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민

'백일의 낭군님', '아쓰남' 도경수 점점 '아멋남' 되어간다는 건 ‘백일의 낭군님’, 아쓰남 된 왕세자 도경수, 통쾌 훈훈한 까닭왕세자가 이른바 ‘아쓰남(아주 쓰잘데기 없는 남정네)’이 된다? tvN 월화드라마 에서 왕세자 이율(도경수)은 권력의 실세 김차언(조성하)의 사주에 의해 공격받고 기억을 잃은 채, 어쩌다 원득이라는 이름으로 홍심(남지현)의 낭군이 된다. 그런데 궁에서는 “불편한가?”라는 말 한 마디에 모든 게 해결되던 이 왕세자의 삶이 평범한 서민이 되면서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삶이 되어버린다. 몸을 쓰는 노동이라는 걸 해본 적이 없어 물동 하나를 들지 못하고, 입맛에 안 맞는다며 먹지를 않는 통에 영양실조로 쓰러진다. 혼례를 치르지 않으면 박선도(안석환)의 첩이 될 위기에 몰려 어쩔 수 없이 원득이와 부부가 되지만, 이게 완전히 ‘돈 잡아먹는 귀신’이다. 낭.. 더보기
'친애하는' 윤시윤의 하드캐리 속 담긴 서민들의 목소리 ‘친애하는’, 판사님께 보내는 서민들의 탄원서 같은 드라마그저 뻔한 1인2역의 법정판 ‘왕자와 거지’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그건 본격적으로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를 위한 설정일 뿐이었다. SBS 수목드라마 의 진짜 이야기는 전과 5범 한강호(윤시윤)가 판사인 형 수호(윤시윤)를 대신해 만나게 되는 법정 판결문 속에 들어 있었다. 어쩌다 법정에서 판결문을 읽어야 하는 처지가 된 강호는 한자가 빼곡히 적혀 있어 읽지 못하고 선고 기일을 미룬다. 그런데 이 장면은 코믹하게 처리되어 있지만 ‘한자로 되어 있는 판결문’에 담긴 법에 대한 대중들의 정서를 담고 있다. 강호의 대사로도 처리되어 있지만 “저희들끼리만 알아듣는” 그런 판결문이란 당사자들인 서민들에게는 너무나 큰 장벽처럼 법에 위화감을 느껴지게 만드.. 더보기
달달해진 '기름진 멜로', 시청자 기대하는 복수극은 언제쯤? ‘기름진 멜로’, 멜로보다 복수극을 기대하는 까닭SBS 월화드라마 가 한층 달달해졌다. 서풍(이준호)과 단새우(정려원)의 비밀연애가 본격화되면서부터다. 두 사람이 서로를 바라보며 “네가 너무 좋아”라고 말하는 장면은 시쳇말로 ‘꿀이 떨어진다’. 두 사람의 멜로가 더더욱 달달하게 다가오는 건 둘 다 과거 사랑의 상처를 안고 있는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서풍은 첫사랑이었던 석달희(차주영)를 그를 내쫓은 호텔 사장 용승룡(김사권)에게 빼앗겼고, 단새우는 아버지의 부도로 결혼의 단꿈도 깨져버렸다. 그래서 그들은 한강다리 절망의 끝에서 처음 만나게 된 사이다. 죽고픈 마음까지 가진 단새우에게 마지막으로 포춘쿠키를 같이 먹자고 제안한 서풍은 그 때 쿠키 속에 들어있는 예언처럼 이미 운명적인 사랑을 시작하고 있었다. .. 더보기
'함무라비' 고아라, 이토록 사람냄새 나는 판사 캐릭터라니 ‘미스 함무라비’, 우리가 보던 흔한 법정물과 다른 지점억울한 피해자와 공분을 일으키는 가해자. 증거를 찾아 가해자를 검거하려는 검사와 피해자의 억울함을 풀어주려는 변호사. 혹은 공명정대한 사이다 판결로 정의를 구현하거나, 아니면 권력과 결탁해 약한 자들을 짓밟는 판사. 대체로 우리가 법정을 소재로 하는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많이 봐왔던 캐릭터들이 아닐까. 그래서 제목부터 대놓고 법정물을 기대하게 하는 JTBC 월화드라마 를 그 장르 중 하나로 생각하는 건 당연한 일일 수 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하면 는 이들 법정물들이 그려내는 그런 장르적 이야기나 캐릭터들과는 사뭇 다른 지점을 갖고 있다. 그것은 이 드라마가 그리려는 것이 그런 법정 사건들 자체가 가진 이야기성에만 기대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더보기
'라이브'에 담긴 노희경 작가의 아주 특별한 인간관 장단점을 공유한 인물들, ‘라이브’ 그 따뜻한 느낌의 정체사실 공권력을 행사하는 모습으로 우리 앞에 등장하곤 하는 경찰의 인간적인 모습을 담아낸다는 시도는 간단치가 않다. 대학생들의 총장실 점거 농성을 해산시키기 위해 투입된 경찰들의 모습은 자칫 잘못하면 드라마가 그 공권력 행사 자체를 미화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tvN 주말드라마 는 실제로 이 장면으로 인한 논란을 겪기도 했다. 제작진이 해명한 것처럼, 그 장면은 미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고 그런 명령을 내리는 상부에 대한 비판이 담긴 장면일 게다. 상명하복의 경찰조직에서 퇴출되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 이제 갓 경찰제복을 입은 신출내기들은 위에서 떨어지는 명령에 복종할 수밖에 없다. 물론 드라마이니 그걸 거부하는 문제적 인물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