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1988
-
'응팔' 이동휘, 늘 웃고 있는데 왜 짠해질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2. 27. 08:09
이동휘, 어른처럼 행동해도 아이 같은 외로움 또래집단에는 늘 동룡(이동휘)이 같은 친구가 있다. 친구들 사이에서 나서기 좋아하고 늘 웃음을 주는 친구. 공부는 좀 못해도 잡기에 능한 친구. 수학 정석보다는 건강 다이제스트를 챙겨보고 그래서인지 인생의 정답은 잘 몰라도 친구들이 물어보는 인생 상담의 해답은 그럴 듯하게 던질 수 있는 친구. 어디나 또래집단에는 동룡이 같은 친구가 있다. 에서 동룡이는 ‘쌍문동 박남정’이다. 춤을 기가 막히게 따라 추는 그는 친구들 사이에 인기가 많다. 항상 밝은 얼굴로 친구들에게 즐거움을 주지만 그 즐거움을 주기 위해서인지 진짜 속내는 잘 드러내지 않는다. 마치 무대에 오르는 개그맨들처럼 타인에게 웃음을 주지만 정작 자신은 외로워진다. 항상 웃음을 주는 친구로 되어 있기 때..
-
'응팔', 예능 드라마 비웃던 그들 이젠 못 그럴 걸?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2. 24. 10:08
이 만든 만만찮은 파장, 향후 드라마 판도는? 예능 드라마? 한 때 이 이상한 조어의 드라마는 드라마판에서 잔뼈가 굵은 이들에게는 비하의 대상이었다. 드라마는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것. 어찌 보면 너무 가볍게도 느껴지고 어찌 보면 만화 같기도 한 이 근본 없는(?) 드라마에 ‘예능 드라마’라는 어설픈 이름을 붙인 것에도 아마도 그 비하의 의미는 어느 정도 들어있었다고 여겨진다. 시리즈 이야기다. 처음 을 신원호 PD가 만든다고 했을 때 필자 역시 그건 드라마가 아니라 시트콤일 것이라 섣불리 예단했던 적이 있다. 예능 PD가 드라마를 한다는 걸 어떻게 쉽게 믿을 수 있겠는가. 과거 를 했던 경력을 떠올리며 역시 시트콤일 것이라 생각했었다. 물론 이런 섣부른 예단은 첫 회가 방영된 후 여지없이 깨져버렸다. 그..
-
'히밀라야'의 선전, 대중들은 왜 울고 싶었을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12. 24. 10:05
가 주는 결코 작지 않은 위로와 위안 “기다려... 우리가 꼭 데리러 갈게...” 영화 의 포스터에는 꽁꽁 얼어붙은 황정민의 얼굴이 클로즈업된 사진에 이런 문구가 쓰여 있다. 황정민은 그 포스터에서 금방이라도 눈물을 떨굴 것만 같은 얼굴이다. 그런데 그 얼굴은 슬픔이라기보다는 반가움이 서려있다. ‘우리가 꼭 데리러 간다’는 문구와 이 슬픔과 반가움이 교차하는 황정민의 얼굴은 명쾌하게 가 어떤 이야기를 할 것인가를 드러내준다. 거기에는 눈물이 있고 감동이 있다. 그리고 함께 한다는 것에 대한 깊은 공감까지. 가 같은 대작보다 더 많은 관객을 끌어 모은 건 당연한 일이다. 는 본래부터 우리네 대중들에게는 그다지 킬러 콘텐츠였던 적이 별로 없었다. 이렇게 된 건 여러 에피소드가 쏟아져 나왔지만 그것이 일련의 ..
-
균블리 김성균, 도대체 이런 연기 어떻게 가능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2. 22. 10:02
20대, 40대, 세대를 뛰어넘은 김성균 도대체 이런 연기가 어떻게 가능할까. tvN 에서 김성균은 44년생으로 45세 아버지 역할을 연기한다. 현재 나이로 치면 72세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김성균은 실제로는 80년생으로 만 35세다. 무려 10살이 더 많은 역할을 연기하고 있는 것. 더 놀라운 건 에서 그는 75년생 스무 살의 김성균을 연기했다는 점이다. 20대부터 40대까지 세대를 훌쩍 뛰어넘는 연기라니. 도대체 이런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그의 자연스런 연기는 어떻게 가능한 걸까. 시도야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그것을 이물감 없이 소화해낸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에서 라미란의 남편이자 정봉(안재홍)과 정환(류준열)의 아버지 역할로서 김성균의 연기는 부족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