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
-
'1박', 이 오래된 예능을 꼬박꼬박 챙겨보는 까닭옛글들/명랑TV 2015. 8. 18. 11:08
'1박2일' 변함없는 서민 눈높이, 칭찬받아 마땅하다 사실 은 오래됐다. 8년째 하는 장수 프로그램이지만 10년을 함께한 과는 사뭇 다르다. 이야 매번 새로운 아이템들을 도전하고 있으니 10년이 됐어도 지금의 트렌드에 예민하게 대처해나간다. '배달의 무도' 같은 아이템은 10년 전이라면 낯선 시도로 여겨졌을 아이템이다. 하지만 디지털의 한 복판에 들어와 있는 지금, '엄마의 음식'을 들고 40시간의 비행을 하며 그 사랑과 정을 배달하는 아날로그적 정서는 우리의 가슴을 적실 수밖에 없다. 또 2년마다 치러지는 가요제도 그렇다. 밴드 혁오와 자이언티가 보여주듯 그 때 그 때마다 달라진 음악 트렌드를 은 선봉에서 끌어나간다. 하지만 은 다르다. 이 프로그램은 일단 여행이라는 소재로 한정되어 있다. 게다가 이 ..
-
유례없는 폭염에 대처하는 ‘1박2일’의 역발상옛글들/명랑TV 2015. 8. 11. 09:52
폭염과 혹한이 되레 즐거운 ‘1박2일’의 저력 본래부터 혹한기와 혹서기에 강했던 이다. 혹한기에는 더 추운 칼바람 앞에서 물 한 바가지만 갖고도 예능이 되었고, 혹서기에는 에어컨 없는 자동차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웃음을 주기도 했었다. 유례없는 폭염. 연일 폭염주의보가 발령되고 있는 지금, 의 선택은 그래서 오히려 열대야를 즐기는 것이었다. 새벽같이 모이던 이 대낮에 그것도 KBS 옥상에서 모인 건 폭염의 뜨거움을 그대로 전하기 위함이다. 잠깐의 오프닝만으로 땀을 뻘뻘 흘리는 차태현의 얼굴에서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충분한 무더위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런 옥상에 쳐진 텐트에 들어가게 된다면 말 그대로 지옥일 것이다. 그러니 때 아닌 ‘낮잠자리 복불복’으로 시작하는 출연자들이 목숨 걸고(?) 복불복..
-
축생된 '1박' 멤버들, 나 PD가 끌어안은 까닭옛글들/명랑TV 2015. 8. 7. 08:47
, 성패에 대한 모호함이 최대 가능성 강호동, 은지원, 이수근, 이승기. 이번 나영석 PD의 새 예능 로 과거 의 출연자들이 모였다. 과거 이들이 나영석 PD와 함께 을 통해 거둔 성과는 예능에 있어서는 레전드에 해당한다. 시청률이 무려 40%를 넘어서기도 했다. 당시 을 ‘국민예능’이라고 부른 건 결코 과찬이 아니었다. 하지만 출연자들이 재미삼아 불렀던 “오르막길 내리막길” 같은 노래자락처럼 이들은 모두 오르막길을 끝에서 내리막길을 맞이하게 됐다. 강호동은 세금 논란이 터지면서 잠정 은퇴를 선언했고 그렇게 1년을 쉬다 돌아와서는 달라진 예능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연전연패했다. 이수근은 불법도박으로 1년 반 넘게 자숙기간을 거쳐 다시 복귀했지만 대중들의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은지원과 이승기는 특..
-
바보처럼 변함없이 7년, 김종민이 <1박>과 걸어온 길옛글들/명랑TV 2015. 7. 14. 09:06
김종민, 어쩌면 이렇게 한결같을 수가 있을까 2007년 8월5일 시작된 에는 김종민이 있었다. 코요테의 춤 담당 정도로 알고 있었지만 의외의 어리바리 캐릭터로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찍었다. 기차역에서 가락국수 먹기 복불복을 하면서 최초로 낙오되는 ‘역사(?)’를 썼던 인물도 김종민이었다. 그 때부터였을 게다. 김종민은 가수보다는 예능인으로서 조금씩 존재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그 해 12월 김종민은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해 에서 일시적으로 하차했다. 그리고 2년 후인 2009년 김종민은 공익근무 소집해제와 함께 그 날 바로 출연자들에게 검거(?)되어 갖가지 복불복의 세계로 돌아왔다. 그 누구도 그를 잊지 않았고, 그 역시 을 기다렸다는 듯 변함없는 어리바리 캐릭터를 선보였다. 2010년 김C가 음악에 전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