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
-
상근이마저 캐릭터로 띄우는 연출의 힘옛글들/명랑TV 2008. 2. 20. 00:56
상근이로 보는 연출의 힘 캐릭터 전성시대, 이제는 견공 상근이 마저 떴다. ‘상근이의 일기’, ‘상근이 미니홈피’는 ‘1박2일’ 제 7의 멤버로 활약하고 있는 상근이의 인기를 말해주는 대목. 회당 40만 원의 고액(?) 출연료를 받는 상근이는 ‘아현동 마님’에 겹치기 출연을 하는 등 연예인 못지 않은 대우를 받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안티마저 없으니 캐릭터 전성시대에 이만한 캐릭터가 있을까. 흔히들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관건은 캐릭터에 있다고 한다. ‘무한도전’이 그랬던 것처럼 ‘1박2일’이 이처럼 주목받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은초딩, 허당 같은 캐릭터가 시청자들에게 어필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축된 캐릭터는 마치 드라마가 그러한 것처럼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상황과 사건들을 용이하게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
-
‘무한도전’과 ‘1박2일’ 캐릭터, 뭐가 다를까옛글들/명랑TV 2008. 1. 29. 13:09
모자란 ‘무한도전’ VS 배고픈 ‘1박2일’ 바야흐로 리얼 버라이어티쇼 전성시대. 소위 말해 캐릭터가 잡히면 프로그램은 뜬다. 이것은 진행형 스토리를 갖춘 리얼리티쇼에서 이제는 드라마나 시트콤만큼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캐릭터가 중요해졌다는 말이다. 리얼 버라이어티쇼 중 ‘캐릭터가 잡힌’ 프로그램은 그 캐릭터라이즈드 쇼(Characterized Show)의 선구자인 ‘무한도전’이 될 것이며, 후발주자로서 급속히 ‘캐릭터가 잡혀가고 있는’ 프로그램은 ‘1박2일’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 두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캐릭터들은 어떤 특징들을 갖고 있을까. 마이너리티 캐릭터들의 집합, ‘무한도전’ ‘무한도전’을 이끄는 수장인 유반장(유재석)은 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들이대는 캐릭터들을 배려하고 조절하는 캐릭터다. 올 ..
-
‘1박 2일’, 시트콤보다 재미있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08. 1. 29. 13:07
캐릭터의 리얼 야생 스토리, ‘1박2일’ 리얼 버라이어티쇼는 점점 시트콤과 닮아가고 있다. 거기에는 캐릭터가 있고 그들이 걸어왔던 수많이 이야기들이 중첩된다. 울진에 간 ‘1박2일’팀이 대게잡이를 놓고 벌이는 배드민턴 경기는(특히 MC몽과 이승기의 경기) 화천 이외수의 집에 갔던 에피소드와 중첩된다. 거기서 잠자리를 두고 벌였던 탁구경기에서 MC몽과 이승기는 ‘저질탁구’의 진면목을 보여준 경력이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배드민턴 경기는 더 흥미진진해진다. 배드민턴 경기 하나에 시트콤의 모든 요소가 있다 여기에 재미를 더해주는 것은 MC몽과 이승기가 가진 상반된 캐릭터다. MC몽이 ‘야생 몽키’의 캐릭터를 부각시키고 있다면, 이승기는 야생 속에서도 꼭 머리는 감아야 하는 샌님 캐릭터이다. 캐릭터의 부딪침은 ..
-
리얼 버라이어티쇼, 웃음만으론 부족하다옛글들/명랑TV 2008. 1. 18. 22:17
리얼리티쇼에 웃음만큼 필요한 진정성 흔히들 무정형, 무개념, 무의미로 정의하는 리얼리티쇼 전성시대. 이 정의는 재미만이 오락 프로그램의 지상과제가 된 현실을 말해주는 것 같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리얼리티쇼에서 무정형은 이해가 되지만 무개념과 무의미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그 자체의 개념과 의미를 갖기 마련이며, 그것을 상실한 재미추구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리얼 버라이어티쇼 형식의 대부분을 만들어낸 ‘무한도전’이 한 때 인기도가 주춤했던 것은 바로 재미추구에만 몰두하면서 드러난 한없는 무의미, 무개념에 조금씩 지쳐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순간, ‘댄스스포츠 특집’편은 이 무의미와 무개념을 일거에 날려버리면서 다시금 ‘무한도전’의 상승세를 만들었다. 그 이유는 이 특집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