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왕이 된 남자' 파격적 선택, 여진구와 김희원 PD가 살려냈다 ‘왕이 된 남자’의 성공비결, 파격을 끌어안은 연출과 연기tvN 월화드라마 가 종영했다. 결론은 해피엔딩. 왕이 된 광대 하선(여진구)을 위협하던 진평군(이무생)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이규(김상경)의 칼에 맞고 대비(장영남)에게 버려져 처참한 죽음을 맞이했고, 신치수(권해효)는 하선의 칼에 죽었으며, 대비 역시 하선에 의해 폐모된 후 사약을 받았다. 하선은 기성군(윤박)에게 선위하고 궁을 떠났고, 대비의 원수를 갚으려는 무리들에게 공격을 받았지만 끝까지 그를 지킨 장무영(윤종석)의 희생으로 목숨을 지킬 수 있었다. 그리고 2년 후 중전 소운(이세영)과 꿈같은 재회를 한 하선은 함께 손을 잡고 갈대밭을 걸어 나갔다. 하선이 모든 궁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본래 자신의 위치로 돌아가는 엔딩이었지만 다소 급하게.. 더보기
"망하는 게 당연하다".. '알쓸' 유시민이 남긴 뼈아픈 울림 과거를 통해 현재를, ‘알쓸신잡2’가 보여준 역사의 묘미사실 어사 박문수의 이야기를 모르는 이들은 거의 없다. 하지만 tvN 가 천안에서 펼친 수다 속에 등장하는 박문수의 이야기는 어쩐지 새롭고 흥미진진하다. 그것은 단지 수업을 통해 배우는 역사가 아닌 수다로 들려주는 역사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같은 역사 이야기에서도 현재적인 입장에서 새로운 시각이 덧붙여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사라는 직종이 왜 존재하는가에 대해 ‘감시’라는 관점에서 장동선 박사가 질문을 하자 유시민이 ‘보고하는 자’가 ‘보고받는 자’를 콘트롤하면 시스템이 붕괴된다는 사례를 소비에트를 예로 들어 이야기하고, 유현준 교수가 ‘권력’의 기제가 ‘나를 숨기고 다른 사람을 훔쳐볼 수 있는 사람이 권력을 가진다’는 것에서 나온다는 이야기와 마.. 더보기
'알쓸2' 유시민이 목포에서 굳이 진도까지 건너간 깊은 뜻 ‘알쓸신잡2’, 슬픈 역사는 어떻게 기억되는가tvN 에서 목포에 간 유시민은 평소와는 다른 모습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기념관을 찾았던 장동선 박사가 그의 특별했던 일생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자 유시민은 남다른 감회에 젖었다. 4번의 대선 도전에 담겼던 결코 쉽지 않았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과, 이상적인 지향을 가지되 현실적인 실천을 하려 했던 그에게 팬과 안티가 공존했던 그 안타까움을 이야기했다. 유시민은 김대중 전 대통령을 “너무 빨리 온 분”이라 우리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목포만 오면 슬프고” 또 “정서적으로 흔들린다”고 말한 이유였다.목포 구시가지를 찾았던 유희열과 유현준 교수는 거기 지금도 존재하는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건물 등에 남겨진 아픈 역사를.. 더보기
'어서와', 연예인 여행이 지겨운 시청자들 꽉 잡았다 이런 게 진짜 여행,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 쏟아진 찬사MBC 에브리원 의 시청률 상승곡선은 실로 놀랍다. 시청률 1%대에서 시작한 프로그램은 다니엘 린데만의 독일친구들이 출연하면서 2.4%(닐슨 코리아)로 훌쩍 뛰어올랐다. JTBC 에서 심지어 ‘노잼’이라는 별칭까지 얻을 정도로 재미보다는 진지함이 돋보였던 다니엘 린데만에 대한 호감이 일단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끌었다. 하지만 그건 시작에 불과했다. 독일친구들의 한국여행기가 하나하나 공개되면서 시청률은 간단히 3%를 넘겼고 14일 방영된 프로그램은 전국 시청률 3.5%를 기록했다. 수도권 시청률은 무려 4.5%에 달했다. 케이블 채널, 그것도 그간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던 MBC 에브리원으로서는 최근 거둔 최고의 성과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 더보기
'왕사', 나무랄 데 없는 임시완의 연기가 아깝다 ‘왕사’의 안이함이 만든 부진, 봐야할 이유가 없다사극은 과거가 아닌 현재를 담는다. 즉 과거 역사를 소재로 끌어오지만 그것을 굳이 지금 선택한 것에 대한 현재적 이유가 분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MBC 월화드라마 가 지금 이 시점에 고려 충선왕의 이야기가 왜 필요했을까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고려왕실 최초의 혼혈왕인 충선왕. 그의 사랑은 지금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훗날 충선왕이 되는 왕원(임시완)은 충렬왕(정보석)의 아들이지만 원나라 황제의 딸인 원성공주(장영남) 사이에 난 아들이라는 점에서 그 비극적인 태생의 위치를 가늠하게 한다. 물론 지금이야 국적이나 혼혈이 무슨 큰 문제일까 싶지만 당대는 고려시대가 아닌가. 그것도 억지로 부마국이 되어 맞은 아내를 통해 낳은 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