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당신은 '송곳'이 통쾌한가요 불편한가요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당신은 '송곳'이 통쾌한가요 불편한가요

D.H.Jung 2015. 11. 4. 09:28
728x90

<송곳>에 대한 호불호가 나뉘는 지점, 그 경계

 

싸움은 경계를 확인하는 거요.” JTBC 드라마 <송곳>에서 구고신(안내상) 부진 노동상담소 소장은 불안해하는 이수인(지현우) 과장에게 그렇게 말한다. 황주임(예성)을 자르려는 허과장(조재룡)에 맞서 집단행동에 나섰지만 이수인은 이러다 모두가 징계를 먹고 황주임도 해고될까 걱정이다.

 


'송곳(사진출처:JTBC)'

그러자 구고신은 말한다. “어떤 놈은 한 대 치면 열대로 갚지만 어떤 놈은 놀라서 뒤로 빼. 찔러봐야 어떤 놈인지 알거 아뇨? 회사도 당신이 어떤 인간인지 몰랐잖아. 내가 뭘 하면 쟤들이 쪼는지. 내가 어디까지 움직일 수 있는지 싸우면서 확인하는 거요. 싸우지 않으면 경계가 어딘지도 모르고 그걸 넘을 수도 없어요.”

 

구고신의 이 대사는 <송곳>이라는 드라마가 가진 특징을 압축한다. 노동쟁의라는 실제적 상황에 들어가면 그 행위에 대한 호불호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 즉 그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 송곳같은 행위가 제대로 된 선택인지 아니면 모두가 잘못될 수 있는 선택인지 불안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구고신의 말처럼 일단 한 발을 나가지 않으면 아무 것도 알 수 없는 일이다. 그저 이 부조리한 상황을 받아들이며 살 것인가 아니면 불안해도 한 발을 내디딤으로써 그 상황을 변화시켜보려 노력할 것인가의 갈림길에 서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송곳>이라는 드라마에 대한 호불호와도 그대로 연결되어 있다. <송곳>은 결코 저 <미생>처럼 사회 현실을 드러내지만 결론적으로는 그 시스템을 뛰어넘기보다 인정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모두가 해피한 드라마가 아니다. <미생>의 오과장(이성민)은 결국 회사를 나와 새로운 회사를 차리지만, <송곳>의 이수인은 회사가 날 밀어내려면 한번 해봐라하며 버티고 저항한다. <송곳>은 시스템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그 시스템을 바꾸려 하는 것이다.

 

그러니 이 지점에서는 <송곳>이라는 드라마에 대한 호불호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 즉 시스템 안에서 적응해 살아가는 이들이라면 어딘지 <송곳>의 이수인이 하는 행동이 불편하게 다가올 수 있다. 딱히 사측의 위치에 있는 시청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스템에서 방출되었거나 그 바깥에서 아예 진입조차 해보지 못한 이들이라면 이수인의 행동이 대단히 통쾌하게 다가올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이 드라마가 얘기하는 조직에서의 송곳같은 존재를 우리가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이기도 하다. 통상 군대에서 고문관이라고 치부되는 이들을 바라보는 그 관점. 혹은 사회에서 왕따취급을 받는 이들을 바라보는 그 관점이다. 즉 그들은 어딘지 그 조직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인물들이다. 그래서 그 부당함을 드러내는 것에 통쾌함을 느끼게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이 이미 적응한 조직의 시스템에 저항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끼게도 만든다.

 

걸림돌, 왕따, 꼰대 같은 단어들이 이 드라마에서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도 저 송곳이 주는 이중적인 감정과 무관하지 않다. 당신은 이들 단어들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 그것이 불편한가 아니면 통쾌한가. 구고신의 말처럼 이 드라마는 보는 이들에게 자신이 서 있는 경계를 확인시켜 준다. 그 경계를 명확히 알아야 그걸 넘을 수도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