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전쟁, 재난, 전염병까지, '태후'의 멜로가 센 까닭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전쟁, 재난, 전염병까지, '태후'의 멜로가 센 까닭

D.H.Jung 2016. 3. 26. 07:40
728x90

작정하고 센 <태후>의 소재들, 이러니 안 될 수가 있나

 

전쟁과 재난에 이어서 이번엔 전염병이다. 아주 작정하고 센 소재들을 총동원 하겠다 마음먹은 기색이 역력하다. 이러니 시청률이 안 오를 수가 없다. KBS 수목드라마 <태양의 후예>9회에 30%를 훌쩍 넘겨버리더니 거기에 멈추지 않겠다는 듯 이제 31,6%(닐슨 코리아)로 순항중이다.

 


'태양의 후예(사진출처:KBS)'

멜로는 약하다? 극성이 약한 건 사실이다. 생각해보라. 멜로의 갈등들을 통해 인물들이 겪게되는 결과란 고작 사랑이 이루어지거나 헤어지거나가 아닌가. 물론 그 사랑이 죽음을 담보로하기도 하지만. 사극 같은 장르가 극성이 강한 건, 늘 죽음을 옆에 달고 다녀서다. 알다시피 전쟁, 재난, 전염병 같은 모든 소재가 활용되는 장르가 바로 사극이다.

 

그런데 <태양의 후예>는 현대극이면서도 이 모든 소재들을 다 사용하고 있다. 이게 가능해진 건 우르크라는 가상의 지역이 있기 때문이다. 만일 우르크가 아닌 어떤 현실 공간이었다면 이처럼 다양한 소재들이 한꺼번에 벌어지는 공간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웠을 게다. 하지만 우르크는 저 사극이 시간의 거리를 통해 뭐든 벌어질 수 있는 사건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처럼, 막연한 공간의 거리를 만들어 전쟁이든 재난이든 전염병이든 발생시킨다.

 

물론 그 공간에는 유시진(송중기)이나 강모연(송혜교), 서대영(진구), 윤명주(김지원) 같은 현실감을 부여하는 인물들이 들어간다. 그들이 군인 혹은 의사라는 직업을 가진 인물들이라는 건 <태양의 후예>가 하나의 가상극 같은 뉘앙스를 갖게 만든다. 마치 <헝거게임>처럼 이들은 가상의 공간에서 갖가지 벌어지는 사건들을 마주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해나가야 한다. 물론 그 사건들은 모두 목숨을 담보로 한다는 저에서 게임이지만 살벌하다.

 

멜로드라마는 어디든 지뢰가 깔려 있고 누구든 총을 꺼내 들며 때론 지진이 일어나 건물을 통째로 삼켜버리고 게다가 치명적인 전염병에까지 노출되어 있는 이 살벌한 공간 위에서 피어난다. 강모연이 유시진이라는 위험한 남자에게 우리는 서로 맞지 않는다며 이별을 통보하지만 다시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되는 건 그녀가 우르크라는 뭐든 가능한 가상공간으로 들어오면서부터다. 그 공간은 위험하지만 그만큼 달콤한 유시진이라는 로맨스의 인물이 있는 곳이다.

 

위험과 로맨스. 상극인 것 같지만 이만큼 잘 어울리는 조합도 없다. <로맨싱 스톤>이나 <크로커다일 던디> 같은 전통적인 로맨스 영화들을 보라. 위험한 정글이나 늪지대에서 모험을 펼치는 위험한 남자 주인공과 도시에서만 살아와 그런 곳이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여 주인공의 로맨스는 더 달콤하다. 그것은 어찌 보면 안전한 도시에서 살아온 여성들이 상상으로 꿈꾸는 거친 로맨스일 것이다.

 

<태양의 후예>의 우르크는 그래서 모든 위험한 상황들이 다 벌어지는 곳이지만 실제 공간이 아니라는 점에서 여성들이 꿈꾸는 로맨스의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그 곳은 마치 현실에서는 유시진이라는 인물을 밀어냈던 강모연이 상상을 통해 만들어낸 가상공간 같은 느낌을 준다.

 

물론 이런 장르적 설정들은 이미 많은 로맨스물에서 무수히 활용되어 왔던 장치들이다. 하지만 <태양의 후예>가 절묘하게 여겨지는 건 여기에 군인이라는 어찌 보면 우리식의 클리셰들이 가능한 인물들을 집어넣어 우리의 색깔로 채색했다는 점이다. 가상공간에 마치 강모연의 상상에 의해서 창조된 듯한 유시진 같은 이상화된 군인들. 이를 현실과 비교해 리얼리티 운운하는 것만큼 우스운 일도 없을 것이다. 그것은 로맨스물의 판타지일 뿐이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양의 후예>가 대단하다 여겨지는 건 늘 현실 공간에만 붙잡혀 그 상상의 한계를 스스로 지우고 있던 드라마를 우르크라는 가상공간을 세우고 그 안을 뭐든 벌어질 수 있는 이야기로 채워 넣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우연히 누군가를 만나고 사랑하고 또 그 사랑을 누군가 반대하고 그래서 그걸 넘어서기 위해 안타까운 안간힘을 벌이는 식의 현실의 멜로가 식상하게 느껴진 건 로맨스물 특유의 판타지가 거기에서는 더 이상 발견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태양의 후예>는 적어도 그 한계를 뛰어넘고 있다. 우르크라는 공간은 그래서 김은숙 작가가 상상으로 구현해낸 멜로의 실험실 같은 느낌마저 준다. 뭐든 가능한 로맨스의 공간. 이러니 안 될 수가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