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라
-
'라스'만이 가진 삼천포 토크의 매력옛글들/명랑TV 2012. 3. 16. 09:13
'라디오스타', 누가 나와도 되는 이유 현재 토크쇼는 '게스트쇼'가 되었다. 게스트로 누가 나오느냐에 따라 재미의 편차도 크고, 시청률의 등락 폭도 크다. '힐링캠프'는 박근혜, 문재인이 나왔을 때만 해도 시청률이 급상승했지만 이민정, 이동국, 최민식이 나왔을 때는 다시 시청률이 뚝 떨어졌다. 그러다 최근 차인표가 나오자 다시 시청률이 반등했다. 이런 사정은 '놀러와'나 '승승장구'도 마찬가지다. '놀러와'는 '세시봉' 이후로 끊임없는 추락을 경험했는데 '기인열전'을 했을 때 잠깐 반등했을 뿐이었다. '승승장구' 역시 MC스페셜로 '이수근편'을 했을 때의 주목도와 다른 게스트들의 주목도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결국 현재의 토크쇼들의 성패는 거의 대부분 '섭외'가 관건이 되어버렸다. 이렇게 된 것은 토크쇼..
-
'라스', 5초 폭소의 동력 김구라옛글들/명랑TV 2011. 11. 30. 10:26
김구라, '라디오스타'를 살리다 사실 말이 쉬워 '빵빵 터진다'고 표현하지 실제로 빵빵 터지는 토크쇼를 만드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달라진 '라디오스타'는 '빵빵 터진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거의 5초에 한 번씩 웃음 폭탄을 날리는 토크쇼. 무엇이 '라디오스타'의 이런 속도감 넘치는 웃음(?)을 가능하게 한 걸까. '황금어장'에서 '라디오스타'는 늘 자투리 방송이었다. '무릎팍도사'에 의해 분량이 좌지우지되는. 그래서 이 토크쇼는 길어봐야 20분을 넘긴 적이 없고, 심지어 단 몇 분이 방영됐던 적도 있다. 그만큼 시청자들은 아쉬워했지만, 바로 이 '짧다'는 것은 '라디오스타'만의 확실한 토크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 핵심은 속도다. '라디오스타'는 말 그대로 정신없이 쏟아지는 토..
-
'오딘의 눈', 정보 프로그램의 새 장 열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1. 2. 1. 07:24
지식 토크쇼, '오딘의 눈'을 기대하는 이유 한때 정보를 다루는 프로그램들은 말 그대로 쏟아져 나왔다. '~는 □다'는 형태의 퀴즈쇼 형식을 접목한 '스펀지'는 그 선두에 서 있었고, 그 뒤로 정보에 리얼 버라이어티쇼적인 요소를 섞은 '자체발광' 같은 진화된 프로그램이 등장했었다. 또 '사이펀' 같은 프로그램 역시 과학실험을 예능적인 요소와 접목해 말 그대로 펀(fun)한 정보 프로그램 선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작년을 기점으로 '스펀지'를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들이 종영함으로써 정보 프로그램의 진화는 멈춘 것처럼 보였다. 2월2일 파일럿으로 선보이는 '오딘의 눈'이라는 지식 토크쇼가 주목되는 것은 이 정체된 정보 프로그램의 진화를 이 프로그램이 계속 이어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때문이다. 먼저 '오..
-
'뜨거운 형제들', 박명수식 리얼 상황극의 묘미옛글들/명랑TV 2010. 6. 7. 07:20
'뜨거운 형제들', 그 리얼 상황극의 가능성 '뜨거운 형제들'이 서 있는 지점은 가상과 현실 사이의 경계지대다. '뜨거운 형제들'이라는 타이틀 아래 형제들(?)은 인위적으로 구성되었다. 그 인위성은 김구라와 박명수 같은 좀체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강한 캐릭터가 한 자리에 서 있는 것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에 노련하고 재기발랄한 탁재훈과 의외로 진지한(?) 박휘순, 의외로 허술한 노유민도 독특하고, 예능 신상으로서의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어가는 한상진이나 사이먼D, 이기광이라는 조합도 낯설다. 이 어색한 느낌의 구성만으로 보면 이 프로그램은 마치 김구라가 진행했던 '절친노트'의 초반 시절을 연상시킨다. 억지로 구성한 팀은 바로 그 인위성 때문에 오히려 리얼하다. 서로가 서로를 잘 모르고, 어색하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