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부산행' 천만 일등공신, 마동석들과 재난공화국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부산행' 천만 일등공신, 마동석들과 재난공화국

D.H.Jung 2016. 8. 9. 08:54
728x90

<부산행>, 재난공화국에 날리는 마동석들의 일침

 

대규모 폭력사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만 군대병력을 충원하여 국민여러분들을 안전하게 지켜드리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정부는 절대로 여러분들을 버리지 않겠습니다.” 이런 종류의 대사는 재난영화의 공식적인 클리셰에 가깝다. 재난영화 속에서 늘 정부는 아무 일도 아니라며 국민을 안심시키고는 저들 살 궁리를 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곤 한다.

 

사진출처:영화<부산행>

하지만 똑같은 클리셰에 해당하는 대사인데도 <부산행>의 이 대사는 영 달리 들린다. ‘폭력사태라는 표현이나 군대병력같은 단어들이 우리네 불행한 현대사에서 특정한 사건들을 떠올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런 정부측의 브리핑과 상반되게 군대병력이 좀비로 돌변해 국민을 공격하는 장면은 그래서 더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 우리는 상상이 아닌 실제 이런 현실을 맞닥뜨린 적이 있지 않은가.

 

그저 지나칠 수 있는 클리셰가 우리에게는 엄청난 트라우마를 건드리는 대사가 된다는 것. 이건 <부산행>이라는 좀비 장르의 영화가 1천만 관객을 넘어서게 된 가장 큰 이유가 아닐 수 없다. 본래 B급 장르로서 결코 대중적이라고 할 수 없는 좀비 장르가 신드롬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1천만 관객 돌파라니! 그 트라우마가 얼마나 크게 자리하고 있는가를 이 영화는 잘 말해주고 있다.

 

그리고 이건 우연이 아니다. <부산행>은 그 영화 곳곳에 우리네 재난 공화국의 트라우마를 툭툭 건드리게 의도된 장면과 설정들이 들어가 있다. 필자가 이 영화에서 가장 끔찍하게 느낀 장면은 KTX 열차 안에서 창밖으로 바글바글 얼굴을 가득 달라 붙인 채 고통스러워하는 좀비들의 모습이 여러 차례 스치듯 보이는 장면들이다. 마치 바닷물이라도 그 안으로 들어온 듯 물밀 듯 차오르는 좀비들의 이미지는 세월호 참사를 떠올리게 하기에 충분했다.

 

세월호가 그러했듯이 이 영화에 등장하는 KTX 역시 우리네 재난공화국을 표징한다는 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시속 3백 킬로로 달려가는 그 속도 위에서 좀비들과 사람이, 또 사람과 사람이 아귀다툼을 벌이고 있다는 설정은 그래서 더더욱 끔찍하게 다가온다. 게다가 이 영화의 제목에 담겨진 부산행이 과연 살아남은 자들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도 의문이다. 엄청난 속도로 달려가고 있지만 우리는 그 끝을 낙관할 수 없다. 다만 좀비들이 사람들을 공격하는 세기말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괜찮다’, ‘안심해도 된다고 미디어를 통해 들려오는 당국자들의 거짓말이 있을 뿐이다.

 

좀비 장르이면서도 지독하게 현실성을 우리 앞에 내미는 <부산행>에서 마동석은 서민들의 영웅이면서도 가장 슬픈 존재가 아닐 수 없다. 그는 애초부터 주인공도 아니고 불쑥 이 KTX 행에 올라탄 후 아이를 임신한 아내와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이 목숨을 건 사투에 뛰어든다. 재난의 한 가운데서 그나마 온 몸을 던져 사람들을 구하고 심지어 아이들을 한 명이라도 더 구해내기 위해 다시 그 재난 속으로 들어갔다가 영영 돌아오지 못한 우리 시대의 마동석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런데 그 마동석이 이렇게 말한다. “아빠들은 원래 욕먹고 인정 못 받고 무시당하고 그래도 희생하면서 사는 거야.” 좀비 장르를 보며 심지어 관객들이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는 건 <부산행>이 애초에 추구하는 것이 좀비물이 아니라 사회물이었다는 걸 잘 말해준다. 천만 관객은 우리네 재난공화국의 참상을 거기서 다시 봤고, 그 안에서 혼자 살기 위해 타인을 죽음으로 내던지는 이기심을 봤으며, 이런 재난 상황에 무능한 당국을 봤다. 그리고 그 속에서도 숭고하게 희생하며 사라져간 이름 모를 서민들을 보며 눈물 흘릴 수밖에 없었다.

 

<부산행>이 천만 관객을 넘긴 건 바로 그 재난공화국의 현실과 숭고한 서민들을 표징하고 기꺼이 재난에 몸을 던진 마동석 같은 존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