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마다가스카르, 주말 예능의 면모

 

<정글의 법칙>, 도대체 어디까지 진화할까. 마다가스카르로 떠난 <정글의 법칙>은 주말예능에서 대중들이 무엇을 기대하는가를 정확히 보여주었다. 거기에는 신기한 식물들과 무수히 많은 독보적인 동물들이 가득한 마다가스카르라는 공간이 주는 압도적인 스펙터클이 있었고, 어느 한 명 빠지는 것 없이 꽉 찬 느낌의 일곱 명의 개성 강한 캐릭터들이 있었으며, 사막과 정글이 주는 팽팽한 긴장감과, 자연과의 공존이 주는 즐거움이 재미와 의미를 모두 만족시켜주었다.

 

'정글의 법칙'(사진출처:SBS)

그간 <정글의 법칙>은 참신한 시도는 좋았지만 주말 예능으로서 조금은 거친 느낌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툰드라편은 특히 그랬다. 아무 것도 없는 불모의 땅에 던져진 병만족들은 물론 고생을 감수하려는 마음을 갖고 있었지만 방송분량 자체가 나오지 않는 환경 때문에 난관에 봉착한 적이 있다. 주말예능으로서 즐거움을 선사해야 하지만 툰드라의 살풍경 속에서 힘겨워하는 연기자들만큼 그걸 바라보는 시청자도 불편함이 느껴지곤 했다.

 

그렇게 거친 영상들을 보았기 때문일까. 툰드라와 비교해 마다가스카르는 마치 천국 같은 느낌을 주었다. 수많은 희귀한 동식물들이 살아 숨 쉰다는 것만으로도 보는 이에게 활력을 주는 그런 생생함. 무엇보다 아이들과 어른이 함께 보며 웃고, 또한 나아가 생태 교육적인 효과까지 주는 그 긍정적인 인상은 주말 예능으로서 <정글의 법칙>이 제대로 된 진화를 했다는 증거로 보인다. 모두에 자막으로 걸린 것처럼, ‘도전’이 아닌 ‘보전’으로 가는 <정글의 법칙>에서는 한층 여유가 느껴진다.

 

일곱 명 최다 멤버가 투입된 것도 주목할 만하지만, 그들이 모두 저마다의 독특한 개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마다가스카르에 간 <정글의 법칙>을 더욱 기대하게 만든다. 김병만을 위시해 류담과 노우진이 모두 합류함으로써 완성된 달인팀이 주는 기대감이 그렇고, 김병만을 보좌하는(?) 정글2인자로서의 리키김은 물론이고 새로 투입된 전혜빈, 박정철, 진운이 만들어내는 신선함도 좋다. 특히 진지함을 유지하며 여전사의 카리스마를 보여주는 전혜빈, 어딘지 허당의 느낌으로 웃음을 줄 것 같은 박정철, 또 기타 하나 둘러매고 서글서글한 웃음을 날리는 진운은 모두 단 한 회만에 그들만의 캐릭터를 드러냈다.

 

여기에 기대감을 더하는 것은 다름 아닌 <정글의 법칙> 제작진을 대표하는 이지원 PD가 좀 더 프로그램 속으로 들어와 있다는 점이다. 첫 날 분량에서 병만족들은 자신들만 덜컹거리는 트럭 뒷칸에 탈 수 없다며 이지원 PD를 강제로 태우는 장면이 방영되기도 했다. 미션을 제시하고 룰을 세우는 제작진들이 프로그램 속으로 함께 들어온다는 사실은 그들과 병만족 사이의 밀당이 좀 더 전면에 등장할 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그 밀당 자체가 흥미롭기도 하지만, 제작진과 연기자들 사이의 동료애가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은 주말예능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사실 현재 주말예능은 새로운 것에 도전하기보다는 익숙한 것들을 반복하는 경향이 짙다. <남자의 자격2>는 다시 합창단 미션을 시작했고, <승부의 신>은 <무한도전>의 하하와 홍철의 대결을 스핀오프했다. <나는 가수다2>는 시즌제로 돌아와 반복되는 같은 가수들의 무대들 때문에 주목되지 않은 지 오래다. ‘새가수 결정전’이 오히려 본 대결보다 더 흥미롭게 여겨지는 건 ‘새로움’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1박2일2> 역시 새로운 멤버들이 이제 적응하고 있는 게 분명하지만 그 형식이 너무 오래 반복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주말예능들과 비교해 볼 때, <정글의 법칙>은 확실히 저 스스로 진화를 멈추지 않는 새로운 도전으로 여겨진다. 그 누구도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을 걸어가는 그 독보적인 행보. 그러면서도 주말예능이라는 본분에 충실한 <정글의 법칙>의 자세는 그래서 다른 주말 예능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여겨진다. 주말예능이라면 <정글의 법칙>처럼.


'런닝맨'의 게임 예능 한계 극복기

'런닝맨'(사진출처:SBS)

'런닝맨'에서 '스파이 콘셉트'는 게임의 차원을 한 단계 높여준 대단히 중요한 요소다. 그 전까지 '런닝맨'은 어떤 미션을 두고 개인전 혹은 팀 대결을 벌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스파이 콘셉트'가 들어가면서 미션은 이중구조를 갖게 됐다. 겉으로 주어진 미션이 있지만, 그 안에 스파이가 들어가 있는 또 다른 미션이 숨겨져 있는 방식이다.

유재석이 스파이가 되어 다른 런닝맨들의 이름표에 물총을 쏘았던 미션은 그래서 '런닝맨' 게임이 새로운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는 물꼬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런닝맨들은 미션을 주는 제작진은 물론이고 동료 런닝맨들을 신뢰하지 않게 되었다. 두뇌싸움이 치열해졌고 그만큼 게임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스토리가 가능해졌다.

그런데 이다해가 게스트로 출연한 '런닝맨'은 이 스파이 콘셉트의 게임 방식을 한 번 더 뒤집었다. 통상 한 명 혹은 두 명에게 주던 스파이 카드를 이다해를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줌으로써 서로가 서로를 견제하게 만들었고, 이 모든 사실을 알고 있는 이다해는 바로 그 점을 역이용해 '스파이 런닝맨들'을 하나하나 제거해나간다. 여기에는 이다해의 전작인 '미스 리플리'의 캐릭터가 활용되었다. 즉 목적을 위해 특유의 미모와 거짓말로 타인을 이용하는 캐릭터다.

이다해가 출연했던 '스파이 런닝맨' 게임을 우리가 즐기기 위해서는 꽤 많은 정보들을 알고 있어야 가능하다. 런닝맨의 게임 방식(즉 이름표를 뜯거나 어떤 지령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는 식)은 기본이고 새롭게 만들어진 스파이 콘셉트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 게스트의 정보나 이미지 콘셉트를 미리 꿰고 있다면 게임은 더 흥미진진해진다. 물론 '런닝맨' 특유의 공간에 대한 지식도 즐거움을 부가해주는 요소 중 하나다.

하지만 이런 사전 정보들을 하나도 모르는 상태에서 이다해가 출연한 '스파이 런닝맨'을 봤다면 어땠을까. 그다지 큰 감흥을 얻기 어려웠을 것이다. 바로 이 점은 '런닝맨'이라는 게임 예능이 지금껏 달려온 길이 얼마나 어려우면서도 대단한 것인가를 일깨워주는 대목이다. 우리는 어느새 초기 '런닝맨'의 그 단순했던 게임 형식에서 한참 멀리 달려온 지금의 진화된 '런닝맨'을 그다지 큰 어려움 없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 아주 조금씩 '런닝맨'은 우리에게 자신들의 세계가 가야할 길들의 법칙들을 일러주고 있었던 셈이다.

사실 유람선에서 벌어진 셜록 홈즈 콘셉트의 '런닝맨'은 예능적으로 보면 대단한 성과가 아닐 수 없다. 런닝맨들이 한 명씩 아웃되는 의문의 사건들이 연쇄적으로 벌어지고 그러다 결국 숨겨진 루팡 캐릭터가 등장하는 반전은 게임 형식에 미스테리와 스릴러 액션까지 덧붙인 놀라운 결과물로 탄생했다. 즉 '런닝맨'은 이제 다양한 외부 콘텐츠들(혹은 캐릭터)이 갖고 있는 스토리들을 게임 형식으로 풀어낼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최민수를 출연시켜 '런닝맨 헌트'를 하고, 이다해를 출연시켜 미스 리플리 캐릭터를 부여하는 게 가능해졌다.

이즈음에서 '런닝맨' 이전의 예능에서 우리가 봐왔던 게임들을 생각해보자. 그것은 거의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게임들이었다. 특정 공간에서 가위바위보를 하거나, 쿵쿵따를 하거나 닭싸움을 하거나 레이싱을 하는 식의 그런 게임들. 이것은 지금도 대부분의 리얼 예능들이 하고 있는 게임들이다. 하지만 '런닝맨'이 보여주고 있는 게임들은 이보다는 몇 단계 앞에 서 있는 것들이다.

게임이라는 것이 너무 어려워도 시청자가 적응할 수 없고 또 너무 쉬워도 시시해질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이 균형과 적절한 진화 속도를 유지해온 '런닝맨'의 끈기와 근성에 놀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조효진 PD는 그래서 여전히 "하고 싶은 아이디어가 넘쳐나지만 그 속도 조절을 하는 것이 너무 힘들다"고 말한다. 초기에 비하면 엄청나게 복잡해진 현재의 '런닝맨'을 아무런 이물감 없이 오히려 더 흥미진진하게 즐길 수 있게 된 건, 바로 이런 제작진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런닝맨'의 성공적인 진화는 곱씹으면 곱씹을수록 놀랍기만 하다.


'혹성탈출', 원숭이의 시점으로 바라보니

'혹성탈출'

원숭이들이 지배하는 세상? 1968년에 나왔던 '혹성탈출'을 TV로 보며 자란 세대라면 '혹성탈출'이라는 제목에서 먼저 이런 생각이 떠올랐을 지도 모른다. 무너진 자유의 여신상으로 집약되는 그 옛 영화에서 우리는 원숭이들에 의해 우리에 가두어진 인간들을 충격적으로 바라봤었으니까. 하지만 2011년 '진화의 시작'이라는 부제를 달고 돌아온 '혹성탈출'은 '진화'라는 그 키워드에 더 집중한다. 누가 누구를 지배하는가의 얘기가 아니라 진화는 어떻게 일어나고 그 결과는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가를 이 영화는 영화적 상상력으로 흥미롭게 풀어낸다.

애초부터 시저라는 챔팬지가 자신이 떼어낸 목줄을 인간의 목에 걸 의도는 없어 보인다. 결국 갇혀있던 우리를 빠져나와 세상을 일대 혼돈으로 몰아넣는 그 장면들 속에서도 그는 인간을 죽이려는 다른 유인원들에게 "안돼!"하고 소리친다. 즉 시저와 유인원들의 반란(?)은 복수를 위한 것이 아니다. 다만 인간들의 욕망에 의해 우리에 갇힌 시저와 유인원들은 자신들의 집(정글,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것뿐이다.

흥미롭게도 원숭이가 인간을 압도하며 이 지구라는 생태계에 새로운 최강자로 서게 되는 것은 바로 저 진화에 의한 자연선택의 결과다. 인간은 과학의 이름으로 생태계를 교란시켰고, 그래서 환경이 바뀌었으며, 다만 그 바뀐 환경에서 인간보다 원숭이들이 더 잘 적응해낸 것뿐이다. 즉 인간의 추락은 인간 스스로 판도라 상자를 열어버림으로 해서 생겨난 진화의 결과라는 얘기다.

'인간보다 나은 원숭이와 원숭이보다 못한 인간'이라는 풍자는 어딘지 고전적(?)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힘을 발휘한다. 영화가 시작하면서 원숭이 사냥을 벌이는 인간을 먼저 보여주고 그렇게 잡힌 원숭이의 눈 속으로 카메라가 들어가는 장면은 의미심장하다. 이것은 인간의 시점이 아니라 원숭이의 시점으로 이 영화가 흘러간다는 복선이다. 그래서 한참 영화를 보다보면 인간이 아닌 원숭이의 편에 서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런데 그것이 이 영화를 즐기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인간은 똑똑한 원숭이들을 싫어해.' 우리에 갇힌 시저에게 누군가 건네는 이 말은 우리가 원숭이 같은 유인원을 바라보는 양가적 감정을 잘 드러낸다. 우리는 우리와 비슷한 유인원을 보며 친근감을 느끼는 동시에 두려움을 느낀다. 그들이 지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우면서도 그들이 어쩌면 우리와 같은 뿌리라는 것에 불쾌감을 느낀다. '혹성탈출'은 이 친근하면서 놀랍지만 섬뜩하고 두려운 유인원이라는 존재에서 시작해 차츰 그 내면으로 들어간다. 두려움 때문에 자연을 수정하고 인공적으로 만들려는 인간의 욕망은 원숭이들의 눈으로 바라보면 잔인하기 이를 데 없는 폭력이다.

그래서 시저의 눈으로 그 폭력적인 인간을 바라보다가 결국 우리를 빠져나와 유리창을 깨고 자동차를 막아 세우며 도시를 질주하는 유인원들의 광경은 놀랄만한 스펙터클의 쾌감을 안겨준다. 만일 이것이 테러리스트들과 대결을 벌이는 형사물이라면 이러한 파괴는 불쾌감을 주었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유인원들이 인공을 마구 헤치고 달리는 장면은 묘한 카타르시스를 우리에게 안긴다.

결국 2011년에 다시 돌아온 '혹성탈출'의 힘은 바로 이 시점의 이동에서 생겨난다. 우리는 시저라는, 지능이 인간보다 뛰어난 침팬지의 가면을 쓰고 도시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자 도시가 가진 그 답답함과 저들의 욕망을 토대로 축조된 세상의 부조리함이 보이게 된다. 병을 정복한다는 명분으로 유전자를 마구 조작하고, 인공적인 도시의 안락함 속에 자연조차 우리에 가둬 전시하는 인간의 욕망이 다시 보이기 시작한다. 1968년에 만들어진 '혹성탈출'의 그 '혹성'이 지구를 제 3자화해 그곳을 '탈출하고픈 어떤 곳'으로 그려낸 것처럼, 2011년 '혹성탈출' 역시 마찬가지다. 거기에는 시저의 눈으로 바라본 탈출하고픈 도시가 지구로 그려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