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
'바벨250', 잔치국수 한 마디로 빵 터지는 예능이라니옛글들/명랑TV 2016. 7. 13. 10:20
의 소통 도전이 예사롭지 않은 까닭 힘겨운 모내기 끝에 새참으로 먹은 잔치국수가 너무나 맛있었던 프랑스에서 온 니콜라는 애써 안 되는 언어소통으로 그 이름을 묻는다. 하지만 그게 뭘 묻는 건지 알 수 없이 이기우는 거의 멘붕이다. 보다 못한 동네 아줌마까지 나서지만 역시 공통된 언어 없이 서로를 이해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완전 불통이 되진 않는다. 서로가 말하는 걸 애써 이해하려 노력하고 표현하려 하기 때문에 그 의지만으로도 어떤 소통의 지점을 만나게 되는 탓이다. 그렇게 몇 분을 오리무중 언어의 늪(?)에서 헤매던 중, 드디어 니콜라에게 각별한 관심을 보였던 동네 아줌마가 그 질문을 이해하고는 ‘잔치국수’라는 그 음식의 이름을 알려준다.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끼리 있다면 별 것도 ..
-
'태후', '조들호' 이후, KBS드라마가 가진 문제는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6. 30. 09:16
과 , KBS드라마가 고민해야할 것 의 저주인가? 심지어 KBS 드라마의 부활이라고까지 얘기됐던 그 분위기는 가 끝나고 삽시간에 잦아들었다. 후속작으로 기대했던 은 10%를 넘기지 못하고 7%대에 머물러 있다. 월화의 시간대도 마찬가지 흐름이다. 가 최고 시청률 17.3%(닐슨 코리아)까지 내며 종영했지만 후속작으로 야심차게 시작한 는 고작 4%대 시청률에 머물러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결과를 만들었을까. 물론 드라마라는 것이 다 예상한 대로 잘 될 수는 없다. 하지만 과 의 경우는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낮은 의외의 결과를 보인 작품들이다. 잘 만들었지만 시청자들이 그만한 호응을 보내지 않고 있다는 것. 이것은 드라마가 보여주려는 것과 시청자들이 원하는 것 사이에 괴리가..
-
'아버지와 나', 진정한 부자 관계라면 바비네처럼옛글들/명랑TV 2016. 6. 25. 09:01
바비네가 보여준 세대 소통의 비법 바비와 아버지는 하와이 호놀룰루의 거리를 산책하며 끝없는 ‘잡담’을 한다. 눈에 보이는 대로 코에 맡아지는 대로 들리는 대로 모든 게 화젯거리가 된다. 그건 대화라기보다는 반응이다. 바비의 취향을 제대로 저격한 반짝반짝 빛나는 형형색색의 불빛을 입은 카페를 보며 “너무 예쁘다”고 말하고, 어디선가 맡아지는 냄새에 “이게 무슨 냄새야?”하고 묻는다. 키가 스케이트 보드 정도밖에 안 되는 꼬마가 그 보드를 타는 모습에 엄지를 척 세워주고, 길거리에서 팝핀을 하는 청년에게 눈길을 던지며 환호를 해준다. tvN 가 보여준 무려 두 시간을 그렇게 주제 없는 환호성과 반응들로 가득 채워진 두 사람의 대화는 그들 스스로도 ‘잡담’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목적이 없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
-
'동상이몽', 우리 자신까지도 돌아보게 만든 가치옛글들/명랑TV 2016. 6. 22. 09:11
, 서비스업에 대한 잘못된 편견 깨준 부녀 사실 어떤 경우에는 우리 자신도 모르게 무례를 범할 때도 있다. 그것이 무례인지도 모르고, 또 누군가에게는 힘겨운 현실이 될 거라는 것도 모른 채 저지르는 일들. 하지만 입장을 바꿔 놓고 생각해보면 그것이 무례를 넘어서 끔찍한 폭력이 되기도 한다. SBS 에 출연한 네 가지 일을 가진 아빠와 밤마다 콜 받는 일을 도와주는 딸의 이야기는 두 사람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이야기를 넘어서, 우리 자신들까지도 되돌아보게 만들었다. 딸의 불만은 너무나 명백해 보였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아빠가 하는 대리운전의 콜센터 직원(?)이 되어야 하는 딸의 버거움. 주말도 쉬지 못하고 밤 12시까지 꼬박 컴퓨터 앞에 앉아 콜을 받는 모습은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만들었다. 게다가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