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키우는 <무한도전>, 뭘 해도 사건이 된다

 

최근 들어 <무한도전>이 너무 거대 프로젝트만 선보이는 거 아니냐는 필자의 우문에 김태호 PD거대 프로젝트를 한 적이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 즉 시작은 그런 거창한 일이 아니었는데 하다 보니 일이 커지게 됐었다는 것. 이건 사실 <무한도전>이 걸어온 길 그 자체이기도 하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2년마다 벌어지게 된 <무한도전> 가요제의 첫 발은 출연자와 스텝 수 정도밖에 안되는 관객들 앞에서 노래했던 강변북로 가요제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이번 영동고속도로 가요제는 어마어마한 인파가 가요제가 열린 알펜시아 스키 점프대 아래로 모여들었다. 너무 많이 모여든 인파 때문에 김태호 PD는 긴급하게 늦게 출발하시려는 분들은 방송으로 가요제를 봐달라는 공지를 올리기도 했다.

 

영동고속도로 가요제는 시청률이 무려 21.1%(닐슨 코리아)를 기록했고 음원차트도 싹쓸이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무한도전>에서 했던 작은 가요제가 이제는 작게 하려고 해도 작아지지 않고 한없이 커지는 사건이 된 것. 음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힘을 실감하게 만든 것도 <무한도전>이었다.

 

작년 말에 방영되어 90년대 붐을 다시금 일으켰던 <무한도전 토토가>도 마찬가지다. 사실 이 프로젝트는 박명수와 정준하가 소소하게 기획한 아이템이었다. 하지만 막상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여기 출연한 90년대 가수들은 다시 화려하게 대중들 앞에 서게 됐다. 심지어 90년대 음원이 다시 차트에 역주행하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올해 상반기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무도 식스맨>은 사실 신규 멤버를 뽑는 과정을 당시 화제가 모았던 영화 <킹스맨>을 패러디해 보여주겠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하지만 이 식스맨은 우리네 예능의 숨겨진 보석 같은 신생아들을 새롭게 조명해주는 프로젝트로 일이 커졌다. 결국 광희가 그 식스맨의 자리에 올랐지만, 이 과정에서 보여진 유병재나 홍진경, 최시원 같은 인물들은 예능 신생아로서의 존재감을 확실히 보여주기도 했다.

 

그렇게 뽑힌 광희는 <무한도전>의 새 MC로 들어와 혹독한 신고식을 치렀다. <무한도전> 클래식에서 했던 무모한 도전들을 하나하나 수행하며 조금씩 자기의 영역을 만들어갔다. ‘무한도전 환영식이라는 아이템이 연달아 기획된 것은 식스맨이 가졌던 파장을 잘 말해주는 대목이었다.

 

올 상반기에 화제를 모았던 극한 알바10주년을 맞아 포상휴가 특집을 하게 되면서 해외 극한알바로 일이 커졌다. 과거 방콕 특집으로 옥탑방에서 방콕을 체험했던 기획은 이제 직접 방콕까지 날아가 거기서 세계 각지로 극한알바를 떠나는 모습으로 확대되었다. 해외 극한알바에 이어 시도된 배달의 무도는 이제 지구촌의 거리를 좁혀 놓은 듯한 느낌마저 만들었다. 적어도 어디든 미션을 위해 날아가는 <무한도전>에 있어서 세상은 이제 그리 멀게 느껴지지 않게 되었다.

 

작게 시작했던 아이템들이 이처럼 커다란 사건으로 변모하게 된 건 <무한도전>이 그간 10년 동안 쌓여온 공력을 잘 말해준다. <무한도전>은 어느새 증폭기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세상에 관심없는 소소한 것들도 이 안에 들어가면 엄청나게 증폭되어 대중들에게 다가온다. 일이 커지면서 잡음들도 많아지는 건 그래서다. 이번 영동고속도로 가요제에서 그림자처럼 남은 쓰레기 문제는 커진 사건만큼 커지는 문제들의 일단을 상징하는 것처럼 보인다.

 

힘에는 그만한 책임이 따른다고 했던가. <무한도전>은 이제 더 이상 뭘 해도 소소해질 수 없는 운명을 갖게 되었다. 그렇다면 오히려 그 힘을 사회적으로 유용한 방식으로 쓸 필요가 있다. 물론 너무 어깨에 힘이 들어갈 필요는 없지만 가끔씩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들에 대한 관심을 <무한도전>이 보인다면 어떨까 싶다. 물론 지금도 이런 따뜻한 시선을 늘 <무한도전>을 통해 느낄 수 있지만. 그래서 더더욱.



이젠 <헬로 이방인>같은 외국인 예능도 농촌으로

 

이젠 외국인들도 농촌으로 간다? 2% 시청률에서 허덕이는 MBC <헬로 이방인>이 꺼낸 카드는 농촌이다. <헬로 이방인>은 강원도 모운동 마을을 방문해 현지 주민들과의 12일을 보내는 장면을 내보냈다. 워낙 침체의 늪이 깊어 그다지 큰 효과가 즉각 드러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지금껏 나왔던 <헬로 이방인>의 그 어떤 장면들보다 이 시골 어르신들과 외국인들의 만남은 각별하게 다가왔던 것이 사실이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몇 안 되는 집들에 홀로 살아가시는 어르신들과 외국인들의 만남. 그 장면 자체로도 왠지 모를 뭉클함을 전해주었다. 특유의 친화력으로 어르신들과 스스럼없는 모습을 보여준 강남이나, 첫 출연이지만 정이 느껴지는 터키의 핫산, 어르신들 앞에서 곰 세 마리를 부르며 재롱잔치를 한 후지이 미나, 할머니를 쉬게 해주려고 열심히 콩 타작을 한 제이크... 별 것 아닌 장면처럼 보였지만 시골 어르신들과 이방인들의 교감은 훈훈한 정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했다.

 

농촌이 어느새 예능의 텃밭으로 떠오르고 있다. 물론 <헬로 이방인>은 프로그램의 형식적 한계 때문에 그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12>이나 <삼시세끼>는 대표적인 성공사례다. 김제 신덕마을로 내려가 할머니들과의 하룻밤으로 깊은 감동을 전해주었던 <12>은 왜 농촌이 그 공간만으로도 보는 이들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지를 잘 보여주었다. 어딘지 소외된 공간으로서의 농촌은 프로그램이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정서적인 공감을 만들어낸다. 특별할 것 없어 보이는 하룻밤도 특별해지는 이유다.

 

나영석 PD<삼시세끼>는 농촌의 라이프 스타일을 하나의 예능으로 끌어안은 프로그램이다. 어찌 보면 고립되고, 또 고된 노동의 현장으로 피하게 되는 그 시골이란 공간을 이 프로그램은 즐기는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문명의 이기가 전혀 없는 이 곳에서는 난방조차 직접 장작을 패 때워야 하고, 한 끼 먹기 위해 한 나절을 준비하거나, 텃밭을 키우고 수수를 거둬들이기 위해 힘겨운 노동을 해야 하지만, 그것은 <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들여다보면 또 하나의 즐거움으로 변모한다.

 

불 피우고 가마솥에 밥을 지어 먹는 게 하나의 로망으로 다가오고, 깜깜절벽에 올려다 보면 지천으로 떨어지는 별이 도시에서는 느낄 수 없는 설렘을 만드는 이 곳에서는 떨어지는 빗물 소리 하나, 소소한 읍내 나들이 하나마저 하나의 사건처럼 다가온다. 그러다 가끔 찾아오는 누군가의 방문은 그래서 더 각별할 수밖에 없다. 별 특별할 것이 없어 더 특별해지는 <삼시세끼>라는 시골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마법이다.

 

사실 농촌으로 예능 프로그램이 간 건 지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오래전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라는 프로그램이 그랬고, <12>은 초창기부터 시골과 오지를 텃밭으로 삼았으며 <패밀리가 떴다><청춘불패> 역시 시골의 라이프 스타일을 배경으로 삼아왔었다. 하지만 최근 예능이 다루는 시골의 풍경은 막연한 고립과 소외의 이미지에서 한 차원 더 나간 느낌이다. <삼시세끼>를 통해 보여지듯이 이제 그 시골은 도시인들이 가끔 꿈꾸는 공간으로 되살아나고 있다.

 

제주도에 내려간 이효리가 시골의 소소한 삶을 즐기며 콩 수확을 벌이는 모습이나 <삼시세끼>의 이서진과 옥택연이 티격태격하면서 즐기는 시골의 삶은 이제 복잡한 도시에서 부대끼며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잊고 있던 그 무언가를 깨닫게 하는 면이 있다. 그것은 삶의 본질이다. 모두가 바쁘게 저마다의 욕망을 안고 뛰고 또 뛰고 있지만, 삶은 오히려 가끔 그렇게 멈춰서는 곳에서 제 모습을 드러내준다는 것. 요즘 농촌이 텃밭이 된 예능 프로그램들이 보여주는 훈훈함의 정체다.

 

<닥터 이방인>, 권력에 미친 남한, 막연한 괴물 북한

 

이 드라마 참 낯설다. <닥터 이방인>이라는 제목이 주는 복합 장르적 뉘앙스 때문만은 아니다. 제목은 의학드라마와 남북 관계를 엮은 스파이 장르물이 혼재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하지만 그런 정도의 장르의 혼재는 이제 대중들도 어느 정도는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

 

'닥터 이방인(사진출처:SBS)'

문제는 이 드라마가 드러내고 있는 남한과 북한에 대한 낯선 시선이다. <닥터 이방인>은 명우대 병원이라는 공간을 폐쇄적으로 다룬다. 드라마는 이 명우대 병원을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병원이 수상하다. 우리가 현실에서 보던 병원과 사뭇 다르고, 또 의학드라마가 보여주던 병원과도 다르다.

 

어찌된 일인지 이 병원에서 환자들은 총리(사실은 대통령)를 수술할 팀을 뽑기 위한 테스트용으로 수술대 위에 눕혀진다. 박훈(이종석)이 이끄는 팀과 한재준(박해진)이 이끄는 팀은 끝없는 수술대결을 벌인다. 총리 수술 팀을 뽑기 위한 그 수술에서 환자는 일종의 도구가 되어버린다. 환자 가족들의 반발과 고마움이 표현되지만 그것 역시 큰 틀에서 보면 수술대결의 연장처럼 보여진다.

 

물론 이러한 수술대결이 과거 의학드라마에서 없었던 건 아니다. <하얀거탑>에서 장준혁(김명민)이라는 외과의사는 마치 예술작업을 하듯 수술을 한다. 또 외국에서 온 노민국(차인표)과 수술대결을 벌이기도 한다. 이 미학화된 수술은 인간을 예술의 소재로 만들어내는 불편함을 연출한다. 결국 <하얀거탑>의 이야기는 이 욕망덩어리의 문제적 인간 장준혁의 몰락을 다루었다.

 

하지만 <닥터 이방인>에서 수술 대결을 벌이는 박훈과 한재준의 이야기가 이러한 문제적 인간을 다룰 것 같지는 않다. 다만 그 비인간적인 수술대결에 대해 북에서 온 의사 박훈이 수술대결에 대한 불편함을 표현하는 것으로 드라마는 메시지를 담는다. 즉 돈과 권력욕에 눈먼 남한에 대한 문제의식을 박훈이라는 이방인의 시선으로 그려낸다는 점이다. 여기서 명우대 병원은 우리사회를 상징하는 폐쇄적 공간이 된다.

 

총리가 대통령을 혼수상태에 빠뜨리고 국정을 제 손아귀에 쥐기 위해 북한과 손잡고 특별한 수술 팀을 꾸린다는 <닥터 이방인>의 설정은 결코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그런 수술팀을 꾸리기 위해 한 병원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대결을 벌이는 것도 비현실적이다. 즉 이 드라마는 본격 의학드라마가 아니다. 다만 명우대 병원이라는 공간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상징적으로 끄집어내는 사회극에 가깝다.

 

이처럼 <닥터 이방인>이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은 극단적이다. 사람을 살리는 병원이 마치 실험실 같은 느낌으로 다가오고 권력을 위해 누군가를 죽이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자본과 권력에 경도된 우리 사회의 문제는 모두가 공감하는 이야기지만 그것을 과도하게 극화해 병원 수술대마저 경합의 장으로 만들어버리는 이야기는 낯설음을 넘어서 불편함을 준다.

 

그렇다면 이 드라마가 다루는 북한에 대한 이미지는 어떨까. 김대중 정권 이후에 <쉬리><공동경비구역 JSA>, <웰컴 투 동막골> 같은 남북한의 화해를 다루는 영화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최근 들어 북한 사람에 대한 이미지는 막연한 살상용 무기처럼 그려지고 있다. <은밀하게 위대하게><용의자> 같은 영화를 보라. 남파 공작원이나 탈북자는 무시무시한 살인기술을 가진 존재들로 다뤄진다.

 

흥미로운 건 이 살인기술자(?)들이 남한에서 마치 슈퍼히어로처럼 활약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남한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막연한 두려움의 존재로서의 북한 이미지를 가져와 해소시키려는 욕망이 만들어낸 것이다. 남한으로 들어온 이 북한의 슈퍼히어로들은 우리 사회의 문제와 비리들을 해결하는 존재로 거듭난다. 이것은 <닥터 이방인>도 마찬가지다. 박훈이라는 이방인은 초인적인 외과수술 능력으로 우리사회의 병폐들에 메스를 대는 슈퍼히어로다.

 

<닥터 이방인>이 담아내는 남북한의 이미지는 양측이 모두 낯설다. 남한은 권력에 미쳐 병원의 환자들마저 도구화하고 수단화하는 비정한 공간이고, 북한은 막연한 두려움이 만들어내는 괴물과 슈퍼히어로를 양산하는 공간이다. 물론 이 극화된 이야기가 남북으로 갈라진 불안한 우리 사회가 가진 두려움과 권력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담고 있다는 건 분명하다.

 

하지만 이야기가 너무 극화되다 보면 그 자체로 등장인물조차 메시지를 위한 도구가 되는 느낌을 주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닥터 이방인>의 낯설음은 그 이야기가 비현실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과도한 극화가 인물들을 도구화하는 듯한 불편함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마치 박훈이 이건 수술대결이 아니라 생명을 살리는 일이라고 강변하면서도 결국은 그 수술대결의 주인공이 되는 것처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