하기보다는 KBS맨의 모습이 더 보인다는 점도 플러스 알파 요인이다.

 

물론 이수근, 이경규, 유재석, 신동엽 모두 최고의 기량을 가진 예능인들이다. 하지만 올해의 KBS 예능만을 놓고 본다면 김준호의 활약을 무시하기가 어렵다. 과연 김준호는 올해 연예대상을 받을 수 있을까. 받는다면 그것은 끝없이 진화해가고 있는 예능 속에서 그 기본인 개그가 가진 가치를 재조명해주는 의미를 가질 수도 있지 않을까. 그 어느 때보다 그 결과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비참한 삶 속에서 인간다운 삶이란

 

대선이 끝났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당선으로 막을 내렸지만 그 어느 선거보다 뜨거웠던 대중들의 염원을 느낄 수 있었던 선거였다. 보수 진보와 신구세대로 나뉘어져 팽팽한 대결을 벌였지만 그 공약이 전하는 내용들은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경제민주화로 양극화 문제 해결, 반값등록금 실현과 청년 실업 해결, 대기업의 횡포로 사라져버린 골목 상권 부활 등등. 그것이 보수 진보와 신구세대를 넘어선 작금의 민심이었기 때문이다.

 

사진출처:영화 <레미제라블>

대선이 치러진 날 <레미제라블>이 개봉되었다.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 결과 <레미제라블>은 이 날에만 전국 28만 3887명의 관객을 동원 누적 관객수 34만 3094명을 기록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랐다. 많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마치고 이 영화를 봤을 것이다. 이미 고전을 통해 익히 알고 있는 이 영화를 통해 대중들은 어떤 희망을 꿈꾸었을까.

 

<레미제라블>은 1789년 프랑스 대혁명 후의 비참했던 민중들의 삶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제목부터가 <레 미제라블 Le Miserable> 즉 ‘비참한 사람들’ 혹은 ‘가난한 사람들’이다.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무려 19년의 감옥살이를 지낸 장발장, 병을 앓고 있는 코제트를 위해 몸까지 팔다가 결국 죽음을 맞이한 불쌍한 여인 팡틴, 고아나 다름없이 갖은 구박과 착취를 겪으며 살아가는 코제트가 그들을 대변하는 인물들이다.

 

이 가난과 비참이 전염병처럼 돌고 있는 도시, 그 끝없는 고통의 그늘 속에서 마리우스 같은 혁명을 꿈꾸는 젊은이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기득권을 가진 아버지를 부정하고 이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을 위해 기꺼이 몸을 던진다. 하지만 혁명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거리 시위에서 모두 죽음을 맞이하고 결국 혼자만 장발장에 의해 살아남게 된 마리우스는 절망감에 사로잡힌다. 그 마리우스를 위로하고 감싸 안는 건 바로 연인 코제트와 그 사랑을 이뤄준 장발장이라는 위대한 인간의 헌신이다.

 

<레미제라블>은 최근 우리 문화계의 화두로 자리하고 있다. 뮤지컬 영화가 개봉되었고, 뮤지컬은 우리말로 초연되었다. 5권으로 완역된 소설은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라있고 심지어 다시 돌아온 피겨 여왕 김연아의 프리 프로그램의 새 레퍼토리가 바로 이 작품이다. 왜일까. 도대체 150년의 세월을 뛰어넘은 이 걸작이 지금 우리 시대와 맞닿은 지점은. 그것은 아마도 20세기, 자본이 그려낸 지구의 미래가 양극화라는 위기의식을 가져왔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게다.

 

돈이면 사람도 서슴없이 거래되는 이 비참한 시대에 <레미제라블>의 장발장이 전하는 메시지는 그 속에서 어떻게 사는 것이 인간다운 삶인가 하는 질문이다. 그리고 그런 삶은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희망이다. 도둑질을 한 장발장을 끌어안아 그 영혼을 구원한 미리엘 주교의 삶은 바로 그대로 장발장에 의해 반복된다. 한 사람에게 준 희망의 촛불이 다른 여러 사람의 희망을 비춰주는 빛이 되었던 것.

 

원작에서 장발장은 죽어가며 이런 말을 남긴다. “죽는 건 아무 것도 아니야. 무서운 건 진정으로 살지 못한 것이지.” 세상이 제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해서 절망할 건 없다. 스스로 진정 인간다운 삶을 선택하며 살아가는 것 그것이 중요한 일이니까.

 

대선은 끝났고 당락은 결정됐다. 자신이 지지한 후보가 당선되었든, 아니면 그렇지 못했든 그 과정에서 지금 이 땅의 대중들의 염원은 충분히 전달되었을 것이다. 이제 남은 건 그 염원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게 다시 한 걸음 한 걸음 나가는 일이다. 저 <레미제라블>의 장발장이 그랬던 것처럼.

 

관련 글 : '레 미제라블', 이 노래 하나로 충분한 영화

가난으로 모든 걸 다 잃고 팡틴이 부르는 이 노래.

아프고 힘겨운 삶을 얘기하지만

그 속에서도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노래.

그래서 위로가 되는 노래.

수잔 보일이 '브리튼스 갓 탤런트'에서 모두의 냉소적인 시선을 단박에 눌러버린 이 노래.

처절하지만 아름다운... 모두에게 위안이 되기를.

 

I Dreamed A Dream

 

I dreamed a dream in times gone by
난 흘러간 시간에 꿈을 꿨네
When hope was high
희망은 높았고
And life worth living
삶은 가치가 있었을 때
I dreamed that love would never die
난 사랑이 절대 안 죽을 거라 꿈꿨네
I dreamed that God would be forgiving
난 신이 용서할 거라 꿈꿨네
Then I was young and unafraid
그리고 나는 어렸고 두려움이 없었고
And dreams were made and used and wasted
꿈들은 만들어지고 사용되고 버려졌네
There was no ransom to be paid
지불해야 할 몸값이 없고
No song unsung
불러지지 않은 노래가 없고
No wine untasted
맛보지 않은 와인이 없네
But the tigers come at night
하지만 호랑이는 밤에 오지
With their voices soft as thunder
그들의 목소리는 천둥처럼 부드럽고
As they tear your hope apart
그들이 너의 희망을 찢어 버릴때
And they turn your dream to shame
그리고 그들이 너의 꿈을 부끄러움으로 만들어 버릴때
He slept a summer by my side
그는 내 옆에서 한 여름을 잤지
He filled my days with endless wonder
그는 내 삶을 끝없는 놀라움으로 채웠지
He took my childhood in his stride
그는 내 어린 시절을 그의 걸음에 넣었고
But he was gone when autumn came
하지만 가을이 오자 그는 가버렸지
And still I dream he'll come to me
그리고 여전히 난 그가 돌아오기를 꿈꾸지
That we'll live the years together
우리가 오래오래 같이 살기를
But there are dreams that cannot be
하지만 이뤄질 수 없는 꿈들이 있고
And there are storms we cannot weather
또 견딜 수 없는 폭풍도 있지
I had a dream my life would be
난 꿈을 꿨지, 내 삶이
So much different from this hell I'm living
지금 살고 있는 이 지옥같은 상황에서 정말 많이 달라지기를
So different now from what it seemed
그것이 어떻게 보이던가는 지금 너무 많이 달라졌지
Now life has killed
이제 삶이 내가 꾸었던 그 꿈을
The dream I dreamed.
없애 버렸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