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도깨비' 공유와 이동욱, 아재파탈의 극점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도깨비' 공유와 이동욱, 아재파탈의 극점

D.H.Jung 2016. 12. 19. 10:13
728x90

<도깨비> 신드롬, 그 밑바닥에 깔린 아재파탈의 실체

 

어쩌면 이건 아재파탈의 극점이 아닐까. tvN <쓸쓸하고 찬란하신 도깨비(이하 도깨비)>를 보다보면 한 회에 아저씨라는 말을 부지기수로 듣게 된다. 지은탁(김고은)은 함께 살아가는 도깨비 김신(공유)에게도 또 저승사자(이동욱)에게도 아저씨라고 부른다. 그건 마치 가랑비에 옷이 젖듯, 의식하지 않으면 별거 아닌 것처럼 여겨지지만 의식적으로 생각해보면 아저씨라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해오던 이미지를 아주 조금씩 깨겠다는 의도처럼 보인다.

 

'쓸쓸하고 찬란하신 도깨비(사진출처:tvN)'

도깨비는 나이가 무려 939. 사실 여기서 9백이라는 숫자는 많다는 의미가 아닐까. 오히려 남은 39살이라는 숫자는 그래서 현재의 김신이 보여주고 있는 육신의 나이처럼 보인다. 중년이고, 아저씨라는 말이 전혀 어색하지 않는 나이. 하지만 이 중년의 아저씨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하던 그 늙수그레한 모습이 아니다. 이른바 아재파탈의 면면을 바로 이 도깨비라는 캐릭터는 거의 극점으로까지 보여주고 있다.

 

잘 생긴 외모에 도깨비 방망이만 휘두르면 금덩이를 척척 내놓을 수 있는 재력, 무엇보다 마음만 먹으면 이곳에서 캐나다로 훌쩍 날아가 (스테이크)’ 한 접시 정도는 먹고 올 수 있는 능력... 김신은 도깨비라는 판타지 설정이지만 어찌 보면 아저씨라는 나이에 보여줄 수 있는 판타지의 극점이다. 잘 관리된 몸과 스타일 있는 외모, 재력, 능력 등등 그가 갖추지 못한 건 없어 보인다.

 

이건 도깨비와 함께 브로맨스의 짝패로 등장하고 있는 저승사자도 마찬가지다. 그 역시 뭐든 원하면 다 할 수 있는 능력자에다 역시 조각 같은 외모에 스타일도 여성들의 눈을 잡아끌 만큼 독보적이다. 그들은 각각 저승사자 하면 떠오르던 갓 대신 멋진 모자를 쓰고 있고, 도깨비 하면 떠오르던 어딘지 투박해 보이는 도깨비방망이 대신 카리스마가 철철 넘치는 칼을 쥐고 있다. 도깨비와 저승사자는 아저씨 캐릭터로 등장하지만 누가 봐도 아저씨라는 이미지와는 완전히 다른 매력 철철 아재파탈의 면면을 보여준다.

 

그런데 <도깨비>에서 더 흥미로운 건 이 아재파탈의 면면이 단지 외적인 것들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도깨비 김신은 시를 읽는다. 김인육 시인의 사랑의 물리학이란 시는 김신이 지은탁을 바라보며 깔리는 목소리로 흘러나오며 시청자들의 눈과 귀와 가슴을 사로잡았다. ‘질량의 크기는 부피와 비례하지 않는다. 제비꽃 같이 조그마한 그 계집애가 꽃잎 같이 하늘거리는 그 계집애가 지구보다 더 큰 질량으로 나를 끌어당긴다...’ 김신이라는 아재는 이토록 감성적이다.

 

게다가 이 아재는 삶과 죽음이 무엇인지 안다. 9백년을 넘게 살아온 자의 통찰이랄까. 그는 다가오는 지은탁을 멀리서부터 바라보며 생각한다. ‘생이 나에게로 걸어온다. 죽음이 나에게로 걸어온다. 생으로 사로 너는 지치지도 않고 걸어온다. 그러면 나는 이렇게야 말하고 마는 것이다. 서럽지 않다. 이만하면 되었다. 된 것이다, 라고.’

 

<도깨비>라는 작품에 깔려있는 무게감은 바로 이 아재들이 가진 캐릭터에서 나온다. 인생을 어느 정도 살아본 자들에게서 느껴지는 삶과 죽음. 죽음을 옆구리 정도에 끼고 살아가기 때문에 동시에 삶의 기쁨을 느낄 수 있다는 걸 아는 자들의 사랑. 가슴에 칼이 꽂혀 있는 존재는 그래서 이제 생이 그저 즐거움만으로 구성된 것도 또 그렇다고 고통만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것도 아닌 그 두 가지가 섞여있어 살만하다는 것을 아는 성숙된 자를 캐릭터화 한다. 죽음을 끼고 살아가는 자(도깨비)와 누군가의 죽음을 인도하는 자(저승사자)의 삶은 그래서 청춘들과도 다르고 그렇다고 노년들과도 다르다.

 

사실 그간 아재파탈이라고 부르면 외적인 면면들이 가장 먼저 부각됐다. 즉 나이가 중년인데도 여전히 탱탱한 젊음을 유지하는 관리된 몸이나 그 나이에 걸맞는 부와 능력과 지위를 갖고 있는 이들을 먼저 떠올린 것. 하지만 <도깨비>가 공유와 이동욱을 통해 그려내는 아재파탈의 면면은 훨씬 더 철학적이다. 물론 잘 생긴 외모와 능력을 빼놓을 수는 없겠지만 그 안에 깔려 있는 내적인 성숙은 이들의 아재파탈이 다른 이들과는 다른 묵직한 느낌을 다가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