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문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도', 유아인에게서 청춘의 슬픔을 느끼셨다면 , 왜 하필 지금 사도세자의 이야기일까 아버지 영조가 아들을 뒤주에 가둬 죽인 임오화변은 조선시대 최고의 비극으로 꼽힌다. 그래서일까. 사도세자를 소재로 한 사극들은 너무나 많다. MBC 은 물론이고 , 최근에는 에서도 사도세자가 다뤄졌다. 그러니 역사책을 한 번도 들여다보지 않았다고 해도 이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모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 지금 는 이 소재를 들고 나온 것일까. 물론 이 라는 영화를 읽는 독법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이 영화가 가진 매력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역사가 거의 ‘광인’으로 기록해놓은 사도세자에 대해 이토록 온정적인 시선으로 그럴 수밖에 없었던 마음을 영화로서 다시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나, 제 아무리 왕이라도 자식을 뒤주에 가둬 죽게 한 그 비정함.. 더보기 '오만과 편견'의 연애, 득일까 독일까 지상파 드라마, 왜 연애를 버리지 못할까 MBC 은 검사들이 주인공이다. 소위 말하는 ‘나쁜 놈들’ 때려잡는 검사들의 이야기. 그런데 눈에 띄는 것은 이 하드보일드 할 것만 같은 드라마에 남녀 주인공 간의 미묘한 ‘썸’의 기류가 흐르고 있다는 점이다. 한열무(백진희)는 무슨 이유 때문인지 힘겹게 검사가 되어 굳이 구동치(최진혁)가 있는 지검으로 자청해 들어온다. 이들은 과거 서로 사귀던 사이였지만 어떤 사건(?) 때문에 헤어졌다. 그들이 다시 만나 생겨나는 묘한 연애의 기류. 왜 이 검사들의 나쁜 놈들과의 전쟁 이야기에 연애가 들어 있는 걸까. 어찌 보면 이것은 이질적인 요소처럼 보인다. 첫 회에서 이 다룬 것은 아동 성추행범을 검거해내는 과정이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도 한열무와 구동치의 밀당은 계속 .. 더보기 '비밀의 문', 아버지가 아들을 죽이는 나라라니 이 현실에 던지는 날선 문제의식 “어떤 진실 말인가. 아비가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아들에게 살인을 청부했다. 헌데 쓸모없어지니 버리려 한다. 국청에서 보여준 아비노릇은 가증스러운 연희에 불과했다. 이런 진실을 말인가?” 김택(김창완)의 숨겨진 아들 김무(곽희성)는 세자 이선(이제훈)의 추궁에 이렇게 답한다. 결국 김무는 아비인 김택이 자신을 이용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 하지만 안다고 해도 자신 같은 놈을 “아들이라 당당히 말해준” 아비의 추억이라도 갖고 죽겠다는 것이다. 이 장면은 SBS 이 다루고 있는 영조(한석규)와 사도세자의 이야기의 복선이자 데자뷰인 셈이다. 아버지가 정치적인 이유로 아들을 이용하고 결국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이 김택과 김무의 이야기는 앞으로 펼쳐질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더보기 '비밀의 문'과 '제보자', 왜 모두 진실의 무게를 다룰까 왜 이토록 진실을 밝히려 애쓰는 걸까 진실의 무게는 얼마나 무거운 걸까. SBS 이 영조와 사도세자의 역사를 가져와 다루는 것이 하필이면 ‘진실의 무게’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은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역사라는 것이 본래 그렇지만, 사극은 그 가져온 과거가 그저 옛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에 어떤 의미를 가질 때에만 그 힘을 발휘한다. 즉 지금의 어떤 갈증이 역사적 사건을 끌어와 되새겨지는 것이다. 은 ‘맹의’라는 영조(한석규)와 노론의 결탁을 증거 하는 비밀을 다룬다. 사도세자(이제훈)와 소론은 그 비밀의 문을 열려고 하고 영조와 노론은 그 문을 애써 닫으려한다. 그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이 죽어나간다. 사도세자는 그 애꿎은 백성의 죽음과 누명을 그저 지나치지 않으려 한다. 한 백성의 목숨도 귀히.. 더보기 '비밀의 문', 맹의를 어찌 허구로 치부할 수 있나 의 도발, 성역 없는 수사는 불가한가 “진실이나 정의 따윈 관심조차 없는 이 험한 세상이 문제지.” SBS 드라마 에서 서균(권해효)은 의미심장한 말을 던진다. 딸 서지담(김유정)이 정치적인 희생양이 된 신흥복(서준영) 죽음의 진실을 파헤치고 다니는 것에 대한 은근한 지지발언이다. 서균은 당대에는 법으로 금했던 사설 출판으로 ‘춘향전’이나 ‘사씨남정기’ 같은 소설을 필사해 파는 이른바 ‘책쾌(오늘날의 서적상)’다. 소설을 필사해 판다니 낭만적으로 느껴지지만, 당대의 이 일은 마치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뜻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영조가 정권을 잡기 위해 노론과 결탁했다는 증거인 ‘맹의’를 둘러싸고 벌어진 살인사건. 영조와 노론은 이 진실을 덮기 위해 살인도 불사한다. 반면 사도세자 이선(이제훈)은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