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싱어게인3’, 세 번째 다시 부르는 위로와 응원의 오디션 본문

이주의 방송

‘싱어게인3’, 세 번째 다시 부르는 위로와 응원의 오디션

D.H.Jung 2023. 12. 9. 14:24
728x90

JTBC ‘싱어게인3’, 다시 부른다는 취지가 주는 이 오디션의 특별함

JTBC <싱어게인3>는 그 제목에 ‘다시 부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는 서바이벌에서 ‘다시’라는 말은 어딘가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단 한 번의 기회를 살려야 살아남는 게 오디션이 아닌가. <싱어게인3>의 어떤 차별점이 이 오디션을 돋보이게 할까. 

싱어게인3

유정석의 ‘질풍가도’와 <싱어게인3>의 만남

‘나는 응원을 부르는 가수다.’ JTBC <싱어게인3>에 등장한 74호 가수는 자신을 그렇게 먼저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 이유로 자신이 부른 애니메이션 OST가 ‘응원가’로 사용되고 있다는 걸 들었다. 야구장과 농구장 같은 각종 스포츠 응원가로 유명하다는 것. 심사위원들은 무슨 곡일지 궁금해 고개를 갸웃거렸다. 그래서 ‘나는 응원을 부르는 가수다’라는 의미는 실제 응원가로 쓰이고 있어서이기 때문인 줄 알았다. 하지만 거기에는 또 다른 깊은 이유가 있었다. 개인사정으로 노래를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안 좋은 생각을 하셨던 분이 제 노래를 듣고 생각을 바꿨다”는 그런 글들을 굉장히 많이 받았다고 했다. 그 때 자신도 좀 힘들 때였는데 그 글들이 위로가 됐다는 거였다. 즉 그가 자신을 소개하는 글귀로 써 놓은 ‘응원’은 야구장만이 아니라 삶이 힘든 분들이 힘을 얻게 되는 그런 응원의 의미도 담겨 있었다. 그 응원이 그가 <싱어게인3>에 나오게 된 이유이기도 했다. 

 

그리고 시작된 무대. “한 번 더 나에게, 질풍 같은 용기를-” 그 첫 소절만으로 충분했다. 유정석이 부른 ‘질풍가도’로 알려진 이 곡을 모두가 바로 떠올렸다. 애니메이션 <쾌걸 근육맨 2세>의 OST였지만 야구장에서 더 많이 울려 퍼져 익숙해졌던 그 노래였다. 규현 심사위원은 이 곡이 <싱어게인>의 주제가로 쓰여도 좋을 것 같다고 했는데, 실제로 “한 번 더 나에게, 질풍 같은 용기를-”이라는 가사는 이 프로그램에 출연한 모두의 심장을 울리게 만드는 면이 있었다. 모두가 한번 더 용기를 내서 나온 무대가 아닌가. 이 순간은 그래서 <싱어게인3>의 상징 같은 장면으로 남았다. 그리고 그 응원의 ‘질풍가도’는 대중들에게도 질풍처럼 번져나갔다.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이 무려 796만 조회수를 기록했고 유정석을 응원하는 댓글이 2만1천개가 넘게 붙었다. 

 

그런데 유정석의 ‘질풍가도’와 <싱어게인3>의 만남은 이 오디션 프로그램이 갖는 차별점과 가치를 다시금 되새겨주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즉 이 프로그램은 무대 하나로 당락이 결정되는 오디션이지만, ‘다시 부른다’는 취지가 더해져 있다. 자신들의 인생의 무대에서 저마다의 이유로 노래를 부르지 못하게 됐거나, 이름이 알려지지 않아 아르바이트를 하며 무명 가수로 살아가거나 혹은 이름이 잊혀진 가수가 됐거나 하는 이들에게 ‘다시’ 주어진 무대라는 것이다. 실제로 현실은 ‘질풍가도’의 가사처럼 ‘한 번 더’ 기회를 주는 경우가 드물다. 오디션 서바이벌이 사실상 우리의 실제 현실이라는 거다. 그래서 <싱어게인>에 등장한 유정석은 그 ‘한 번 더’가 갖는 이 프로그램의 응원과 위로의 의미를 ‘질풍가도’라는 곡을 통해 보여준 면이 있었다. 대중들이 반색한 이유다. 

 

이번에도 넘쳐나는 숨은 실력자들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패는 얼마나 많은 개성의 실력자들이 출연하는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싱어게인3>은 그 오디션의 취지 자체가 다양한 숨은 실력자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점이다. 조편성을 보면, ‘찐무명’도 있지만 ‘재야의 고수’ 같은 이미 다운타운에서는 유명한 가수들도 있고, ‘슈가맨’이나 ‘OST조’처럼 얼굴은 낯설어도 노래만 들으면 단박에 기억나는 가수들도 있다. 심지어 타 오디션 참가자들을 묶어 놓은 ‘오디션조’는 그 오디션에서 1등을 했던 가수들까지 참가했다. 그 면면을 보면 특유의 허스키 보이스로 이미 다운타운에서는 유명가수인 김마스타, 국카스텐 하현우와 함께 이른바 4대 천왕 출신인 김길중, 신촌블루스 보컬 강성희 같은 재야의 고수는 물론이고,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OST로 잘 알려진 가수 소수빈, ‘질풍가도’의 유정석 같은 OST로 유명한 가수들도 있다. 또 <팬텀싱어> 시즌1 우승팀 포르테 디 콰트로의 김현수, <슈퍼밴드>에 출연했던 홍이삭, 임윤성, 오디션 프로그램 <새가수> 우승자 류정운, <보컬플레이> 우승자 임지수 등등 타 오디션 프로그램에 나왔던 가수들도 다수다. 

 

사실 이런 실력자들이 찐무명들과 한 무대에 올라 경연을 벌인다는 건 오디션 프로그램으로서 공정하지 않다고 여겨질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싱어게인>의 출연자들이나 이를 바라보는 시청자들 모두 이 부분을 그다지 불편하게 여기지 않는다. 그것은 이들에게 적어도 무대에 설 기회를 제공하고 ‘다시 부른다’는 그 취지가 이 모든 것들을 허용하게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찐무명이라고 해서 우승이 요원한 일도 아니다. <싱어게인> 시즌1의 우승자 이승윤은 실제로 ‘찐무명조’로 출연했던 가수다. 

 

<싱어게인>이 가진 ‘다시 부른다’는 콘셉트는 무명 가수들에게 다시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의미도 있지만, 또한 실력자들을 모을 수 있는 장치도 되어준다. 다시 부른다는 건 이미 불렀다는 의미다. 즉 이미 데뷔한 가수이고 그래서 자기 노래가 하나 이상은 있는 것이 참가자격이 된다. 이 오디션은 그래서 아마추어들의 그것과는 다르다. 이미 프로들이고 그래서 실력은 갖추고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무명이 된 가수들이다. 예를 들어 신촌블루스의 강성희 같은 가수는 이 블루스를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유명가수다. 그럼에도 그가 무명가수를 자청하고 나온 건 ‘블루스’라는 장르를 좀더 대중적으로 알릴 수 있는 기회도 된다. 무대에 서는 자세는 더 진지하고 절박할 수밖에 없다. 

 

무명을 유명으로 만드는 시간

오디션 프로그램은 대부분 최후의 승자를 뽑는 걸 목표로 세운다. <싱어게인>도 다르지 않다. 하지만 그 목표에만 집중하는 게 아니라 그 과정의 무대들 하나하나에 공을 들이는 것이 여타의 오디션 프로그램들과 다른 지점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여기 나온 가수들이 그간 무명의 세월 속에서 해온 노력들에 대한 예우가 당연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색채를 극명하게드러내는 건 심사위원들의 심사다. 이들은 엄밀한 심사를 하면서도 표현에 있어서 극도의 조심스러움과 예우를 담는다. 김이나 심사위원이 문학에 가까운 표현으로 가수들의 목소리와 무대를 해석해낸다면, 규현이나 이해리 같은 심사위원들은 찐 팬에 가까운 리액션을 심사에 담는다. 또 백지영이나 윤종신 심사위원은 가창력에 대한 부분들을 좀더 분석적으로 해석해 그 가수의 매력을 설명해줌으로서 시청자들이 받은 감동이 어디서 온 것인가를 깨닫게 해준다. 여기에 이번에 처음으로 심사위원으로 합류한 임재범은 많은 말 대신 한두 마디의 ‘촌철살인’으로 참가한 가수들을 먹먹하게 만들기도 하고 활짝 웃게 만들기도 하며 때론 더 정진하게 만들기도 한다. 

 

심사는 그래서 <싱어게인3>에서는 당락을 결정하는 시간만이 아니라, ○○가수라고 달고 나온 무명가수들을 유명가수로 만들어가는 시간의 의미도 담겨 있다. 심사위원의 심사들은 그래서 이들 가수들의 서사가 되기도 한다. 그 서사는 오디션이 뒤로 갈수록 쌓이고 쌓여 어엿한 팬덤을 확보한 가수들로 이들을 변모시킬 것이다. 과연 이번 시즌3에는 얼마나 많은 이들이 유명가수로서의 서사를 갖게 될까. 다시 부르는 그들을 통해 얻는 위로와 그래서 하게 되는 응원이 교차되는 특별한 오디션이 지금 펼쳐지고 있다. (매일신문)