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준상

'풍문' 어른 아이 고아성, 그 섬뜩한 애잔함의 정체 고아성, 정성주 작가의 깊이가 보인다 어떻게 이런 기막힌 캐릭터가 탄생했을까. SBS 의 서봄(고아성)은 놀라운 캐릭터다. 한인상(이준)의 아이를 가져 그의 아버지 한정호(유준상)라는 상류층 괴물의 집에 포획된 존재처럼 보였지만 그건 빙산의 일각일 뿐이었다. 그녀는 조금씩 이 세상에 적응했고 괴물들과 더불어 살아가며 그들의 방식으로 어떻게 세상을 주무르는지를 터득해간다. 언니 서누리(공승연)가 상류층 자제를 잡아 그 세계에 입성하려 했다가 그 소문이 찌라시에 퍼지고 망신만 당하게 되자 서봄은 놀라운 대처 능력을 보여준다. 서누리를 만나 따끔하게 현실을 인식시켜주고 최연희(유호정)의 개인비서인 이선숙(서정연)을 시켜 한정호의 업무 비서인 양재화(길해연)에게 그 물의를 빚게 만든 상류층 자제의 집안이 어떤 .. 더보기
'풍문' 유준상, 상류층 괴물연기 어떻게 가능했나 , 유준상의 과장연기가 만들어낸 효과 SBS 에서 한정호 역을 맡은 유준상의 연기는 튄다. 고아성이나 이준의 연기나, 한정호의 아내 역할의 유호정 그리고 이 집안 곳곳에서 수군대는 비서나 유모 같은 조역들이 실제 그 인물들처럼 자연스러운 연기 속에 녹아 있는 것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그의 연기는 과장된 것처럼 보이고 목소리 톤도 일상적이라기보다는 연극적이다. 마치 그는 연기를 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어쩌면 유준상이라는 연기자가 가진 특징이자 개성일 것이다. 그는 과거 드라마에서도 지상에서 1센티 정도는 들어 올려진 연기를 선보였다. 의 방귀남이라는 인물을 떠올려보라. 어딘지 짠한 느낌이 들면서도 코미디 톤이 느껴지는 인물이 아닌가. 그의 연기는 완전한 몰입이라기보다는 보는 이들이 저 사람은 연기를 .. 더보기
어두운 '풍문', 과잉 노출의 막장과는 다르다 , 드라마에 조명이 왜 필요한가를 묻다 조명이 너무 어두워 답답하다? SBS 수목드라마 의 화면이 너무 어둡다는 시청자 의견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드라마의 전체적인 조도는 여타의 드라마들과 비교해볼 때 확실히 낮다. 무언가 명확하게 보고자 하는 시청자들에게는 이처럼 조도를 낮춰 피사체를 불명확하게 만들어내는 조명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조명을 단지 ‘어둡다’라고만 치부하기에는 거기에 담겨진 많은 미학적 의미들이 상쇄되는 느낌이다. 그것은 제작진이 밝힌 것처럼 어둡다기보다는 실제 우리의 일상에서 느껴지는 조명에 가깝다고 표현하는 게 맞을 것이다. 적당히 밝고 적당히 어두운 게 우리가 실제로 현실에서 느끼는 밤의 풍경이다. 즉 의 조명은 리얼리티를 추구할 뿐, 그저 어둡.. 더보기
'풍문', 당신은 어떤 세계의 삶을 진정 원하는가 흥미로운 '풍문'의 화학실험, 신데렐라 아닌 갇힌 소녀 “요즘 같은 시대에 귀족이 어디 있습니까.” 한정호(유준상)은 그렇게 말하면서 ‘시민사회’의 자유와 평등을 운운한다. 하지만 그렇게 평등한 시민사회의 한 일원인 척 하는 한정호의 실상은 뼛속까지 귀족인 양 특권의식으로 가득 차 있다. 실제로 그는 엄청난 대기업들의 대리를 해주는 로펌의 대표로서 권력을 행사한다. 비상한 머리로 타인의 치부를 들춰서라도 얻을 건 얻어내는 그런 인물이다. SBS 월화드라마 는 그 대부분의 공간적 배경이 바로 이 한정호의 집이다. 벌써 7회를 넘기고 있지만 이 집의 구조는 시청자들의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 않는다. 그 집을 무작정 쳐들어온 서봄(고아성)의 엄마 김진애(윤복인)가 ‘너무 커서’ 어지럼증을 느낄 정도다. 공간과 .. 더보기
'풍문', 이거 왜 사극 보는 느낌이 들지? , 상류사회의 전근대성, 그 시대착오의 쓴 웃음 이건 왜 사극을 보는 느낌일까. SBS 는 알다시피 지금 현재가 시대적 배경이다. 그런데 그 이야기는 어딘지 사극을 닮았다. 한인상(이준)이 사는 집은 마치 조선시대의 거대한 권문세가를 연상시킨다. 한정호(유준상)와 최연희(유호정)는 이 권문세가의 주인들이고 그들의 비서들인 양재화(길해연)나 이선숙(서정연)은 사극으로 말하면 하인들 중에서도 집안의 대소사를 꾸리는 수노(首奴)에 가깝다. 물론 이 집에는 운전기사부터 유모까지 하인들(?)이 수두룩하다. 신분제가 사라진 지 백년이 넘게 흘렀지만 어찌된 일인지 의 풍경은 여전히 전근대적인 신분제의 틀에 멈춰져 있다. 물론 그 신분제는 태생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지만 태생으로 이미 빈부가 결정되는 자본주의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