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의식
-
송승헌 원맨쇼로 시선 끈 '위대한 쇼', 갈수록 맥빠지는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9. 10. 1. 15:30
‘위대한 쇼’, 문제의식은 나쁘지 않은데 단순한 해결이 문제 tvN 월화드라마 는 이른바 가족 코스프레 소동극으로 초반 시선을 잡아끌었다. 무엇보다 송승헌의 내려놓고 망가지는 모습이 웃음을 줬고, 정치쇼와 가족극을 코미디로 엮어놓은 부분이 절묘했다. 또한 드라마 초반부터 지금까지 코미디에 더해 육아문제나 미혼모와 낙태 이슈, 동네 상권 문제, 학교 집단 따돌림 문제 같은 현실 문제들을 끌어온 것도 흥미로웠다. 하지만 는 초반의 주목 이후에 지속적으로 관심이 빠져나갔다. 이것은 시청률의 지속적인 하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 회 3%(닐슨 코리아)로 기대감을 주며 시작한 드라마는 10회까지 계속 하락해 지금은 간신히 2%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이 이런 문제를 만들었을까. 는 근간이 코미디 장..
-
'대호', 왜 통쾌하지가 않고 처연할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12. 18. 09:54
, 단순한 카타르시스가 아닌 성찰을 택한 까닭 영화 는 그 제목이나 포스터만으로도 압도적이다. 포스터 한 가득 얼굴을 채운 최민식에게서 느껴지는 카리스마는 영화 속 대호와 그 이미지가 절묘하게 겹쳐진다. 게다가 ‘일제강점기의 마지막 호랑이’라는 문구는 그 압도감에 비장미까지 흐르게 만든다. 라는 영화에서 어떤 강력한 액션과 스펙터클 그리고 포스와 맹수 사이에 오가는 긴장감을 기대하는 건 그래서 당연한 일일 게다. 하지만 생각만큼 는 관객들에게 쉽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일본군들이 마치 전쟁을 치르듯 대호 한 마리를 잡겠다고 산으로 진군하고 그들을 성난 호랑이가 궤멸시키는 장면은 잠깐의 카타르시스가 제공하지만 이야기의 서사는 그 시각적인 쾌감이나 액션의 장쾌함에 맞춰져 있지 않다. 대신 이야기는 ..
-
기승전멜로로 흐르는 지상파 드라마의 한계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6. 13. 08:46
고개 드는 지상파 드라마 위기, 왜? 알고 보니 멜로였나? 정통 멜로가 고개를 숙인 지는 꽤 오래됐다. 사적인 로맨틱 코미디류의 멜로들에 시청자들이 굳이 채널을 고정시키지 않게 된 것은 그 패턴이 이미 너무 익숙해져 식상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첫 회에 남녀가 등장하면 그 끝을 이미 예견할 수 있는 드라마를 왜 굳이 본단 말인가. 과정이 재미있다고? 천만에. 과정 또한 다 읽히는 수라면 재미는 찾아보기 힘들게 된다. MBC 사극 은 ‘화려한 정치’를 뜻하는 제목에서 풍겨나듯이 무언가 진지한 정치적 사안들이 등장할 것처럼 보였지만 결국은 소소한 멜로로 흘러가는 느낌이다. 광해군(차승원)의 이야기와 그를 반정시키려는 세력들, 그리고 정명공주(이연희)의 복수가 포진되어 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정명공주와 주원(서..
-
'피노키오'의 문제의식과 소설가 김훈의 일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 3. 08:12
, 왜 굳이 박신혜와 진경을 대립시켰을까 과거 공장에서 커다란 화재사건이 벌어졌고 구조작업을 위해 소방관들이 투입되었지만 폭발사고로 모두 사망했다. 사고의 원인을 밝히는 일이 더 중요한 일이었지만 언론의 방향은 이상하게도 구조작업에 투입시킨 소방관 대장 기호상(정인기)에게 집중되었다. 그가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루머는 기호상과 그의 가족들을 순식간에 희생양으로 몰았고 사고의 원인 따위는 잊혀지게 만들었다. 그리고 13년 후 그 때와 유사한 사건이 벌어진다. 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벌어져 사망자들이 나왔는데 이상하게도 사건은 사고의 원인이 아니라 그 날 신고를 받고 왔다가 그냥 돌아간 경찰관 안찬수(이주승)의 안전불감증에 집중되었다. 팩트는 없고 추정이 마치 실제처럼 보도되는 과정에서 본말은 전도되고 무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