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
'조선마술사', 비록 영화 또한 환술이라고 해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6. 1. 3. 10:04
, 영화라는 판타지가 줄 수 있는 것 라는 제목은 기묘하다. 조선이라는 실제 역사의 무게감에 ‘마술사’라는 어딘지 판타지적인 소재가 덧붙여져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미 조선시대로 돌아간 장르물이라는 형태로 을 필두로 해 나아가 이나 같은 영화들이 시도해온 역사 장르물(?)들이다. 어찌 보면 할리우드의 장르 영화들을 조선이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버무려 새로운 퓨전을 추구한 작품군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는 현실적인 이야기는 아니다. 조선시대에 환술(마술)을 하는 환희(유승호)라는 인물이 있다는 설정도 그렇고, 그가 마술을 하는 곳이 ‘물랑루’라는 기루라는 점은 아예 대놓고 ‘물랑루즈’를 염두에 둔 것을 드러낸다. 물론 그의 마술쇼에 보조자로 아낙네가 올라와 사랑을 표현한다거나, 신체 ..
-
'그녀는 예뻤다', 대단한 성취만큼 남는 큰 아쉬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1. 12. 08:59
야심찼던 , 왜 아쉬움이 남을까 아마도 는 올해 MBC가 남긴 최고의 드라마가 아닐까. 시청률면에서도 화제성면에서도 이 드라마는 놀라운 기록들을 남겼다. 첫 방 시청률 4.8%(닐슨 코리아)로 시작했던 드라마가 매회 시청률을 경신하더니 13회에서는 자체 최고 시청률인 18%를 찍었다. 어디 그뿐인가. 콘텐츠 파워지수 3주 연속 1위(CJ E&M/닐슨 코리아), 프로그램 몰입도 1위(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런 시청률의 급상승이 가능했던 건 이 드라마의 장르가 로맨틱 코미디물이라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펙없는 청춘의 자화상을 담아내는 현실적 요소들이 들어 있었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즉 처음 이 드라마를 제목만으로 접한 시청자들은 그것이 그저 그런 로맨틱 코미디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
'육룡'과 '송곳', 불편한 시대를 말하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1. 9. 08:53
과 이 현실을 얘기하는 방식 SBS 에는 이른바 도당 3인방이 등장한다. 고려 최고의 권력 실세인 이인겸(최종원), 삼한 제일검이자 이인겸의 오랜 심복인 길태미(박혁권), 그리고 정도전과 함께 고려의 개혁을 주도하던 사대부였으나 변절한 야심가 홍인방(전노민)이 그들이다. 이들은 백성들의 고혈을 빨아 제 배를 채우는 인물들이다. 이들이 7할의 세금도 모자라 9할의 세금까지 거둬가는 바람에 백성들은 굶어죽고 맞아죽는다. 어쩔 수 없이 숨어서 황무지를 개간하지만 그 땅과 거기서 나온 곡식들은 모두 홍인방의 손아귀로 들어간다. 게다가 끝없는 왜구의 침탈로 피폐해진 삶은 더욱 극으로 내몰린다. 이른바 ‘육룡’의 등장은 바로 이런 썩어빠진 고려라는 전제에 의해 정당성을 갖게 된다. 그런데 흥미로운 건 이들 도당3인..
-
'송곳'이 묻는다, 당신은 어른인가 꼰대인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0. 26. 11:47
학교, 군대, 회사의 부당함, 꼰대냐 어른이냐 주머니 속의 송곳. 언제든 바지 바깥으로 삐져나오는 그 송곳 같은 존재. 아마도 JTBC 드라마 은 그런 의미에서 달린 제목일 것이다. 이수인(지현우)은 그런 인물이다. 촌지를 요구하는 선생님을 거부하고 대신 매를 맞는 걸 선택하는 인물이며, 대선에서 특정 인물을 강요하는 사관학교의 장성에게 군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나서는 인물이다. 그런 그에게 푸르미 마트의 정민철 부장은 직원들을 모두 해고하라는 명을 내린다. 그는 송곳 같은 존재로서 살아온 자신의 삶이 평탄치 않았다는 걸 알고 있다. 그래서 심지어는 장래희망을 ‘꼰대’라고까지 적기도 했었다. 즉 송곳 같은 선택이 늘 그를 힘겹게 했었다는 것. 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다시 송곳 같은 선택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