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임무 그 이상의 숭고함이주의 영화 대사 2024. 12. 30. 13:46
“내가 여기서 지면 저 사람은 죽는다” 곽경택 ‘소방관’“형 무섭지 않으세요? 그랬더니 그 형이 뭐라고 했는지 알아? 나도 무서워. 검은 연기 때문에 발끝도 안 보일 때는 다리가 후들후들 떨려. 그래서 내가 ‘그럴 땐 무슨 생각 드세요, 형?’ 그랬더니 딱 하나. 내가 여기서 지면 저 사람은 죽는다.” 곽경택 감독의 영화 ‘소방관’에서 진섭(곽도원)이 들려주는 이 이야기는 소방관이라는 직업의 숭고함을 드러낸다. 불길 속으로 뛰어들어 단 한 명이라도 더 구해내기 위해 목숨을 거는 그들이다. ‘소방관’은 이들의 숭고한 삶을 담아낸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영화다. 실제로 이 영화는 2001년 홍제동 다가구주택에서 벌어졌던 방화사건을 소재로 가져왔다. 아들이 미처 나오지 못했다는 주인의 말 한 마디에 몸 사리지 ..
-
주지훈, 무표정 그 밑에 존재하는 다양한 표정들이주의 인물 2024. 12. 30. 13:43
빛과 어둠의 대비를 아는 배우, 주지훈의 여러 가지 얼굴“그 아저씨가 세상 무뚝뚝한데 은근 따뜻하지.” 디즈니+ 드라마 ‘조명가게’에서 간호사 영지(박보영)는 원영(주지훈)에 대해 그렇게 말한다. 원영은 암흑뿐인 사후세계에 유일하게 빛을 밝히고 있는 조명가게 주인이다. 빛이 너무 눈부시다는 핑계로 늘 선그라스를 끼고 있지만 사실 그건 의식을 잃고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배회하는 사람들과는 다른 자신(고양이 같은 눈빛을 가졌다)을 숨기기 위해서다. 하지만 선글라스의 용도는 정체를 숨기는 것만이 아니다. 눈빛으로 드러날 수 있는 속내를 숨기는 것도 그 중요한 용도다. 원영은 그 곳이 사후세계인지도 모른 채 조명가게를 찾는 이들에게 자신의 정체도 또 속내도 숨기려 한다. 그런데 그건 그들을 겁주기 위해서가 아니..
-
‘조명가게’, 강풀이 한국형 공포물로 그려낸 휴먼드라마이주의 드라마 2024. 12. 23. 21:40
삶과 죽음의 경계에까지 갔다가 살아 돌아온 사람들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디즈니+ 드라마 ‘조명가게’의 상상력은 거기서부터 시작했을 게다. 사고로 인해 의식을 잃었지만 중환자실에서 산소호흡기에 의지한 채 버텨내는 환자들. 그들은 무의식 속에서 불빛 하나 없는 어두운 동네를 배회한다. 그 곳에는 유일하게 밤새도록 환하게 빛을 내는 조명가게가 있다. 낯선 동네를 배회하는 낯선 사람들의 발길은 저마다의 이유로 그 조명가게를 향한다. 어두운 동네를 배회하는 낯선 이들의 모습은 오싹한 공포를 불러 일으킨다. 누군가는 손톱이 손가락 안쪽에 붙어 있고, 누군가는 어두운 골목길에 갇혀 있으며, 누군가는 집에 갇혀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누군가는 밤새도록 짖어대는 개를 찾아 죽이겠다며 쫓아다니고. 누군가는 하염없..
-
탄핵 정국에 다시 보이는 K콘텐츠의 진면목대중문화 비평 2024. 12. 23. 21:37
K콘텐츠에 투영된 K시민의 비판의식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그리고 탄핵 정국까지, 거꾸로 갈 것 같던 시간을 다시 현재로 되돌린 건 다름 아닌 시민들이었다. 마치 한 편의 드라마 같은 그 과정들을 보다보면, 새삼 K콘텐츠의 진면목이 바로 그 문제를 바로잡으려는 비판의식이었다는 걸 깨닫게 된다. 비상계엄 사태를 ‘현실판 디스토피아’라 보도한 외신지난 3일 갑작스런 비상계엄 선포와 그 해제 과정에 대해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은 ‘K팝과 독재자들:민주주의에 가해진 충격이 한국의 양면을 드러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그 기사는 한국이 최근 한류 열풍을 통해 ‘문화적 거물’이 됐지만 갑자기 터진 계엄사태로 ‘현실판 디스토피아’가 생겨났다고 했다. 계엄 선포와 해제 과정에서 국회의원들이 담을 넘어 국회의사당으로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