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민
-
'임진왜란1592', 호불호 극명하게 갈리는 까닭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9. 5. 08:29
“역시 이순신!”과 “또 이순신?” 사이 임진왜란과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는 KBS 사극의 단골소재다. 그 유명한 은 김명민이라는 명배우에 의해 인간적이고 고뇌하는 이순신의 면면까지를 보여줌으로서 이순신 장군을 소재로한 최고의 작품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류성룡의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을 소재로 한 에서도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었다. 그리고 새로 방영되고 있는 는 좀 더 전투 장면의 디테일들을 담아낸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다. 사실 이순신 장군을 소재로 한 사극들 중 가장 극적이고 화제가 됐던 건 역시 일련의 해전 장면들이다. 이 방영될 때는 마치 한일전이라도 하듯이 이번 주에는 사천에서 다음 주에는 명량에서 라는 식으로 예고가 되었고 그 해전을 마치 스포츠 중계 보듯 모여들어 시청하는 진풍경이 ..
-
이제 사극은 <육룡이 나르샤> 전과 후로 나뉜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3. 23. 09:15
사극의 새 역사 쓴 SBS 월화 사극 가 이제 종영한다. 50부작에 이르는 긴 여정의 드라마지만 어찌 된 일인지 순식간에 지나가버린 듯한 느낌이다. 어느 정도 흐르고 나면 늘어지기 마련인 장편 드라마들 속에서 는 확실히 다른 밀도를 보여줬다. 마치 한 회 한 회가 잘 짜여진 완성도 높은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한 긴장감이라니. 이 사극이 50부작이었다는 게 실로 믿기지 않는 건 그래서일 게다. 정통사극, 퓨전사극, 판타지사극, 장르사극 등등. 사극은 역사와 상상력이라는 두 날개를 갖고 끊임없이 진화를 거듭해 왔다. 정통사극이 역사에 방점을 찍었다면 퓨전사극부터 장르사극까지는 서서히 상상력쪽으로 그 무게중심이 이동해왔다. 하지만 상상력의 끝단이 만들어낸 결과는 역사라는 사실의 진중함이 결여된 허구라는 문..
-
'육룡이 나르샤', 결국 중심에 선 유아인의 저력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3. 17. 09:26
육룡에서 하나의 용으로 우뚝 선 유아인 이제 2회만 남겨 놓은 SBS 월화사극 . 고려라는 구악을 끝장내고 신조선을 세우기 위한 여섯 용의 이야기를 다룬 사극이지만 결말에 이르러 그 최후의 일인으로 남은 인물은 다름 아닌 이방원(유아인)이다. 이것은 어쩔 수 없는 역사적 사실 때문일 수 있다. 조선 건국에 있어서 그 포문을 연 건 이성계(천호진)지만 실질적으로 그 패업을 완성한 건 이방원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의 새로운 국가 시스템을 계획하고 추진한 건 정도전(김명민)이었지만 그것을 강력하게 밀어붙여 실행한 것 역시 이방원이었기 때문이다. 스승과 동생까지 죽이는 비정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그의 이런 패업에 대한 결행이 있었기 때문에 세종 대의 태평성대가 가능했다. 그러니 여섯 용인, 이성계, ..
-
'육룡'과 '뿌리'는 왜 비밀조직을 등장시킬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2. 25. 08:26
의 무명, 의 밀본에서 보이는 작가의 야심 SBS 월화사극 에서 드디어 ‘밀본(숨은 뿌리)’이 등장했다. 에서 세종의 한글 창제와 유포를 막는 세력으로 등장했던 비밀조직이 ‘밀본’이다. 이 ‘밀본’이란 조직은 “꽃은 꽃일 뿐 뿌리가 될 수 없다”라는 말로 그 조직의 성격을 설명한다. 정도전(김명민)이 1대 본원인 ‘밀본’은 그가 주장한 대로 ‘왕의 나라’가 아닌 ‘사대부의 나라’를 꿈꾸는 조직. 왕은 상징성을 드러내는 꽃일 뿐, 실질적으로 나라가 움직이는 건 사대부들에 의한 관료 시스템이며, 그들의 근본적인 힘은 백성(민본)이라는 뿌리에서 나온다고 밀본은 주장한다. 제 1대 본원인 정도전은 사대부들을 모아 놓은 자리에서 밀본을 세우며 위민(爲民), 애민(愛民), 중민(重民), 안민(安民), 목민(牧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