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
울면서 웃기는 배우 조정석, '엑시트'로 또 일냈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9. 8. 3. 11:32
‘엑시트’,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눈물과 웃음의 롤러코스터가 있다 이 영화 심상찮다. 재난과 코미디는 어딘지 어울리지 않을 듯싶지만, 의외로 웃음과 눈물의 공존이 가능하다는 걸 보여주는 영화가 바로 다. 그 중심에는 역시 울면서 웃기는데 이보다 잘 할 수 없는 조정석이라는 배우가 있다. 그는 영화 내내 뛰어다니고 억울해하고 두려워 떨고 심지어 울지만, 그걸 보는 관객들에게는 시종일관 웃음을 안긴다. 바로 이 눈물과 웃음이 자연스럽게 교차되는 지점이 바로 가 가진 가장 큰 묘미라는 걸 생각해보면 이 영화에서 조정석이 얼마나 큰 위치를 차지하는가를 실감할 수 있다. 유독가스로 뒤덮인 도시를 탈출한다는 그 상황은 전형적인 재난영화의 틀을 갖고 오지만, 그 속의 인물들과 그들이 만들어가는 이야기가 지극히 우리식의..
-
'나랏말싸미', 역사왜곡 논란 극복 못하고 끝내 무너진 까닭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9. 8. 2. 14:38
‘나랏말싸미’, 세종대왕 폄훼 아니라고 하지만 영화적으로만 보면 는 꽤 잘 만든 영화다. 그것은 이 영화가 지금까지 세종대왕을 다루는 많은 콘텐츠들이 깊게 들어가 보지 않았던 한글의 창제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다루고 있어서다. 무에서 유를 창출해내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제목에 담긴 것처럼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로 시작하는 ‘훈민정음’의 서문처럼, 우리는 우리말을 하고 있는데 글자는 한자를 쓰는 당대 언어생활의 어려움은 세종대왕이 그 말을 소리 나는 대로 글자로 만들려한 중요한 이유다. 소리글자를 만들기 위해 하나하나 발성을 해가며 그 소리가 입안 어디서 나오는지 알아내기 위해 손가락을 집어넣고 소리를 내는 과정들을 반복하고, 그 일관된 규칙을 찾아내며 나아가 점과 선만으로 다양한 글자의 ..
-
지금 극장가는 '디즈니 월드'..볼 게 디즈니밖에 없다는 건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9. 7. 19. 10:48
디즈니 월드, 그 움직임이 심상찮다 지금 극장가는 디즈니 월드다. 지난 5월 개봉한 이 1천만 관객을 돌파했고, 지난 6월 20일 개봉한 도 320만 관객을 돌파했다. 7월2일 개봉한 은 700만 관객 돌파를 앞두고 있고, 새로이 개봉한 도 단 하루만에 30만 관객을 돌파하며 디즈니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이 정도면 디즈니 영화 보러 극장에 간다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지게 된 걸까. 그간 디즈니가 그간 끊임없는 인수합병을 통해 그 캐릭터 왕국의 영토를 무한 확장해왔기 때문이다. 디즈니는 방송사 ABC, 스포츠채널 ESPN은 물론이고, 2006년에 픽사, 2009년에는 마블코믹스, 2012년 루카스 필름, 2017년 20세기폭스, 2018년 21세기폭스까지 인수했다. 이로써 우리..
-
깔깔 웃다 진지해지는 '기생충', 봉테일이 허명이 아니더라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9. 6. 1. 11:33
‘기생충’, 공간 대비만으로도 빵빵 터지는 봉준호 감독의 디테일 정말 오랜만에 깔깔 웃었다. 첫 장면으로 등장하는 반지하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만으로도 웃음이 터졌다. 그것이 봉준호 감독의 칸느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이라는 어마어마한 성취를 한 작품이라는 사실 때문이 아니라, 시작부터 이 영화가 너무 정곡을 콕 찔러서였다. 그 반지하에서 간만에 가족이 모여 맥주 한 잔을 하려 할 때 마침 취객이 나타나 토악질을 해대고 노상방뇨를 하려는 모습을 보며 기택(송강호)이 짜증을 확 내는 장면에서 터지는 웃음. 은 그런 영화였다. 무언가 비극적 상황의 꼬질꼬질함이 오히려 웃음으로 터져 나오는 블랙코미디. 봉준호 감독이 ‘봉테일’이라 불리는 게 허명이 아니라는 걸 느끼게 되는 대목은 이 영화가 담고 있는 공간, 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