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자
-
'골든타임', 왜 '추적자'가 떠오를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7. 25. 08:01
의 병원, 우리 사회의 축소판 전쟁터에 가까운 응급실이다. 대형사고라도 터지만 병상이 없어 복도까지 메운 환자들이 저마다 살려 달라 고통을 호소하고, 의사들은 마치 전장을 누비듯 온 몸에 피칠갑을 한 채 응급실을 뛰어다닌다. 1분 1초에 환자의 생명이 왔다 갔다 하는 그 혼돈. 그 속을 단 한 명의 환자라도 더 살리겠다고 뛰어다니는 의사들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이들도 있다. 은 우리가 숱하게 봐왔던 같은 다큐 속의 응급실을 소재로 하지만, 그것이 다루는 것은 이 훈훈한 다큐와는 사뭇 다르다. 히포크라테스가 되살아난 듯한 이제는 고전적으로까지(?) 보이는 진짜 의사 최인혁(이성민)은 외과의이면서도 응급실에서 외상환자들을 수술한다. 외상환자들을 외면하는 의료현실 속에서 최인혁은 이질분자다. 그래서 일신..
-
<추적자>, 괴물들이 사는 나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7. 18. 08:32
인간과 괴물의 대결, “내 옆에는 사람들이 있어 물론 네 옆에도 사람들이 있겠지. 총리 자리면 신념도 버리는 대법관도 있고 돈이면 뭐든지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 내 옆에 있는 사람들은 다르다. 법을 지키기 위해서 가족의 손에 수갑을 채우는 검사, 진실을 알리기 위해서 형부와 맞서는 기자, 사고를 당하고 자기 목숨이 위험한데도 나를 걱정해주는 형사. 강동윤. 이게 사람이다. 이게. 내가 아는 사람이다.” 딸이 죽고 아내가 죽고 탈옥을 하고 경찰에 쫓기며 밀항을 하려는 사람, 백홍석(손현주)은 강동윤(김상중)에게 “넌 참 불쌍한 놈”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백홍석이 사는 세상과 강동윤이 사는 세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 보여주는 두 개의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다. 사람이 사는 나라와 괴물들이 사는 나라. ..
-
<추적자>와 <유령>, 시청자가 달라졌어요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7. 12. 10:26
장르가 아닌 완성도, 시청자들의 달라진 눈높이 드라마 시청자들이 달라지고 있다. 와 같은 장르 드라마들의 선전이 그것을 에둘러 말해준다. 물론 시청률은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드라마 시청률이 낮아졌다는 점과 그것을 감안했을 때 시청률이 괜찮은 편이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화제성 면에서 단연 압도하고 있다는 점은 과거와 달라진 시청자들의 성향을 예감하게 한다. 가 시청률 18%에 육박하고 있는 건 물론 이 드라마가 가진 강력한 극성 덕분이다. 현실을 그대로 보는 것만 같은 리얼리티에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 쏟아져 나오는 명대사들, 잘 구축된 캐릭터를 제 옷처럼 입고 연기하는 연기자들, 게다가 숨 쉴 틈 없이 속도감 있게 잘 짜여진 연출까지 뭐하나 빼놓을 것 없는 완성도가 바로 그 높은..
-
<추적자> 명대사, 그 통감의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7. 11. 16:31
, 그들의 대사에 담긴 인간관 를 보다 보면 고통스럽지만 고개 끄덕이지 않을 수 없는 공감을 접하게 된다. 이 시대 서민들의 아버지를 대변하는 백홍석(손현주)에 대한 깊은 연민과 동정을 갖게 되면서도, 그를 핍박하는 욕망과 권력의 화신들인 서회장(박근형)과 강동윤(김상중)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백홍석보다 훨씬 더 많은 서회장과 강동윤이 쏟아 낸 명대사로도 나타난다. 이 명대사들 속의 그 무엇이 우리를 통감하게 했을까. “동윤아, 내가 민성이 만할 때, 명절 때마다 동네에서 소싸움을 했다 아이가. 거기서 내리 몇 년을 이긴 황소가 있었다. 글마 그게 어째 죽었는지 아나? 껄껄껄 모기한티 물리 죽었다. 지보다 두 배나 더 큰 놈들을 넙죽넙죽 넘기던 놈이 지 눈에 보이지도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