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원작 비교만으론 억울한 '심야식당' 도전의 가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원작 비교만으론 억울한 '심야식당' 도전의 가치

D.H.Jung 2015. 7. 19. 09:32
728x90

<심야식당>이 보여주는 드라마의 새로운 가능성들

 

원작과 비교하면 당연히 실망한다. 그건 아마도 <심야식당>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대부분의 리메이크 작품들이 늘 맞닥뜨리는 한계점이다. 즉 리메이크라고 하면 원작이 성공했다는 의미이고, 그렇다면 거기에 대한 팬층이 이미 두텁다는 뜻이다. 변화를 주면 원작은 안 그랬는데...” 하는 반발심이 만들어지고, 원작에 충실하면 새롭지 않다고 외면 받는다. 그러니 리메이크는 잘 해봐야 본전이라는 얘기는 진짜 맞는 말이다.

 


'심야식당(사진출처:SBS)'

<심야식당>의 마스터 역할을 하고 있는 김승우가 미스 캐스팅이라는 얘기는 원작 만화의 캐릭터와 비교하면 수긍이 가는 지적이다. 김승우가 주는 이미지는, 어딘지 강한 인상이지만 그와는 상반되게 조금은 허술한 듯 인간적인 냄새를 풍기는 원작 캐릭터와는 조금 다르다. 또한 원작 만화에 있는 48년간 게이 바를 운영해온 코스즈씨 캐릭터가 리메이크에서는 김씨(정한헌) 캐릭터로 변주되고 있는 것도 원작이 주던 감흥에 푹 빠진 팬들에게는 아쉬운 대목일 것이다.

 

음식 연출이 그리 맛깔나게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나, 출연자들의 연기력 논란, 세트의 느낌이 강해 마치 연극을 보는 듯 하다는 비판 역시 원작을 비교해서 들여다보면 모두 타당한 이야기들이다. 그것은 워낙 아우라가 강한 원작일수록 리메이크가 갖게 되는 운명일 수 있다.

 

토요일 밤 1210분 편성은 이런 문제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낸다. 즉 이 편성 시간은 마치 <심야식당>의 이야기에 편승한 것처럼 보이지만(12시에 여는 식당), 이 드라마가 일반 시청층을 겨냥한다기보다는 충성도 높은 마니아층을 겨냥한다는 걸 말해준다. 비교는 더 세질 수밖에 없고 그만큼 실망감도 커질 수 있다.

 

이처럼 <심야식당>은 굉장히 어려운 난점들을 애초에 갖고 시작된 드라마다. 불만은 당연히 나올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런 불만 사항들 때문에 이 드라마가 갖는 새로운 가능성들이 묻히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그 첫 번째 안타까움은 이 드라마가 원작을 통해 가져온 에둘러 말하는 방식에 대한 가치다.

 

<심야식당>이 대단하다고 여겨지는 건 음식을 그저 보여주고 맛보는 먹방이나 쿡방과는 달리 그 음식을 매개로 한 다양한 인물들과 그들의 이야기들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직접적인 인물의 이야기를 풀어내기보다는 음식을 통해 이야기하기 때문에 훨씬 세련되고 쿨하게 여겨지고 또한 그 음식이 주는 보편적인 감흥을 매개로 자연스럽게 시청자들의 공감대도 넓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첫 회에 보여줬던 조폭 두목과 열정 페이에 시달리는 아르바이트 청춘의 이야기는 그래서 우리 시대의 청춘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끌어오면서도 그것을 직접적으로 거론하기보다는 가래떡과 김이라는 매개를 통해 전하는 세련됨을 보여준다. 물론 연기력 논란이 이런 이야기의 가치를 덮어버렸지만.

 

3회에서 등장한 국수 이야기는 <심야식당>의 매력을 제대로 담아내 보여주었다. 만두집 청년에 빠져 국수와 만두를 같이 먹게 된 열무(열무국수만 먹는 여인)가 그에게 실연을 당한 후 그간 배가 늘어난 것 같다며 국수사리를 추가해달라는 대목은 단지 배고픔의 허기만을 넘어선 실연의 허기를 담아낸다. 그 청년과 헤어진 비빔(비빔국수만 먹는 여인)이 더 맵게 해달라고 주문한 비빔국수의 그 빨간 색을 보며 마스터가 빨간 약을 닮았다고 읊조리는 장면도 그렇다. 그런 문학적인 표현들이 음식과 인물과 그 감정 상태들을 엮어 기가 막힌 드라마의 밥상을 차려낸다.

 

하지만 <심야식당>의 도전이 보여주는 진짜 가치는 30분이라는 드라마의 시간에서 나온다. 30분 드라마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보던 1시간 드라마와는 다른 이야기를 다른 형식으로 담아낼 수밖에 없다. 물론 시트콤이 30분 정도의 분량으로 방영되곤 했지만 30분짜리 시트콤과 30분짜리 드라마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것은 마치 장편소설과 다른 단편소설의 맛이다. 한없이 늘려놓기만 하던 게 지금의 드라마 관행이었다면 이처럼 압축시키는 방식은 드라마의 완전히 다른 맛을 살려준다.

 

30분 드라마는 요즘처럼 모바일 시대의 새로운 시청 패턴과도 잘 맞아떨어지는 방식이다. 모바일의 특성상 긴 콘텐츠를 오래도록 들여다보게 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30분 드라마는 그런 점에서 보면 모바일 시대의 새로운 대안처럼 다가오는 면이 있다. 10분짜리 웹드라마들이 조금씩 존재감을 드러내는 요즘, 지상파와 모바일 사이의 어떤 균형점으로서의 30분 드라마는 꽤 가치 있는 시도가 아닐 수 없다.

 

원작과의 비교는 실망만을 남긴다. 하지만 원작을 뚝 떼놓고 우리네 드라마 현실 속에서 이 드라마가 보여주는 작은 도전은 의외로 크다. 원작과의 비교가 주는 실망감이 크더라도, 또 작은 시청률이 그 실망감의 원인을 완성도로 자꾸 몰아간다고 하더라도, 이 시도가 갖는 가능성과 가치까지 폄하되기엔 안타까운 면이 많다. 물론 원작에 기댄 시도지만 그 시도는 지금의 지상파 드라마들 속에서 가치 있는 도전임이 분명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