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 썸네일형 리스트형 '1박' 복불복보다 '런닝맨' 게임이 나은 이유 자극보다는 상상력, 결과보다는 과정 은 언제부터 복불복만 남게 되었을까. 본래 은 게임 버라이어티가 아니다. 이 시도했던 여행 특집의 한 지류로서 ‘여행’이라는 소재를 본격적으로 다뤄왔던 여행 버라이어티가 아니던가. 그런데 최근 을 보면 여행지에 대한 기억보다는 거기서 벌인 복불복 게임만 떠오른다. 어떤 벌칙을 받았고 누가 밥을 굶었으며 누가 야외취침을 했는가만이 반복되는 느낌이다. 물론 복불복 게임이 자극적인 재미를 주는 건 사실이다. 이 재미의 핵심은 단순한 게임과 그로 인한 엄청난 결과에서 생긴다. 즉 가위바위보나 돌림판 같은 단순하기 이를 데 없는 게임을 하지만 그 결과로 누구는 따뜻한 방안에서 자고 누구는 혹한에 야외취침을 하는 데서 나오는 자극이 핵심이라는 점이다. 간단하게 상황을 긴장으로 만.. 더보기 '나 혼자 산다', 남자들의 수다와 놀이 왜 흥미로울까 , 잘 나가는 이유? 남자들에 있다 설 특집으로 방영된 가 정규편성 되면서 굳이 몇 번의 제목을 고치더니 가 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모양이다. 의 뉘앙스가 어딘지 소극적이고 궁상맞은 느낌을 주었던 반면, 는 좀 더 당당하고 즐기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기 모인 무지개 회원들은 구호를 굳이 이렇게 외친다. “나 혼자 산다! 자알-” 사실 혼자 사는 남자들의 이야기가 뭐 그리 재미있을까 한번쯤 의구심을 갖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하다. 지금껏 그런 이야기를 방송을 통해서(특히 예능에서) 본 적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방송이 조명하는 남자들의 이야기란 여행을 가거나(1박2일) 특별한 도전을 하거나(무한도전, 남자의 자격) 게임이나 스포츠를 하는(우리동네 예체능) 식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방송.. 더보기 우리는 왜 브라우니에 열광할까 예능에 몰아친 ‘브라우니 신드롬’의 실체 “브라우니, 물어!” 의 라는 코너는 아이러니하지만 정여사보다 브라우니가 더 떴다. 물론 그렇다고 정여사라는 캐릭터를 만든 정태호의 존재감이 약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에서 가능성을 보이고 로 주목받게 된 정태호는 를 통해 의 중심축으로 올라섰다. 그만큼 존재감이 강하지만 브라우니의 열풍이 워낙 거세다는 얘기일 뿐이다. 무언가 말 못하는 존재를 캐릭터로 세워두고 정여사는 끊임없이 제 멋대로 해석을 단다. 누굴 더 좋아하느냐고 선택을 강요하고는 (당연히) 가만있는 모습에 “브라우니 공평해!”라고 의미를 붙이는 식이다. 브라우니는 당연하지만 짖지도 않고 말하지도 않으며 심지어 움직이지도 않는다. 그러니 주인이 데리고 다니면서 마음껏 의미를 부여하는 걸 허락한다. 바로 .. 더보기 '런닝맨', 세상은 넓고 할 '놀이'는 많다 게임 버라이어티의 무한진화, '런닝맨'이 보여주는 것 세상은 넓고, 할 '게임'은 많다. 사실 게임만큼 예능의 오랜 '고정(?) 소재'는 없다. 멀게는 '명랑운동회'에서부터 '캠퍼스 최강전'이나 '출발 드림팀' 같은 예능을 거쳐 단련되어온 게임 버라이어티의 세계는 스튜디오든 야외든 어떤 특정 공간에서의 게임을 다루었다. 그러다 이 공간에 변화가 일어난 것은 '무한도전' 같은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만나면서다. 이것은 카메라가 단순히 실내에서 야외로 나간 것이 아니라, 게임의 공간 자체가 확장된 것이다. '무한도전'은 '여드름 브레이크'나 '경주보물찾기' 같은 특집에서 볼 수 있듯이 실제 도시 전체를 게임의 공간으로 삼기도 한다. '1박2일'은 여행지를 복불복 같은 게임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패밀리가 떴다'는..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