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예능 썸네일형 리스트형 '싱어게인', JTBC 음악예능의 신박한 진화 그 결정체 '싱어게인', 무명이라 하니 궁금증 폭발.. 이런 역발상이라니 세상에 출연가수들을 이름 대신 번호로 부르는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니. JTBC 은 그 시작부터가 남달랐다. 제목에 담겨 있는 것처럼 출연자들은 모두 앨범 하나씩은 냈던 가수들이다. 그러니 이름 대신 번호를 부르는 건 그 가수의 '스펙'을 지우고 오로지 실력으로서 판단하겠다는 프로그램의 각오처럼 보였다. 하지만 보면 볼수록 그 '무명'에 담긴 더 중요한 기획의도가 있었다는 데 고개가 끄덕여진다. 먼저 '무명가수'라는 그 위치는 시청자들의 정서를 자극하는 부분이다. 사실 아예 데뷔조차 하지 않은 아마추어들보다 어떤 의미에서는 데뷔는 했으나 사람들이 몰라보는 무명가수들이 처한 상황에 더 절박함 같은 게 느껴진다. 물론 출연자들 중에는 이미셸이나 자전.. 더보기 과정이 즐거운 '놀면 뭐하니' 유플래쉬, 음악예능의 새로운 진화 ‘놀면 뭐하니?’ 점입가경 유플래쉬, 랩 릴레이에 폴킴·헤이즈 듀엣까지 이 정도면 음악 예능의 새로운 진화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 MBC 예능 의 음악 릴레이 프로젝트인 ‘유플래쉬’는 한마디로 점입가경이다. 유재석이 두드려놓은 비트 하나가 이토록 흥미진진한 ‘음악 여행’을 가능하게 해줄 줄이야. 유희열에게 건네진 비트는 윤상-이상순-적재를 거쳐 그레이로 넘어가더니 이제 다이내믹 듀오와 리듬파워를 만나 갑자기 랩 릴레이로 이어졌다. 또 이적에게 간 비트는 선우정아의 코러스가 얹어지고 멜로망스 정동환과 베이시스트 전설 이태윤을 거쳐 폴킴과 헤이즈가 부르는 로맨스 가득한 듀엣곡으로 변신해갔다. 애초 유재석이 체리필터 손스타를 만나 드럼을 두드릴 때만 해도 일이 이렇게 벌어질 줄 누가 알았을까. 하지만 음악 릴.. 더보기 '슈퍼밴드' 이은 '비긴어게인3', JTBC 음악예능의 존재가치 경쟁 아닌 귀호강 힐링, 음악프로그램의 새 경향 눈도 귀도 호강이다. JTBC 예능 를 찾아보는 시청자라면 늘 느끼는 기분이 아닐까. 이탈리아로 간 는 일단 그 고풍스런 풍광에 마음을 빼앗긴다. 이탈리아 남부의 휴양도시 소렌토. 지중해의 푸른 바다를 낀 그 정겨운 도시에서 벌어지는 버스킹의 향연. 눈이 즐겁고 귀는 한없이 편안해지는 그런 시간이 아닐 수 없다. 너무 심하게 부는 바람 때문에 악보가 날아가는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버스킹을 하는 출연자들. 결국 노래를 중단하는 사태까지 벌어졌지만 버스킹의 묘미는 현장에서의 관객들과 만들어지는 소통에 있다고 했던가. 관객들이 더 호응해주며 오히려 분위기를 돋워주는 바람에 버스킹은 더 흥겨워졌다. 비가 내린 후라 바닷가 마을 어느 카페에서의 버스킹에서는 즉석.. 더보기 '더 팬', 카더가든 우승이 말해주는 음악예능의 새로운 길 ‘더 팬’이 음악예능에 담은 취향, 팬, 발굴SBS 음악예능 프로그램 이 카더가든의 우승으로 종영했다. 아무래도 경연이었기 때문에 누가 우승했는가는 중요할 수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이 무대에 올라 팬들을 갖게 된 모든 가수들이 사실상 승자라고 볼 수 있었다. 경연이라고 해도 실력을 겨루는 무대가 아니라, 취향과 취향이 맞붙는 대결이어서다. 우승했다고 해서 누가 우위에 있는 걸 의미하는 게 아니고 그저 팬분들이 더 많은 성원을 해줬다는 의미니 말이다. 사실 카더가든은 이미 인디 쪽에서는 유명 인사나 다름없었다. 인디 밴드의 공연에는 항상 빠지지 않던 카더가든이었고, 그 남다른 음색으로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그만의 매력을 가진 아티스트로 정평이 나 있었다. 다만 카더가든이 원한 건 자신을 .. 더보기 '건반 위 하이에나', 제작과정을 보니 음악이 달리 들리네 ‘건반 위의 하이에나’, 음악 이젠 만드는 과정이 궁금하다싱어 송 라이터들은 어떤 방식으로 음악을 만들어낼까. 어쩌면 KBS 추석 파일럿 프로그램 는 이런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지 않았을까. 그런데 이 질문이 가진 효용가치는 생각보다 크다. 그건 제작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그런 과정을 거쳐 나온 음악에 대한 느낌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늘 결과물로만 접했던 음악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이다. 그런데 제작과정이 싱어 송 라이터들마다 다 다르다. 특히 양분되는 건 이른바 20세기 소년들이었던 윤종신과 정재형의 제작방식과 21세기 소년들인 그레이와 후이의 제작방식이다. 윤종신과 정재형은 물론 디지털 피아노를 활용하긴 하지만 그래도 창작에 있어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반면, 그레이와 후이는 신디사이저..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