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
‘60초’로 잘 나가던 김성주, 왜 비난 받나옛글들/명랑TV 2012. 7. 22. 09:32
비난받는 김성주, 돈 이미지가 문제 “60초 후에 공개됩니다.” MBC에서 프리선언을 한 후 그다지 방송가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김성주 아나운서를 다시 스타덤에 올려놓은 건 이 멘트를 유행어로 만든 ‘슈퍼스타K'였다. 스포츠 해설에 일가견이 있는 김성주 아나운서 특유의 밀고 당기는 진행 능력은 이 대결 형식을 가진 오디션 프로그램의 긴장감을 한껏 높여주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김성주 아나운서의 이미지는 급전직하하고 있다. 지금은 MBC 노조가 파업을 일시중지하고 업무에 공식적으로 복귀한 상태지만, 그 이전에 올림픽 방송을 위해 김성주 아나운서가 MBC에 복귀했다는 보도가 나왔기 때문이다. 옛 동료들이 파업을 하는 와중에 MBC 중계진으로 복귀했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선택이었다는 논란이 일었다. 민감한 시기에..
-
'무한도전' 안 하는 MBC, '무한도전' 하는 MBC옛글들/명랑TV 2012. 7. 20. 09:04
이 MBC에 미치는 영향 프로그램 하나가 방송사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 외로 크다. KBS의 전체 프로그램에서 가 가진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 그 영향력은 단순히 그 프로그램의 인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여기서 배출된 개그맨들은 KBS의 중요한 프로그램 속으로 들어가 부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낸다. 에 투입된 김준호가 그렇고, 시즌2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맡고 있는 이수근이 그렇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건 라는 프로그램이 가진 긍정적인 이미지다. 거기에는 젊음과 패기, 도전과 즐거움, 경쟁과 공존 게다가 다양한 세대통합의 의미까지 담겨져 있다. 를 전면에 내세우면 그 프로그램을 품고 있는 KBS의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보인다. 물론 실상은 많이 다를 수 있고 실제로 다르다. 하지만 일반 대중..
-
우리에게 <무한도전>은 어떤 의미인가옛글들/명랑TV 2012. 6. 14. 11:36
외주화 검토 후폭풍이 말해주는 것 공식적인 발표도 아니다. 아마도 회의석상에서 잠깐 나온 얘기였을 것이다. 하지만 MBC 김재철 사장이 을 외주화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대중들은 공분했다. 외주화를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 여겨졌기 때문이다. 무려 19주째 결방을 참으며 파업에 들어간 을 지지하는 대중들의 그 마음. 그 마음이 간단히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사실 의 외주화는 현실성이 거의 없다. 물론 물리적으로는 가능하다. 김태호 PD 대신 대체인력을 투입하고, 아마도 김태호 PD가 없는 에 참여하지 않을 MC들을 역시 대체인력으로 채우고 대충 도전이랍시고 흉내 내서 무늬만 으로 꾸려서 방영한다면 말이다. 하지만 그게 어디 인가. 그..
-
MBC, 케이블만큼도 볼 게 없다옛글들/명랑TV 2012. 4. 20. 08:58
예능과 시사 교양 모두 실종된 MBC 'MBC 뉴스데스크'는 한때 뉴스 프로그램의 간판 격으로 인식되기도 했었다. 특유의 권력에 굴하지 않는 따끔한 멘트와 시각들이 소외된 서민들의 가슴을 시원하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 뉴스데스크 앵커 출신들은 모두 스타로 자리매김 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건 이제 옛말이 된 것 같다. 지금의 뉴스데스크는 편성시간이 확 줄어버렸고 심지어 주말의 뉴스데스크는 단 15분이 고작이다. 대신 '세상보기 시시각각'이라는 VCR물이 뉴스의 빈자리를 때우고 있다. MBC는 'PD수첩'에서 '시사매거진 2580' 그리고 '100분 토론' 같은 인기 시사 프로그램들이 유독 많았었지만, 지금은 사라져버렸거나 본질을 잃고 마치 물 타기를 한 듯 프로그램 색깔이 흐릿해져버린 게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