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덴의 동쪽
-
월화드라마, 도박에 빠지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10. 7. 09:25
‘타짜’, ‘에덴의 동쪽’이 도박을 소재로 하는 이유 ‘에덴의 동쪽’은 태백의 탄광촌에서부터 시작된다. 이동철(송승헌)은 어린 시절, 그 탄광 속에서 죽은 아버지를 가슴에 묻고 살아간다. 그리고 한참의 세월을 돌아서 이동철은 동생 이동욱(연정훈)과 함께 그 자리에 서서 이 불모의 땅을 희망의 땅으로 바꾸고 싶다고 말한다. 사막 위에 라스베가스를 세운 것처럼. ‘에덴의 동쪽’의 배경이 태백인 것과 카지노 대부로 국회장(유동근)이 등장하는 것 그리고 이동철이 카지노 딜러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 ‘에덴의 동쪽’을 장악하고 있는 정서가 어린 시절 신태환(조민기)에 의해 갈갈이 찢겨진 가족 간의 절절한 그리움, 형제애 같은 것이기에, 이 카지노라는 소재는 그렇게 전면에 드러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 드라마를 ..
-
‘에덴의 동쪽’, 왜 대사가 문제가 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10. 1. 11:36
80년대 드라마 식의 어법과 운명적 장면의 어색함 ‘에덴의 동쪽’은 시청률면에서 말 그대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첫 회에 10%대를 가볍게 넘겼고 6회에 20%를 넘기고 나서 현재 12회에 이르러 27%(AGB 닐슨)로 30%대를 노리고 있다. 하지만 시청률과 함께 점점 이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그 진원지는 다름 아닌 ‘대사’다. 어째서 이 나연숙이라는 베테랑 작가의 작품을 두고 때아닌 대사 논란이 불거지는 걸까. 오랜 세월 동안 만나지 못했던 형제가 만나는 장면에서 동생 동욱(연정훈)은 형 동철(송승헌)에게 연거푸 “형 맞아!”하고 소리친다. 어두컴컴한 그 장면에서 절절한 동욱의 외침과 “동욱아, 형이야!”하고 답하는 동철의 대사는 그 상황 자체로 보면 극적이고 가슴 절절한 장면이..
-
이 시대의 드라마... “아버지는 죽었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9. 29. 10:32
드라마, 아버지 부재의 시대를 말하다 아버지는 죽었다. 니체가 ‘신은 죽었다’고 말한 것처럼. ‘엄마가 뿔났다’에서 엄마가 뿔을 내는 동안, 아버지 나일석(백일섭)은 늘 그 엄마 주변을 빙빙 돌며 눈치를 보거나 혼자 씩 웃고 있거나 가족 대소사에서 한 걸음 뒤편에 서 있었다. 그러면서 엄마가 내는 뿔을 거의 다 받아주었다. 심지어 ‘1년 간의 휴가’를 달라고 했을 때, 아버지는 자신이 나서서 엄마가 살 전셋집을 구하러 다닐 정도였다. ‘엄뿔’이 보여준 아버지의 존재감 이 가족드라마에서, 그것도 가족의 변화형태를 가장 잘 포착한다는 주말 저녁 드라마가 보여주는 아버지의 모습은 과거의 권위를 잃어버린 지 오래다. 주말 드라마의 주 시청층이 중장년 여성이란 점이 영향을 끼친 결과이겠지만, ‘엄마가 뿔났다’에서..
-
‘에덴의 동쪽’, 가족애 그 이상을 그릴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9. 17. 12:52
‘에덴의 동쪽’, 붕괴된 가족을 복기하다 형 동철(김범)이 동생 동욱이 저지른 방화를 대신 뒤집어쓰고 소년원에 들어간다거나, 그 진실을 어머니에게 비밀로 숨긴다거나, “목숨걸고 공부해라”던 형과의 약속을 지키고 동욱이 서울대 법대 수석으로 합격을 한다거나 하는 ‘에덴의 동쪽’의 에피소드들은 옛 드라마들이 가지고 있던 가치관들을 그대로 재연한다. 거기에는 우리가 흔히 구태의연한 드라마들이라 비난하던 가난, 원한, 복수, 출생의 비밀, 재벌과 얽히는 삼각관계 같은 신파의 코드들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이 70년대에나 어울릴 법한 코드들 앞에 21세기를 살고 있는 시청자들의 마음이 움직이는 것은. 시간을 되돌려 가족을 복기하다 ‘에덴의 동쪽’에서 어린 동철(신동우)은 아버지를 만난 자리에서 하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